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진 (벚꽃):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58번째 줄: 58번째 줄:
|}
|}
|}
|}
{{목차}}
==개요==
대한민국의 {{글씨 색|#337AB7|정치인}}. '''7선 국회의원'''과 민선 8,9기 {{글씨 색|#337AB7|제주특별자치도지사}}를 지냈다.
{{글씨 색|#337AB7|극우 정당}}부터 {{글씨 색|#337AB7|민주당계 정당}}까지 모든 계열의 정당을 겪어봤을 정도로 엄청난 정치 철새로 불리우는 인물이다.
==생애==
===제주특별자치도지사===
{{글씨 색|#337AB7|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무소속으로 제주특별자치도지사 선거에 나섰다. 당시 그의 주요 상대 후보로 {{글씨 색|#337AB7|더불어민주당}}의 {{글씨 색|#337AB7|오영훈}}, {{글씨 색|#337AB7|국민의힘}}의 {{글씨 색|#337AB7|허향진}}, 무소속의 {{글씨 색|#337AB7|문대림}} 후보가 있었다. 당시 상황을 보면 민주당계 후보가 두 명이었기 때문에 사실상 표가 갈리는 상황이었다. 이승진 역시 범보수정당계 후보라 표가 갈리는 상황이었으나 허향진과 성공적으로 단일화 한다.
오영훈, 문대림이 결국 단일화를 하지 못했기 때문에 이승진의 지지율이 높은 편은 아니나 어부지리로 당선될 가능성이 높았고, 마지막 여론조사에서 이승진이 35.1%, 오영훈 34.3%로 조사되었다. 결국 본선에서 이승진 36.1%, 오영훈 36.0%로 초접전 끝에 이승진이 제주도지사로 선출되었다.

2024년 2월 21일 (수) 16:34 판

벚꽃 화이트.png
Stockholm
[ 벚꽃 알아보기 ] [ 벚꽃 문서 목록 ]
본 세계관은 '만약에'를 가정한 가상 세계관으로 현실과 무관함을 알리며, 특정 인물을 비하하고자 하는 의도가 없음을 알립니다.
벚꽃 화이트.png
Stockholm
[ 벚꽃 알아보기 ] [ 벚꽃 문서 목록 ]
본 세계관은 '만약에'를 가정한 가상 세계관으로 현실과 무관함을 알리며, 특정 인물을 비하하고자 하는 의도가 없음을 알립니다.
제39·40대 제주특별자치도지사
이승진
李承鎭 |  Lee Seungjin
이승진.png
출생 1952년 5월 24일
제주도 북제주군 구좌면 평대리
(現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평대리)
거주지 서울특별시 성동구 성수동
본관 경주 이씨
현직 사단법인 한반도민주화연맹 이사장
사단법인 국민제주협회 이사장
SNS 페이스북 아이콘.svg | 페이스북 아이콘.svg | 페이스북 아이콘.svg | 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유튜브 아이콘.svg | 네이버 블로그 아이콘.png
[ 펼치기 · 접기 ]
부인 노지현 (이혼)
이수연 (이혼)
김이음 (삼혼)
자녀 장남 이태진
장녀 이현진
차남 이정진
차녀 이연진
삼남 이성진
사남 이혁진
학력 오현고등학교 (불어과/졸업)
제주대학교 (경영학 / 학사)
동국대학교 대학원 (경영학 / 석사 수료)
병역 대한민국 육군 병장 만기전역
종교 불교
소속 정당 통일한국당.svg
의원 선수 7
의원 대수 14, 15, 16, 17, 18, 19, 20
약력 제14~20대 국회의원
한국노동문제연구소 소장
민주자유당 대변인
민주자유당 부총무
민주한국연합 총재
민주한국연합 제17대 대통령 선거 후보
대한민국 제18대 후반기 국회의장
한나라당 제10대 대표 최고위원
우리공화당 공동대표
제39·40대 제주특별자치도지사

개요

대한민국의 정치인. 7선 국회의원과 민선 8,9기 제주특별자치도지사를 지냈다.

극우 정당부터 민주당계 정당까지 모든 계열의 정당을 겪어봤을 정도로 엄청난 정치 철새로 불리우는 인물이다.

생애

제주특별자치도지사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무소속으로 제주특별자치도지사 선거에 나섰다. 당시 그의 주요 상대 후보로 더불어민주당오영훈, 국민의힘허향진, 무소속의 문대림 후보가 있었다. 당시 상황을 보면 민주당계 후보가 두 명이었기 때문에 사실상 표가 갈리는 상황이었다. 이승진 역시 범보수정당계 후보라 표가 갈리는 상황이었으나 허향진과 성공적으로 단일화 한다.

오영훈, 문대림이 결국 단일화를 하지 못했기 때문에 이승진의 지지율이 높은 편은 아니나 어부지리로 당선될 가능성이 높았고, 마지막 여론조사에서 이승진이 35.1%, 오영훈 34.3%로 조사되었다. 결국 본선에서 이승진 36.1%, 오영훈 36.0%로 초접전 끝에 이승진이 제주도지사로 선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