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6번째 줄: | 6번째 줄: | ||
[[밥]] 위에 [[덴푸라]](튀김) 몇 가지를 올리고 [[간장]] 소스를 더한 튀김 [[덮밥]]. | [[밥]] 위에 [[덴푸라]](튀김) 몇 가지를 올리고 [[간장]] 소스를 더한 튀김 [[덮밥]]. | ||
==상세== | |||
[[일본]]식 덴푸라를 올린 덮밥이다. 올라가는 튀김 종류는 주로 [[새우]], [[단호박]], [[오징어]], [[가지(채소)|가지]], [[연근]], 꽈리[[고추]], [[붕장어]], [[온천달걀]], [[김(음식)|김]], 모듬 야채 등이 있다. 대개 튀김이 덮이는 작은 그릇이 얹어져 나오는데, 이 그릇에 튀김을 덜어가며 먹는다. 그리고 온천달걀은 보통 요리사에게 따로 요청하지 않는 한 반숙으로 나오며, 이것을 밥 위에 터뜨려서 먹는 것이 기본적인 식사 방법이다. 즉 간장과 달걀로 조미된 밥에 각종 튀김을 반찬으로 곁들여 먹는 것이다. 이미 밥에 충분하게 간이 되어있기 때문에 튀김엔 따로 간장을 찍지 않는다. | |||
덴푸라의 종류가 워낙 많기 때문에 올라가는 튀김 종류도 다양하지만, 고기 튀김이 올라가는 경우는 잘 없는 편이다. 굳이 따지면 [[가라아게]] 정도고 그것조차 올리는 집도 드물다. 일본에선 [[쇠고기|소고기]]나 [[돼지고기]] 튀김이 올라가면 텐동이 아니라고 본다. 이는 덴푸라가 원래 육류를 쓰지 않고 해산물과 채소만 쓰기 때문이다. 다만 그래도 [[돈부리]]가 육류 비중이 높은 요리라서 그런지 고기 튀김이 들어가기도 한다. 국내에선 간혹 새우 등의 해산물을 빼고 그 대신 육류 튀김을 올리는 텐동을 메뉴에 넣는 경우가 있다. | |||
밥에 튀김을 얹어 먹는 것이 느끼하게 느껴지기 때문에 간장 소스의 맛이 중요하며, [[와사비]]를 곁들여 먹는 것도 맛있게 먹는 방법 중에 하나이다. 주로 느끼함을 잡는 용도로 꽈리고추가 들어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 |||
텐동 전문점 중에선 기름에 [[참기름]]을 섞고 조리하는 곳들도 있어 느끼한 것에 약한 사람에게는 맛은 좋아도 느끼해 먹지 못하는 난처한 상황이 일어날 수 있다. 딱 [[간장계란밥]]에 참기름을 넣은 느낌이다. | |||
텐동에 [[새우튀김]]은 사실상 기본으로 올라가다 보니, 단순 튀김 덮밥이 아니라 새우튀김 덮밥으로 잘못 알고 있는 사람들도 많다. 사실 진짜 새우튀김 덮밥은 에비동인데 에비동에 올라가는 새우튀김은 텐동의 새우튀김과는 다르다. 텐동의 새우튀김은 밀가루물을 뭍혀서 튀기며, 에비동의 새우튀김은 여기에 [[빵가루]]를 입혀서 튀긴다. | |||
---- | ---- | ||
[[분류:튀김 요리]] | [[분류:튀김 요리]] |
2023년 12월 31일 (일) 19:29 판
개요
天丼 가운데에 점이 빠진 天井(てんじょう)은 '천장'을 뜻하므로 표기에 주의. / てんどん/テンドン / Tendon 영어로 힘줄을 뜻하는 tendon과 철자가 같아 혼동할 수 있기 때문에 요리 쪽은 Tempura Rice Bowl 같은 식으로 풀어서 얘기하기도 한다.
외래어 표기법에 따르면 '덴돈'이나, 일반적으론 '텐동'이라 부른다. 그 외에 어떻게 표기하느냐 국립국어원에서 (원칙상 '우돈'인) うどん을 '우동'으로 심의하였으며, 표준국어대사전에도 '우동'은 잘못된 말로서라도 적혀있지만 '우돈'은 없다.에 따라서 '덴동'이 될 수도 있다.
밥 위에 덴푸라(튀김) 몇 가지를 올리고 간장 소스를 더한 튀김 덮밥.
상세
일본식 덴푸라를 올린 덮밥이다. 올라가는 튀김 종류는 주로 새우, 단호박, 오징어, 가지, 연근, 꽈리고추, 붕장어, 온천달걀, 김, 모듬 야채 등이 있다. 대개 튀김이 덮이는 작은 그릇이 얹어져 나오는데, 이 그릇에 튀김을 덜어가며 먹는다. 그리고 온천달걀은 보통 요리사에게 따로 요청하지 않는 한 반숙으로 나오며, 이것을 밥 위에 터뜨려서 먹는 것이 기본적인 식사 방법이다. 즉 간장과 달걀로 조미된 밥에 각종 튀김을 반찬으로 곁들여 먹는 것이다. 이미 밥에 충분하게 간이 되어있기 때문에 튀김엔 따로 간장을 찍지 않는다.
덴푸라의 종류가 워낙 많기 때문에 올라가는 튀김 종류도 다양하지만, 고기 튀김이 올라가는 경우는 잘 없는 편이다. 굳이 따지면 가라아게 정도고 그것조차 올리는 집도 드물다. 일본에선 소고기나 돼지고기 튀김이 올라가면 텐동이 아니라고 본다. 이는 덴푸라가 원래 육류를 쓰지 않고 해산물과 채소만 쓰기 때문이다. 다만 그래도 돈부리가 육류 비중이 높은 요리라서 그런지 고기 튀김이 들어가기도 한다. 국내에선 간혹 새우 등의 해산물을 빼고 그 대신 육류 튀김을 올리는 텐동을 메뉴에 넣는 경우가 있다.
밥에 튀김을 얹어 먹는 것이 느끼하게 느껴지기 때문에 간장 소스의 맛이 중요하며, 와사비를 곁들여 먹는 것도 맛있게 먹는 방법 중에 하나이다. 주로 느끼함을 잡는 용도로 꽈리고추가 들어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텐동 전문점 중에선 기름에 참기름을 섞고 조리하는 곳들도 있어 느끼한 것에 약한 사람에게는 맛은 좋아도 느끼해 먹지 못하는 난처한 상황이 일어날 수 있다. 딱 간장계란밥에 참기름을 넣은 느낌이다.
텐동에 새우튀김은 사실상 기본으로 올라가다 보니, 단순 튀김 덮밥이 아니라 새우튀김 덮밥으로 잘못 알고 있는 사람들도 많다. 사실 진짜 새우튀김 덮밥은 에비동인데 에비동에 올라가는 새우튀김은 텐동의 새우튀김과는 다르다. 텐동의 새우튀김은 밀가루물을 뭍혀서 튀기며, 에비동의 새우튀김은 여기에 빵가루를 입혀서 튀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