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4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인물 문서 양식
| | #넘겨주기 [[비토리오]] |
| | 그라데이션 끝 색 = #333222
| |
| | 그라데이션 중간색 = #696969
| |
| | 테두리색 = #333222
| |
| | 글씨색 = #ffffff
| |
| | 범례 너비 = 30%
| |
| | 범례 색상 = #333222
| |
| | 범례 글씨색 = #ffffff
| |
| | 이름 = 아쉬라프 세종 에이돌른
| |
| | 기타이름 = Ashrap Sejong Eidolen
| |
| | 로고크기 = 40px
| |
| | 대표사진 = 프로필사진.png
| |
| | 성별 = 남
| |
| | 국기 = 태극기.png
| |
| | 국적 = [[UTO]] 외 다수
| |
| | 별명 = 세종, 에이돌른 등
| |
| | 경력 =
| |
| 現 유토 제국군 장교(제1사단 소속, 중령)
| |
| 前 익스테딕 공화국 국회의원(가남시 갑)[* 제4·5대(재선)]
| |
| 現 [[바이에른 대공국]] 대공
| |
| 現 [[폴란드 국가판무관부]] 법무부장관
| |
| 現 [[프로콜란드 국가판무관부]] 외무부장관
| |
| | 직업 = 군인, 정치인
| |
| | 병역 = 유토제국군 중령(현역)
| |
| | 소속 = {{무소속}}
| |
| | 종교 = 없음
| |
| }}
| |
| == 개요 ==
| |
| 유토제국의 군인이자 카국계에서 활동하는 정치인이다.
| |
| == 생애 ==
| |
| === 가국 입문과 유토제국 장교 임관 ===
| |
| 가상국가계에는 2019년 5~6월 경 입문하였고, 2021년 밴드에서 가상국가 2021 대한민국[* 아무래도 가국인들의 조국이다 보니 꽤 많아 2021년에 세워진 대한민국으로 강조하기 위해 정식 명칭을 이렇게 정했다.]의 영구 대퉁령을 지내다 당시 가상설정위원장 마그누스의 초대로 유토에 가입했다.
| |
| | |
| 이후 7월 5일, 유토군 15군단장이던 마그누스의 추천으로 유토군 사관학교 1기 입학생이 되어 생도생활을 하던 중 고주몽의 반란으로 인해 조기 임관했다.
| |
| === 수역계 밴드 공격 프로젝트와 좌절 ===
| |
| 그러다 8월이 되어 유토 상부로부터 역극계 밴드를 공격하라는 지시를 받게 되고, 밴드 규정을 위반하는 수위역극계가 공격에 유리하다고 판단해 이에 대한 많은 보고를 했다.
| |
| | |
| 역극계 밴드에 관한 에티켓 등에 대한 무지로 특정 밴드에서 리더에게 밉보여 숙청당하는 불상사도 있었고, 안타깝게도 해당 프로젝트가 취소되며 그의 정보는 쓰일수 없게 되었다.
| |
| | |
| 8월 30일, 가문제 시행으로 아쉬라프 가(家)의 일원이 되었고, 그의 조국 대한민국의 고유 문자 한글을 만든 세종대왕(재위 1418~1450)을 존경하는 의미에서 '아쉬라프 세종'으로 개명한다.
| |
| | |
| 10월 5일 수역계 공격작전 지휘관으로 임명되었으나 활동이 지지부진했고, 이듬해 2월 사관학교 동기이자 수역계 작전의 큰 도움이 되준[* 역극계에서 세종이 쓰는 프로필을 만들어주는 등의 도움이었다] 리엘 대위의 반역이 드러나 끝내 좌절되었다.
| |
| === 카국계 입문과 현재 ===
| |
| 2월 10일 아르카나령 폴란드 대통령에 추대되어 카카오 가국계로 입문했다.
| |
| | |
| 외교활동을 다니면서 정치활동에 참고를 위해 익스테딕 공화국 가천특별자치도 가남시 갑 선거구 국회의원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 |
| | |
| 3월 16일 유토제국령 케모스 자치령의 자치수상을 맡았고, 멜리나 전쟁중인 3월 30일 멜리나군이 자신들의 속령인 채팅방 이름을 적당히 바꿔 유토를 점령했다고 하자 이에 대한 입장을 냈다.
| |
| {{인용문|[총리실]
| |
| 멜리나 측에서 자신들이 차지하고 있는 채팅방의 명칭을 적당히 변경한 후 유토제국이 패배하였다는 내용의 가짜뉴스를 살포하고 있음이 확인되었습니다.
| |
| 오히려 유토군은 멜리나령 채팅방 여럿을 폭파하며 선방하고 있으므로, 가짜뉴스에 선동되는 일이 없도록 각별히 주의 바랍니다|당시 내보낸 입장문}}
| |
| 5월 21일 케모스 민회 설치계획을 냈으나 지역구 명칭 등의 설정이 난해하여 같은 달 29일 [[바이에른 대공국]]을 출범시켰다.
| |
| | |
| 6월 15일 드디어 케모스 시절부터 염원하던 국회를 출범시켰다. 다만 너무 낮은 활률로 인해 정수 5명을 다 채우지 못하고 4임 체제로 시작해야 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