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역대 부산광역시장}} | {{역대 부산광역시장}} | ||
[목차 | {| class="wikitable" style="float: right; border:2px solid #004098; text-align: left; font-size: 14.4px;" | ||
|- | |||
! colspan="5" style="color: #FFF; background: 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098, #004098 20%, #004098 80%, #004098)"|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35px]][br]'''{{글씨 크기 (px)|18.56|부산광역시장}}'''[br] 釜山廣域市長 <br> Mayor of Busan Metropolitan City | |||
|- | |||
! colspan="5" | <center><div style="margin: -5px -9px">[[파일:김해린 프로필.png|430px]] | |||
|- | |||
| colspan="2" style="font-size: 10.5pt; color: #FFF; width: 25%; background: #004098;" | <center>'''현직'''</center> | |||
| colspan="4" style="font-size: 10.5pt; text-align: left" | [[류호영]] <small>/ 제n대</small> | |||
|- | |||
| colspan="2" style="font-size: 10.5pt; color: #FFF; width: 25%; background: #004098;" | <center>'''취임일'''</center> | |||
| colspan="4" style="font-size: 10.5pt; text-align: left" | 203n년 n월 nn일 | |||
|- | |||
| colspan="2" style="font-size: 10.5pt; color: #FFF; width: 25%; background: #004098;" | <center>'''정당'''</center> | |||
| colspan="4" style="font-size: 10.5pt; text-align: left" | {{새누리당 (한정모)}} | |||
|- | |||
| colspan="2" style="font-size: 10.5pt; color: #FFF; width: 25%; background: #004098;" | <center>'''공관'''</center> | |||
| colspan="4" style="font-size: 10.5pt; text-align: left" | [[부산광역시]] [[수영구]] [[남천동(부산)|남천동]] 부산시장 관사 | |||
|- | |||
|} | |||
{{목차}} | |||
== 개요 == | == 개요 == | ||
부산광역시장은 [[부산광역시]]를 대표하고, 그 [[사무]]를 총괄하는 [[광역자치단체]]의 장이다. 1963년 1월 1일부터 1994년 12월 31일까지는 [[직할시]]장이었다. 역사적 의미에서 거슬러 올라가면 [[신라]]의 '동래군 태수'부터 [[조선]]의 '동래부사'까지도 소급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부산시 공식 홈페이지에서는 [[8.15 광복]] 이후 최초의 [[한국인]] 시장이었던 [[양성봉]] 전 부산부윤을 초대 시장으로 잡았으며, 광복 직후의 외국인 부윤, 즉 [[일본인]]인 도야마 오사무([[조선총독부]]가 임명), [[미 육군]] 장교였던 존 P.H. 케리와 앨버트 E. 브라운([[미군정청]]이 임명)은 인정하지 않고 있다. 그래서 [[위키피디아]] 부산시장 문서에는 이 세 사람이 1대, 2대, 3대라고 적히기는 했으나 '비공식'이 괄호 병기되어 있다. | 부산광역시장은 [[부산광역시]]를 대표하고, 그 [[사무]]를 총괄하는 [[광역자치단체]]의 장이다. 1963년 1월 1일부터 1994년 12월 31일까지는 [[직할시]]장이었다. 역사적 의미에서 거슬러 올라가면 [[신라]]의 '동래군 태수'부터 [[조선]]의 '동래부사'까지도 소급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부산시 공식 홈페이지에서는 [[8.15 광복]] 이후 최초의 [[한국인]] 시장이었던 [[양성봉]] 전 부산부윤을 초대 시장으로 잡았으며, 광복 직후의 외국인 부윤, 즉 [[일본인]]인 도야마 오사무([[조선총독부]]가 임명), [[미 육군]] 장교였던 존 P.H. 케리와 앨버트 E. 브라운([[미군정청]]이 임명)은 인정하지 않고 있다. 그래서 [[위키피디아]] 부산시장 문서에는 이 세 사람이 1대, 2대, 3대라고 적히기는 했으나 '비공식'이 괄호 병기되어 있다. |
2024년 2월 11일 (일) 20:03 판
부산광역시장 | |||||||||||||||||||||||||||||||||||||||||||||||||
[ 펼치기 · 접기 ]
|
부산광역시장 釜山廣域市長 Mayor of Busan Metropolitan City | |||||
---|---|---|---|---|---|
류호영 / 제n대 | |||||
203n년 n월 nn일 | |||||
![]() | |||||
부산광역시 수영구 남천동 부산시장 관사 |
개요
부산광역시장은 부산광역시를 대표하고, 그 사무를 총괄하는 광역자치단체의 장이다. 1963년 1월 1일부터 1994년 12월 31일까지는 직할시장이었다. 역사적 의미에서 거슬러 올라가면 신라의 '동래군 태수'부터 조선의 '동래부사'까지도 소급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부산시 공식 홈페이지에서는 8.15 광복 이후 최초의 한국인 시장이었던 양성봉 전 부산부윤을 초대 시장으로 잡았으며, 광복 직후의 외국인 부윤, 즉 일본인인 도야마 오사무(조선총독부가 임명), 미 육군 장교였던 존 P.H. 케리와 앨버트 E. 브라운(미군정청이 임명)은 인정하지 않고 있다. 그래서 위키피디아 부산시장 문서에는 이 세 사람이 1대, 2대, 3대라고 적히기는 했으나 '비공식'이 괄호 병기되어 있다.
시정 구호
문정수 | 21세기 새부산 건설 |
안상영 | 시민과 함께하는 부산 재창조 |
희망과 도약, 세계도시 부산 | |
허남식 | 성숙한 세계도시 부산 |
세계로 열린 선진부산 | |
크고 강한 부산 | |
서병수 | 사람과 기술, 문화로 융성하는 부산 |
오거돈 | 시민이 행복한 동북아 해양수도 부산 |
서기태 | 부산 먼저 미래로 그린스마트 도시 부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