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클리드: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29번째 줄: 29번째 줄:
==개요==
==개요==
[[열대어]]의 종류 중 하나.
[[열대어]]의 종류 중 하나.
==상세==
학술적으로는 키클라목 키클라과에 속한다. 즉 시클리드란 어떤 한 종을 말하는 게 아니라 시클리드과에 속한 모든 [[물고기]]를 말하는 것이다. 매우 성공한 물고기 종족으로, 그 종류가 무려 1500여 종이나 되며, 아직도 계속 발견되고 있다고 한다. 성공한 종족답게 서식지도 전세계 곳곳에 걸쳐 분포하고 있다. 서식지에 따라 아프리칸 시클리드, 아메리칸 시클리드 등으로 분류된다. 시클리드는 해수어 못지 않은 화려함과 튼튼함으로 널리 사육되고 있다.
우리나라에 식용으로 소개된 [[틸라피아]]는 [[역돔]]이라는 이름으로 유통된다.[* 얘는 식용이지 관상용은 아니다. 일단 생긴 것부터가 관상용으로 쓰기엔 별로 안 이쁘고 덩치도 있기 때문.] 아프리칸 시클리드의 경우 진화연구용으로 많이 쓰인다.
시클리드는 농어목 물고기의 공통적 특징인 가시가 있는 등지느러미를 가지고 있다. 또한 페더핀이라고 부르는 폭이 좁은 가슴 지느러미도 이 종의 특징이다. 또한 물고기의 중요한 감각기인 측선(옆줄)에 단절이 있다는 것도 시클리드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이다.
인두악, 즉 인두 내에 있는 또 다른 턱 혹은 이빨이 있는 종도 있고 없는 종도 있다. 예를 들어 렙토소마라고 불리는 탕가니카 호에 서식하는 시클리드는 작은 플랑크톤을 인두로 흡입해서 인두 안의 돌기를 이용해서 조각 내어 먹는다. 반면에 다른 시클리드 대부분은 이빨을 이용해서 먹이를 조각낸다.
일반인들도 마트 등지에서 쉽게 접할 수는 있지만, 사실 접하는 건 작아서 부담없어'''보이는''' 치어류라든가 --좀 눈에 안 띄는 아랫칸에 있는-- 혈앵무 정도. 그러나 마트에서 파는 시클리드 류는 [[라미레지]] 정도를 제외하면 잘 길러서 성체가 될 경우 소위 말하는 소형어 사이즈인 성어 기준 5~6cm급은 가볍게 넘어서 10cm 이상도 넘볼 수 있기 때문에 치어 시절처럼 작은 어항에서 언제까지고 기를 수는 없다.
거의 모든 종이 담수나 기수 지역에서 서식한다.


[[분류:키클라과]]
[[분류:키클라과]]

2024년 1월 16일 (화) 20:35 판

시클리드
Cichlid
시클리드.webp
학명 Cichlidae
(Bonaparte, 1835)
분류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조기어강Actinopterygii
키클라목Cichliformes
키클라과Cichlidae

개요

열대어의 종류 중 하나.

상세

학술적으로는 키클라목 키클라과에 속한다. 즉 시클리드란 어떤 한 종을 말하는 게 아니라 시클리드과에 속한 모든 물고기를 말하는 것이다. 매우 성공한 물고기 종족으로, 그 종류가 무려 1500여 종이나 되며, 아직도 계속 발견되고 있다고 한다. 성공한 종족답게 서식지도 전세계 곳곳에 걸쳐 분포하고 있다. 서식지에 따라 아프리칸 시클리드, 아메리칸 시클리드 등으로 분류된다. 시클리드는 해수어 못지 않은 화려함과 튼튼함으로 널리 사육되고 있다.

우리나라에 식용으로 소개된 틸라피아역돔이라는 이름으로 유통된다. 얘는 식용이지 관상용은 아니다. 일단 생긴 것부터가 관상용으로 쓰기엔 별로 안 이쁘고 덩치도 있기 때문. 아프리칸 시클리드의 경우 진화연구용으로 많이 쓰인다.

시클리드는 농어목 물고기의 공통적 특징인 가시가 있는 등지느러미를 가지고 있다. 또한 페더핀이라고 부르는 폭이 좁은 가슴 지느러미도 이 종의 특징이다. 또한 물고기의 중요한 감각기인 측선(옆줄)에 단절이 있다는 것도 시클리드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이다.

인두악, 즉 인두 내에 있는 또 다른 턱 혹은 이빨이 있는 종도 있고 없는 종도 있다. 예를 들어 렙토소마라고 불리는 탕가니카 호에 서식하는 시클리드는 작은 플랑크톤을 인두로 흡입해서 인두 안의 돌기를 이용해서 조각 내어 먹는다. 반면에 다른 시클리드 대부분은 이빨을 이용해서 먹이를 조각낸다.

일반인들도 마트 등지에서 쉽게 접할 수는 있지만, 사실 접하는 건 작아서 부담없어보이는 치어류라든가 좀 눈에 안 띄는 아랫칸에 있는 혈앵무 정도. 그러나 마트에서 파는 시클리드 류는 라미레지 정도를 제외하면 잘 길러서 성체가 될 경우 소위 말하는 소형어 사이즈인 성어 기준 5~6cm급은 가볍게 넘어서 10cm 이상도 넘볼 수 있기 때문에 치어 시절처럼 작은 어항에서 언제까지고 기를 수는 없다.

거의 모든 종이 담수나 기수 지역에서 서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