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리마 제국: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베릴 (토론)의 120709판 편집을 되돌림)
태그: 편집 취소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13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ref></ref>||||||<#0082C8><table align=right><table width=400><tablebordercolor=#0082C8><table align=right><:> {{{#fff {{{+3 '''라리마 제국'''}}}[br]{{{+1 Empire of Larimar }}}[br]{{{+1 Империя импе́рия }}}}}}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82C8> '''가상국가였던 라리마 제국을 다루는 문서입니다. ''' ||
 
<ref></ref>||||||<#0082C8><table align=right><table width=375><tablebordercolor=#0082C8><table align=right><:> {{{#fff {{{+2 '''라리마 제국'''}}}[br]{{{+1 Empire of Larimar[* 줄여서 EMPOL이라고도 했다. ] }}}[br]{{{+1 Империя импе́рия }}}}}} ||
||||<:> [[파일:라리마 제국의 국기.png|600px]] || [[파일:라리마 제국의 국장.png|500px]] ||
||||<:> [[파일:라리마 제국의 국기.png|600px]] || [[파일:라리마 제국의 국장.png|500px]] ||
||||<#0082C8><:> {{{#fff {{{ 국기 }}}}}} ||<#0082C8><:> {{{#fff {{{ 국장 }}}}}} ||
||||<#0082C8><:> {{{#fff {{{ 국기 }}}}}} ||<#0082C8><:> {{{#fff {{{ 국장 }}}}}} ||
||||||<#FFFFFF><:> {{{#0082C8 '''Да здравствует Империя Ларимар! [br] {{{-1 라리마 제국 만세! }}}''' }}} ||
||||||<#fff><:>  {{{#0082C8 {{{ 상징 }}}}}} ||||
||||||<#fff><:>  {{{#0082C8 {{{ 상징 }}}}}} ||||
||||<#0082C8><:> {{{#white {{{ 표어 }}}}}} || 지혜로운 승리로[br](Мудрая победа) ||
||||<#0082C8><:> {{{#white {{{ 국조 }}}}}} || 검독수리 ||
||||<#0082C8><:> {{{#white {{{ 국가 }}}}}} || [[라리마 제국의 국가]] ||
||||<#0082C8><:> {{{#white {{{ 국가 }}}}}} || [[라리마 제국의 국가|하느님이여, 차르를 지켜주소서!]][* 러시아 제국의 국가를 사용하였다 ] ||
||||<#0082C8><:> {{{#white {{{ 국석 }}}}}} || 라리마[* 국명의 유래가 되었으며, 나라에 큰 공을 세운 사람에게는 실물 라리마가 수여되었다. 현재까지 라리마를 받은 사람은 2명이다. ] ||
||||||<#fff><:>  {{{#0082C8 {{{ 역사 }}}}}} ||
||||||<#fff><:>  {{{#0082C8 {{{ 역사 }}}}}} ||
||||||<:> 발견 1741년
||||||<:> 2020년 11월 12일 라리마 대공국 설립
라리마 제도 독립 선언 1915년
2020년 11월 11월 12일~2020년 11월 20일 대공 시대
적백내전 1916년
11월 20일 라리마 독립분쟁
라리마 백군, 적백내전 승리 1917년
11월 21일 칭제(稱帝), 라리마 제국 설립
라리마의 명장 라리마 1세, 황제로 추대 1918년
2020년 11월 21일~2021년 1월 18일 전쟁의 시대
나소전쟁 발발 1941년
2021년 1월 18일~1월 24일 라리마 내전
태평양전쟁 1942년||
2021년 1월 24일~2021년 8월 정쟁 시대
||||||<:> [[파일:라리마제국 전체 지형.jpg|섬네일]] ||
2021년 8월 22일~23일 2차 라리마 내전
||||||<#fff><:> {{{#0082C8 {{{ 지리 }}}}}} ||
2021년 8월~2022년 1월 문화부흥의 시대
||||<#0082C8><:> {{{#white {{{ 수도 }}}}}} || [[라리마 시티]] ||
2022년 1월~2022년 4월 황혼기
||||<#0082C8><:> {{{#white {{{ 면적 }}}}}} || 105,838km²/세계 ?위(?위권 이내) ||
2022년 4월 멸망, 라리마로 승계
||
||||||<#fff><:>  {{{#0082C8 {{{ 인문 환경 }}}}}} ||
||||||<#fff><:>  {{{#0082C8 {{{ 인문 환경 }}}}}} ||
||<#0082C8><|2> {{{#white {{{ 인구 }}}}}}
||<#0082C8><|3> {{{#white {{{ 인구 }}}}}}
||<#0082C8><:> {{{#white {{{ 총인구 }}}}}} || 1,760만 명 ||
||<#0082C8><:> {{{#white {{{ 최대인구 }}}}}} || 156명[* 인구 '''3위'''] ||
||<#0082C8><:> {{{#white {{{ 인구밀도 }}}}}} || 141/km² ||
||<#0082C8><:> {{{#white {{{ 최대 활동인구 }}}}}} || 60명 ||
||<#0082C8><:> {{{#white {{{ 최대 정치인구 }}}}}} || 25명 ||
||<#0082C8><|2> {{{#white {{{ 언어 }}}}}}
||<#0082C8><|2> {{{#white {{{ 언어 }}}}}}
||<#0082C8><:> {{{#white {{{ 공용어 }}}}}} || [[러시아어]], [[영어]], 라리마제국어(미완성) ||
||<#0082C8><:> {{{#white {{{ 공용어 }}}}}} || 한국어, 러시아어 ||
||<#0082C8><:> {{{#white {{{ 공용 문자 }}}}}} || 로마자, 키릴문자 ||
||<#0082C8><:> {{{#white {{{ 공용 문자 }}}}}} || 한글, 키릴 문자 ||
||||<#0082C8><:> {{{#white {{{ 종교 }}}}}} || 국교 없음(정교 분리) ||
||||<#0082C8><:> {{{#white {{{ 종교 }}}}}} || 국교 없음(정교 분리)[* 후기에는 기독교를 배척하였다. ] ||
||||<#0082C8><:> {{{#white {{{ 군대 }}}}}} || [[라리마 제국군]] ||
||||<#0082C8><:> {{{#white {{{ 군대 }}}}}} || 라리마군 ||
||||||<#fff><:>  {{{#0082C8 {{{ 하위 행정구역 }}}}}} ||
||||||<#fff><:>  {{{#0082C8 {{{ 하위 행정구역(방) }}}}}} ||
||||<#0082C8><:> {{{#white {{{ 직할시 }}}}}} || 4개 직할시 ||
||||<#0082C8><:> {{{#white {{{ 11월 12일방 }}}}}} || 라리마->멀리니아->상트페테르부르크 ||
||||<#0082C8><:> {{{#white {{{ }}}}}} || 9개 주 ||
||||<#0082C8><:> {{{#white {{{ 7월 방 }}}}}} || 포스페이트->노보시비르스크->라리마재건운동 ||
||||<#0082C8><:> {{{#white {{{ 속령 }}}}}} || 광명민국(러스트라스), 부여 ||
||||<#0082C8><:> {{{#white {{{ 기타 }}}}}} || 라리마군, 국가두마, 라리마정보부, 라리마정부, 라리마황실 ||
||||||<#fff><:>  {{{#0082C8 {{{ 정치 }}}}}} ||
||||||<#fff><:>  {{{#0082C8 {{{ 정치 }}}}}} ||
||||<#0082C8><:> {{{#white {{{ 정치 체제 }}}}}} || 군주정, 의원내각제, 입헌군주제, 단원제, 단일국가 ||
||||<#0082C8><:> {{{#white {{{ 정치 체제 }}}}}} || 전제군주제->입헌군주제->전제군주제->입헌군주제->임시정부->공화주의적 전제군주제->전제군주제 ||
||<#0082C8><|2> {{{#white {{{ 정부요인 }}}}}} ||<#0082C8> {{{#white {{{ 황제(국가원수) }}}}}} || [[베릴(가상국가 유저)|베릴 7세]] ||
||||<#0082C8><:> {{{#white {{{ 칭호 }}}}}} || 대공국->황제국->차르국 ||
||<#0082C8><:> {{{#white {{{ 총리 }}}}}} || [[벨지엄|Himiko Toga]] ||
||<#0082C8><|2> {{{#white {{{ 정부요인 }}}}}} ||<#0082C8> {{{#white {{{ 황제(차르) }}}}}} || 베릴 ||
||||<#0082C8><:> {{{#white {{{ 여당 }}}}}} || [[라리마 국민연대당]] ||
||<#0082C8><:> {{{#white {{{ 총리 }}}}}} || 벨지엄 외 12명  ||
||||||<#fff><:> {{{#0082C8 {{{ 경제 }}}}}} ||
||||<#0082C8><:> {{{#white {{{ 여당 }}}}}} || USA당<br>민정당<br>국민연대당<br>국가강대연합당<br>공화당<br>횅진국의당<br>제국체제<br>없음 ||
||<#0082C8><|2> {{{#white {{{ GDP }}}}}}
||<#0082C8><:> {{{#white {{{ GDP }}}}}} || $6,250억 ||
||<#0082C8><:> {{{#white {{{ 1인당 GDP }}}}}} || $27,446 ||
||<#0082C8><:> {{{#white {{{ 화폐 }}}}}}
||<#0082C8><:> {{{#white {{{ 공식 화폐 }}}}}} || [[라리마 커런덤]] ||
||||||<#fff><:>  {{{#0082C8 {{{ 단위 }}}}}} ||
||||||<#fff><:>  {{{#0082C8 {{{ 단위 }}}}}} ||
||||<#0082C8><:> {{{#white {{{ 법정연호 }}}}}} || 서력기원 ||
||||<#0082C8><:> {{{#white {{{ 법정연호 }}}}}} || 서력기원, 인류기원, 라리마기원 ||
||||<#0082C8><:> {{{#white {{{ 시간대 }}}}}} || (UTC+11), (UTC+12)(셀레스틴 섬에 한하여) ||
||||<#0082C8><:> {{{#white {{{ 시간대 }}}}}} || UTC+9, UTC-5 ||
||||<#0082C8><:> {{{#white {{{ 도량형 }}}}}} || SI 단위 ||
||||<#0082C8><:> {{{#white {{{ 도량형 }}}}}} || SI 단위 ||
||||||<#0082C8><:>  {{{#fff {{{ 도메인 }}}}}} ||||
||||||<#fff><:>  {{{#0082C8 {{{ .pec }}}}}} ||||
||||||<#0082C8><:>  {{{#fff {{{ 국제 전화 코드 }}}}}} ||||
||||||<#fff><:>  {{{#0082C8 {{{ +71 }}}}}} ||||
||||||<#fff><:> [[파일:라리마 제국의 국장.png|30px]] ||
||||||<#fff><:> [[파일:라리마 제국의 국장.png|30px]] ||


== 개요 ==
== 개요 ==
라리마 제국([[러시아어]]: Империя импе́рия, [[영어]]: Empire of Larimar)은 북태평양에 위치한 군주제 국가이다.
 
'''라리마 제국([[러시아어]]: Империя импе́рия, [[영어]]: Empire of Larimar)'''2020년부터 2022년까지 존재했던 국가이며 후에 라리마로 승계되었다.


== 상징 ==
== 상징 ==
=== 국호 ===
=== 국호 ===
라리마 제국의 국호는 도미니카 공화국에서만 발견되는 희귀한 보석인 ''''라리마([[영어]]: Larimar)''''에서 유래되었다. (설정상 라리마 제도애 살던 원주민 부족의 이름)
라리마 제국의 국호는 라리마제국 라리마 섬의 원주민이 아이가 지역어로[* 이 언어는 현재 사멸되었다. 덕분에 라리마라는 이름은 이 언어의 알려진 유일한 단어가 되었다.] "안녕" 이라는 뜻의 '''"라리마"'''를 러시아 탐험대에게 말한 것에서 유래되었다.
현실의 보석 라리마는 설정상 라리마 지역에서 처음 발견되어 '''라리마([[영어]]: Larimar)'''라는 이름이 붙었다.
적백내전 이전까지 라리마라는 이름은 지역(주)의 이름으로써 쓰였는데, 적백내전이 발발하고 러시아제국과 백군이 라리마로 도피하자 점차 대만과 같이 지역명이 국가명으로 불리기 시작하다가,(1973년까지 국가의 이름은 엄연한 러시아제국이었다) 1973년 개헌과 국명 변경이 이루어지면서 국명이 되었다.


=== 국기 ===
=== 국기 ===
62번째 줄: 63번째 줄:
||<table width=350><table bordercolor=#0082C8><#0082C8> '''{{{#ffffff △ 라리마 제국의 국기}}}''' ||
||<table width=350><table bordercolor=#0082C8><#0082C8> '''{{{#ffffff △ 라리마 제국의 국기}}}''' ||


라리마의 국기는 일명, ''''제국기''''라는 명칭으로 불리며 국기에서 흰색은 적백내전에서 승리한 라리마의 백군을, 푸른색은 라리마의 푸른 바다와 라리마 보석의 푸른색을, 노란색은 라리마의 풍요로운 땅을 상징한다.
가로형 삼색기이다. 노랑색은 라리마의 풍요로운 자원과 부유, 로마노프 왕실를 상징하며, 하늘색은 드넓은 태평양을, 하양색은 러시아 내전 백군의 숭고한 정신을 상징한다. 1973년 개헌 당시에 지정되었으며, 공모와 국민투표를 통해 정해진 국기이다.
{{본문|라리마 제국의 국기}}
 
||<table align=center><bgcolor=#ffffff> [[파일:라리마 전 국기.png|width=350]] ||
||<table width=350><table bordercolor=#0082C8><#0082C8> '''{{{#ffffff △ 1973년 이전의 국기}}}''' ||
1973년 이전의 국기이다. 러시아제국의 국기는 본토 시절부터 자주 바뀌어왔지만 국부천대 이후 1917년부터 1973년까지 바뀌지 않았다. 익히 아는 러시아의 삼색기에 로마노프 가문의 문장이 들어간 모습이다.
 
||||||<table width=400><tablebordercolor=#ffffff><table align=center><:><#fff><:>  {{{#000000 {{{ 라리마 국기(헥스 코드) }}}}}} ||
||||<#ffffff><:> {{{#Black {{{ 하양 #ffffff }}}}}} ||
||||<#0082C8><:> {{{#Black {{{ 본디 블루 #0082C8 }}}}}} ||
||||<#fecf05><:> {{{#Black {{{ 탄저린 옐로우 #fecf05 }}}}}} ||


=== 국가 ===
=== 국가 ===
{{본문|라리마 제국의 국가}}


=== 국장 ===
=== 국장 ===
72번째 줄: 80번째 줄:
||<table width=350><table bordercolor=#0082C8><#0082C8> '''{{{#ffffff △ 라리마 제국의 국장}}}''' ||
||<table width=350><table bordercolor=#0082C8><#0082C8> '''{{{#ffffff △ 라리마 제국의 국장}}}''' ||


라리마의 국장은 독립 선언 직후인 1915년 제정되었으며 쌍두독수리는 라리마가 제국의 황실을 상징한다.
라리마의 국장은 역시 개헌 후인 1973년에 제정되었다. 라리마의 국기는 라리마를 상징하며, 쌍두독수리는 라리마제국의 로마노프 왕조, 러시아제국과 그 뿌리 로마노프 왕조를 상징한다. 1990년까지는 로마노프 가문의 검은 쌍두독수리를 국장으로 사용했다.
{{본문|라리마 제국의 국장}}


== 역사 ==
== 역사 ==
러시아 이전(~1741)
라리마 제국은 과거 러시아제국의 일부였으나, 적백내전으로 인해 백군이 라리마로 도피하고 후에 명칭을 바꾸어 현재의 라리마가 되었다.
러시아제국이 이 지역에 당도하기 전까지 라리마의 인문환경은 부족사회에 불가했다. 이들 민족은 코랴크인과 알류트인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약 5000~7000명이 살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캄차카(알류산)->아니안->라리마 섬 순서로 넘어 왔으리라 추측된다. 이들은 아니안 섬 전역, 라리마 섬 북부 멀린 지역에 살았다. 또 셀레스틴 섬의 폴리네시아인들은 기원후 1000년경에 하와이에서 넘어왔을 것으로 추정된다.
{{본문|라리마 제국의 역사}}
 
{근세}
[개척기(1741~1799)]
이 지역이 처음 발견된 때는 1741년 러시아에 의해서였다. 1741년 비투스 베링이 베링 해협과 알류산 열도를 발견할 때 라리마 섬과 아니안 섬도 발견되었고, 1747년 올레그 솔로브요프가 아니안 섬을 정착지로 삼았고 아니안 섬과 라리마 섬 일대의 이름을 오텬 보스토크(대양을 점령한다)라고 이름 짓는다. 1754년 바짐 그리고리예프는 현재의 라리마 멀리니아 지역에 정착했다. 이때부터 아주 조금씩 이주가 시작되었으며, 1780년경에는 인구가 1500명에 달했다고 한다. 이중 900명가량은 아니안 섬에, 600명 가량은 라리마 섬에 정착했으며, 원주민과 대치했다고 알려져 있다.
러시아가 극동을 개척할 동안, 1778년 제임스 쿡 선장을 앞세운 영국의 3차 항해에서 쿡 선장은 셀레스틴 섬을 발견했다. 1786년부터 영국 정부는 셀레스틴 섬을 죄수 수용소로 쓰려 했지만, 뉴사우스웨일스(현 오스트레일리아)에 밀려 각광받지 못하다가 1791년에는 완전히 끊겨버린다.
[본격적인 식민지화와 그레이트 게임(1799~1904)]
러시아의 페벨 1세와 알렉산드르 1세는 라리마 지역의 중요성을 깨닫고 포스페이트 지역을 러시아령 아메리카의 주도로 지정하고 이민정책을 실시한다. 이 과정에서 대부분의 원주민들은 북부 멀린 황무지로 밀려났으며, 아니안 섬에서는 버려지거나 학살당하는 등 인구수가 급감한다.
1799명 1500명에서 시작해 러시아령 라리마의 인구는 1829년 54000명까지 증가했고, 이듬에 러시아령 아메리카에서 분리해 나와 러시아의 한 주, 라리마 제도가 되었다.  또 영국은 인데버 섬에 이주자들을 이주시키고 해군력을 집중시키는 등 태평양에서의 그레이트 게임도 가속되었다. 러시아는 라리마를 손에 넣음으로써 일본과 중원, 동남아 등 동부 아시아에서의 영향력을 확대할 수 있었다. 이 호황기에 라리마에서 석유와 광물, 특히 금이 발견되자 1840년대 러시아의 많은 평민층이 라리마로 집중되었으며, 멀리니아의 인구는 50만, 라리마 전체의 인구는 110만에 달할 정도로 강성해졌다. 하지만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있는 황제와 너무 멀리 떨어진, 그것도 북아시아의 섬이라는 지형적 특징 때문에 수십년이 지나면서 우리는 러시아인이 아닌 라리마인이라는 라는 생각이 자라나고 있었으며, 이는 후에 라리마인들이 같은 민족임에도 불구하고 러시아로부터 독립한 것에 큰 영향을 끼친다. 또 북태평양에서 러시아와 영국의 산발적인 군사충돌도 이어진다.
{근대}
[러일전쟁, 1차 세계대전과 라리마의 독립(1904-1925)]
1904년 러시아와 일본 간 전쟁이 발발하면서 라리마 내의 긴장도 고조되었다. 징병제가 실시되었으며, 라리마 청년들은 러시아의 해군으로 복무하게 된다. 러시아는 발틱함대가 오기 전까지 라리마제국의 함대들로 일본과 전쟁하고 있었지만, 일본에 직접적인 공격을 가할 수는 없었고, 발틱함대가 괴멸당하자 이는 러시아의 패배로 끝난다. 이 과정에서 무고한 라리마제국의 청년들이 죽어갔다는 사실로 인해 라리마 제도의 도민들은 러시아 당국에 불만을 품게 된다.
1914년 1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러시아는 영국, 프랑스와 함께 삼국협상을 조직해 독일, 오스트리아-헝가리와 싸웠으며, 이때도 인구와 자원이 많은 축에 속하는 라리마제국에서 많은 인적자원과 군수품이 시베리아횡단철도를 타고 러시아 서부, 남부전선에 투입되었다. 하지만 이 과정은 오히려 피어오르는 불씨에 기름을 붓는 격이 되었으며, 1914년 후반부터 데모, 폭력시위의 건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한다. 하지만 니콜라이 2세는 전쟁이 집중하느라 라리마 주민들을 위할 새가 없었으며, 이는 러시아 당국이 라리마를 착취하는 모양새로 비춰지고, 급기야 1915년부터는 라리마제도 해방위원회가 설립되어 광산, 러시아 관공서 등을 습격하기 시작했고, 일본과 미국, 러시아 등지에서 해방운동을 펼치기도 했다. 이들 주요 지지층은 왕당파와 공화파였으며, 몐세비키도 소수 있었으나 대체로 라리마 제도의 주민들은 러시아 본토의 주민보다 부유한 편이었기에 볼셰비키는 별로 환영받지 못한다.  2월혁명이 일어나자 라리마측 인원도 임시정부를 만들었고, 3월부터 10월까지는 비교적 평화로웠다. 하지만 10월 혁명이 터지고 내전이 발발하자 라리마 내에서도 라리마 내전이 벌어지지만 이는 3달 후 백군의 승리로 종결되고, 적백내전 당시에는 백군의 본거지처럼 쓰였다. 그 후 러시아에서 적군이 승리하자 라리마는 핀란드와 같이 독립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국가 틀이 갖추어질 때 가까웠던 영국의 영향을 많이 받아 당시 독립장군이었던 베릴 1세를 왕으로 추대하고 의원내각제가 갖추어진 영국식 입헌군주제가 갖추어진다. 라리마라는 이름은 원주민 종족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


[1920~30년대]
== 자연환경 ==
라리마는 영미권의 지지를 받아 소련, 일본을 경계할 대상으로써 많은 지원을 받는다. 그동안 자원과 이익이 러시아에게로 돌아가 국가 자체 개발을 못하고 있었는데, 막대한 자원과 영국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시너지 효과를 냈다. 당시 토목업이 흥해 포스페이트 운하, 미메타이트-다이아스포어 교각 등은 이때 지어진 것이다.
이렇게 쑥쑥 성장하는 신생국가 라리마였지만 끝은 있었다. 당시 라리마는 국가 총생산의 상당 부분을 수출에 의존했는데, 대공황이 찾아오자 라리마의 물건이나 광물을 사는 국가가 없어진 것이다. 대공황이 닥치자 라리마 경제또한 나락으로 떨어졌다. 실업률은 30%에 달했고, GDP의 41%이 증발했다. 많은 수의 경제학자들은 다른 국가에 비해 발달한 내수시장, 지리상의 위치로부터 나온 이익이 없었다면 라리마가 후진국이 되거나, 다른 국가에게 합병되었을 것이라고 말한다. 또 1930년대 라리마를 넘본 소련이 도발을 자주 하였다.


[1941~1942년, 라리마, 소련 전쟁, 나소전쟁]
=== 지리 ===
1941년 초엽부터 2국의 긴장은 높아져 갔다. 당시 아니안 섬을 갖고 있었던 소련이 자신의 전투기로 라리마의 영공을 지나기도 했고, 양 측에서 불법 조업이 활발해 나포되는 선박이 많았고 그중엔 결국 사형되는 인물들도 있었다.
||<table align=center><bgcolor=#ffffff> [[파일:지형 서드으.jpg|width=350]] ||
또 아니안 섬에서 라리마 극단주의자들의 총기사고가 심심찮게 일어나기도 했다.  1941년 4월 17일 국민 앞에서 연설 중이었던 베릴 3세와 궁내부, 외교부장관과 황태자가 당시 연설대 아래 숨겨져 있던 폭탄이 터져 폭사당하는 사건이 발생한다. 사건의 주모자는 러시아인이였으며, 테러를 감행한 후 자살했다.
||<table width=350><table bordercolor=#0082C8><#0082C8> '''{{{#ffffff △ 라리마 제국의 지형도}}}''' ||
이 사건으로 인해 라리마 제국의 국민들은 소련과의 전쟁을 외쳤으며, 비교적 온건파였던 내각도 원래는 전쟁을 원치는 않았으나, 황제 암살 사건으로 인해 전쟁 ‘직전’ 수준의 준비를 하게 된다. 또 황태자와 황제가 동시에 사망함에 따라 베릴 3세의 장녀 베릴 4세, 베릴 여황제가 즉위하게 된다.
라리마 제국은 큰 '''6개의 섬'''과 작은 '''수천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섬나라이다.
라리마가 전쟁을 원하는 것은 소련에게도 오히려 좋은 신호였다. 대공황의 낫을 피한 소련은 폴란드 분할로 인해 더욱 자신만만해졌으며, 골칫거리였던 라리마제국을 정벌하면 태평양의 패권을 차지할 수 있으리라 믿었다.
{{본문|라리마 제국의 지리}}
그리고 1941년 4월 29일 러시아의 북부 군사도시 아르한겔스크 항구에서 폭탄 테러가 일어난다. 이 사건은 소련 측에서 기록을 말소했기 때문에, 라리마제국 극단주의자가 테러를 감행했는지, 소련이 꾸민 일인 지 알 수는 없지만, 소련은 이를 구실삼아 5월 1일 라리마제국에 선전포고한다. 라리마제국도 오히려 소련 정벌론이 대두되기까지 한 상황이었기에 거리낌없이 전쟁을 시작한다. 초기에는 당연히 소련이 우세했다. 라리마제국은 자시만만하게 자신의 신식 무기를 뽐냈으나, 소련의 강한 기술력 앞에 처참히 무너져 5월 21일 다이어스포어 방어선이 뚫리고, 1주 뒤 5월 28일 멀리니아 방어선도 무너져 북부 지방이 점령당했다. 또 멀리니아 전선에서 벼텨오던 라리마제국군은 계속 후퇴해 6월 1일 미메타이트 전 지역을 내주고, 6월 10일 포트 오브 라리마시(포스페이트)와 사우스 우라니아를 제외한 모든 지역이 소련에 의해 점령당하기에 이른다. 또 6월 24일 우라노 섬마저 함락되면서, 라리마에겐 포스페이트밖에는 남지 않게 되었다. 이 포스페이트는 나소전쟁의 종결까지 결국 함락당하지 않았는데, 소련은 포스페이트를 충분히 함락할 수 있지만 그렇지 못한 이유로 스탈린의 대숙청으로 인해 인재들이 많이 사라져서 그렇다는 학설이 지배적이다. 하지만 6월 22일 독소전쟁이 발발하고, 소련군의 상황은 급격하게 나빠진다. 소련군은 극동 지역의 군 병력을 서부 전선에 투입시키기 위해 라리마 지역에 최소한의 군 병력만 남겨 두었으며, 이는 라리마제국에게 청신호였다. 라리마제국은 마지막 희망인 포스페이트를 쥐어짜내 1941년 겨울까지 원래의 영토를 회복하는데 성공한다. 사기가 넘친 라리마제국군은 소련군이 어쩔 수 없이 병력을 서부전선으로 빼는 동안 북진하기 시작한다. 1942년 5월 7일 라리마제국은 아니안 섬의 핵심지 테린스크를 함락하고, 소련군을 산간지대에 고립시키며, 5월 말에는 코만도르스키예 제도와, 페트로파블로프스크캄차 츠키를 점령했다. 소련군도 나름대로 총력을 다했으나 서부전선을 관리하기도 힘든데 동부전선까지 신경쓰기 어려웠다. 이때 라리마왕국은 라리마제국이 되었으며, 이 이름이 지금까지 유지되고 있다
하지만 6월 중순이 되면서 라리마제국은 예상치도 못한 적을 맞이한다. 바로 일본제국이었다. 일본제국이 사우스 우라니아 지방을 공습함에 따라 라리마가 태평양전쟁에 참여하게 되자, 독일과 전쟁 중이었던 소련과 라리마의 이해 관계가 맞아떨어져 아니안 섬을 라리마의 영토로 하고, 코만도르스키예 제도와 캄차카에서 라리마제국군을 철수하고, 아니안 섬의 고립된 소련군을 평화롭게 소련으로 되돌려 보내는 방식으로 1942년 6월 19일 나소전쟁은 종결되었다.
[1942-1945 태평양전쟁]
1942년 5월 31일 일본제국이 라리마제국을 침범한다. 두개의 군단으로 나뉘어 한쪽은 우라니아 지방을, 다른 한쪽은 노시안과 세나딘 지방을 공격하였다.  일본의 목적은 라리마의 기지화, 자원 강탈이었다. 아직 소련과의 포로교환도 끝나지 않은 상황에서 전쟁이 일어났지만 라리마제국은 곧바로 미국과 동맹을 결성했다. 처음에는 수도가 포위당하는 등 고전했지만, 미드웨이 해전을 시작으로 전세가 뒤바뀌기 시작하고, 라리마운하 해전, 크로프스키 전투, 우라니아 해전을 거치며 1943년 8월까지 일본군을 몰아내었다. 이로써 라리마제국도 2차 세계대전의 승전국에 끼게 되었다.
[1945~현대]
비록 세계대전의 승전국이 되었지만 피해만 막심한 승리였다. 소련과 일제에게 두 차례나 영토가 황폐화되었고, 특히 라리마제국의 식량창고 남부지역에는 식량을 재배하지 못할 정도까지 토질이 나빠져서 라리마제국은 1949년까지 기아와 굶주림에 빠진다. 하지만 1950년 애치슨라인에 라리마가 포함되고, 한국전쟁이 터지면서 라리마는 대만, 일본과 더불어 미국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아 경제를 회복하는데 성공한다. 한국전쟁을 계기로 라리마제국에도 미군이 주둔하게 되었으며, 이는 소련이 붕괴한 1991년까지 이어진다.
[1969-1977 셀레스틴 지역의 독립과 셀레스틴 내전, 라리마제국의 개입]
라리마제국은 1963년 경제를 완전히 회복하고, 상승세에 접어들었다고 선언한다. 이전까지의 1차산업은 점차 중공업으로 변화하고 있었고, 경제 성장률은 연간 11%에 이를 정도였다. 한편 영국의 식민지였던 셀레스틴 지역은 영국과의 긴 협상 끝에 1969년 독립하게 된다. 하지만 부패한 지도자와 나라 안정화 실패 등으로 인해 반란이 또다시 일어나고, 셀레스틴 공화국은 내전에 빠지게 된다.
처음에, 라리마는 이 내전에 관해 별 관심이 없었지만, 내전으로 인한 난민 발생, 범죄자들의 약탈 등으로 라리마 동부 칼세르 주의 치안이 크게 나빠지고, 심지어는 셀리스틴의 정부군 조차도 반란군 소탕을 목적으로 라리마 본토에 상륙을 시도하자 라리마제국은 이를 선전포고로 받아들이고 셀레스틴 내전에 개입한다. 라리마군의 셀레스틴 점령은 매우 빨랐다. 1976년 여름에 이루어진 상륙작전에서부터 1977년 겨울 잔존세력을 모두 정벌하고 치안을 안정화하기까지 불과 2년이 걸리지 않았다. 처음에는 영국을 비롯한 국제사회의 비판과 제제를 받기도 했으나, 셀레스틴 지역의 강한 자치권과 족비정책을 펼치자 1990년대에는 대부분 이런 논란이 사라지고 셀레스틴 자치주는 라리마제국의 영토로써 굳혀진다.
1991년 소련이 붕괴하면서 라리마에게 직접적인 안보위협은 사라진 것이나 마찬가지가 되었다. 1992년 주라미군이 철수하고, 1998년 러시아와 결국 수교를 맺으면서 라리마제국에는 평화가 깃들었다. 또한 2001년 OECD의 회원국이 되었다. 2008년 리먼 브라더스 사태로 인해 경제가 휘청이기도 했지만 탄탄한 기반사업으로 인해 2020년대 중반까지 회복하는 데 성공하고, 2017년에 베릴 6세가 즉위한다.  2020년대에 들어서는 북극항로를 중점으로 국제전략을 짜고 있다.


== 실제 역사 ==
===기후===
||<table align=center><bgcolor=#ffffff> [[파일:라리마의 기후도3.jpg|width=500]] ||
||<table width=500><table bordercolor=#0082C8><#0082C8> '''{{{#ffffff △ 라리마 제국의 기후도}}}''' ||


== 지리, 자연환경 ==
라리마 제도는 전형적인 '''서안 해양성 기후'''가 주로 분포한다. 위치상으로 구로시오 해류와 캄차카 해류가 만나 형성되는 난류인 북태평양 해류의 길목에 있으며, 대륙이 근접하지 않아 편서풍만의 영향을 받기에 강수량이 고르고 연교차가 적은 편이다. 계절풍의 영향이 적다. 다만 북태평양 해류가 북대서양 난류보다 약하기 때문에 영국이나 파리보다는 아주 조금 추운 편이다. 또 북태평양 고기압의 영향권에서 한 발짝 물러나 있다.  
[[파일:라리마제국 전체 지형.jpg|섬네일]]
미메타이트 산맥, 라리마 고원의 브루카이트 화산 주변, 다이어스포어 중앙 등지에는 '''온대 고산기후'''가 나타난다.
라리마 제국은 큰 6개의 섬과 작은 수십 개의 섬으로 구성된 국가로 각 마다의 독자적인 지형으로 구성되어있다.


* '''중부'''
북쪽 아니안 섬은 훨씬 추운 섬이다. 남부 지역만 미약하게나마 북태평양 해류와 편서풍의 영향을 받아 추운 '''아극 해양성 기후'''가 나타난다. 그 북쪽은 전부 캄차카 한류와 북극에서 불어오는 냉풍의 영향권이다. 섬은 주로 '''냉대 습윤 기후'''를 나타내며, 남쪽 일부 지역은 아극 해양성 기후, 북서 지방과 화산 주변에는 '''툰드라 기후'''를 보인다.


* '''북부'''
남동쪽 셀레스틴 섬은 열대섬이다. 기후는 대체로 하와이와 비슷하며, '''습윤 아열대 기후'''이다. 화산 주변에는 '''상춘기후(열대 고산기후)'''가 나타나지만 사람이 거주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 '''남부'''
 
* '''동부'''
 
* '''서부'''


=== 인문환경 ===
=== 인문환경 ===
133번째 줄: 111번째 줄:


=== 언어 ===
=== 언어 ===
라리마는 과거 러시아의 지배를 받았기에 '''러시아어'''를 공용어로 사용하며 이 외에도 지리적으로 미국과도 가깝기 때문, 영국계 출신이 많은 점에 '''영어'''도 공용어로 규정되어있다.
라리마제국은 과거 러시아의 지배를 받았으며 대부분의 국민들이 러시아계이기에 '''[[러시아어]]'''를 공용어로 사용한다. 라리마의 러시아어는 미국 영어와 같이 표준 러시아어와 차이가 있다. 또한 지리적으로 미국과 가깝고 셀레스틴 지역에 영국계가 많기에 '''[[영어]]'''또한 공용어이다.  
라리마 제국 내에서 인공언어를 만들고 있으며 2022년 초 발표될 계획이다.
원주민들이 사용하는 언어로는 아니안 지역에 캄차카계 주민이 쓰는 '''[[라리마어]]'''[* 국명 '''라리마''' 또한 라리마어로 '안녕' 이란 뜻이다], 셀레스틴의 폴리네시아계 주민들이 쓰는 '''[[토소어]]'''가 있다. 라리마 섬 남부에 미크로네시아계 부족이 쓰던 언어, 러스트라스 지역의 폴리네시아계 언어도 있었으나, 러시아의 남하로 사멸하였으며, 라리마어와 소토어 역시 사멸 위기에 처해 있다.
 
=== 종교 ===
=== 종교 ===
 
기독교의 비중이 높다. 정교회 41%, 성공회를 포함한 개신교 31%, 무종교가 24%이며, 불교 4%와 기타 종교가 1% 있다.


=== 교통 ===
=== 교통 ===


== 행정구역 ==
== 행정구역 ==
||<table align=center><bgcolor=#ffffff> [[파일:라리마제국 8차 행정구역.png|width=500]] ||
||<table width=500><table bordercolor=#0082C8><#0082C8> '''{{{#ffffff △ 라리마 제국의 행정도}}}''' ||
'''남서''', '''북동''', '''북''', '''동''', 지방으로 나뉘고, 4개의 제국시, 7개의 주, 2개의 자치주로 이루어져있다.
{{본문|라리마 제국의 행정구역}}
{{본문|라리마 제국의 행정구역}}
라리마 제국은 4개의 직할시, 9개의 주로 나뉘어져있다.
 
==국토와 자원==
||<table align=center><bgcolor=#ffffff> [[파일:라리마제국 인 월드.png|width=500]] ||
국토 전체가 태평양에 걸쳐 있다. 아시아 혹은 오세아니아로 분류하는데, 라리마제도와 아니안은 북아시아, 라리마제도는 극동아시아, 셀레스틴 섬과 러스트라스는 폴리네시아로 분류한다. 섬나라라서 접경국은 없지만, 러시아, 일본, 미국(하와이), 마셜 제도 등이 근접국으로 분류된다.[* 그래봤자 족히 1000km는 넘게 떨어져있다] 국토는 대략 과테말라와 비슷한 크기이며 공교롭게도 100위이다.
자원은 자원에만 기댈 정도로 풍족하지는 않지만 내수와 소량의 수출을 할 정도는 있다.라리마제도와 러스트라스는 밀을 주로 재배하며, 셀레스틴은 서류를 주로 재배한다. 광물자원은 대부분 라리마 제도에서 나오며, 러스트라스에 석유가 있다. 아니안 섬은 목재로도 유명하다.


== 정치 ==
== 정치 ==
{{본문|라리마 제국의 황제}}
{{본문|라리마 제국의 내각총리대신}}
=== 행정 ===
{{본문|라리마 내각}}
=== 입법 ===
{{본문|국가의회(라리마)}}
=== 사법 ===


=== 정당 ===
=== 정당 ===
여당:국민연대당
{{본문|라리마 제국의 정당}}
제1야당:민정당
 
=== 행정 ===


=== 국제관계 ===
=== 국제관계 ===
{{본문|라리마 제국의 대외관계}}


== 경제 ==
== 경제 ==
{{본문|라리마 제국의 경제}}


== 사회 ==
== 사회 ==
==황실==
{{본문|라리마 제국의 황실}}


=== 교육 ===
=== 교육 ===
163번째 줄: 161번째 줄:


== 군사 ==
== 군사 ==
{{본문|라리마 제국군}}
{{본문|라리마군}}


== 단위 ==
== 단위 ==
171번째 줄: 169번째 줄:
=== 시간대 ===
=== 시간대 ===
라리마 제국의 시간대는 UTC+11로 규정되어있다.
라리마 제국의 시간대는 UTC+11로 규정되어있다.
대부분의 행정구역이 이 시간대를 따르고 있으나, 동쪽에 있는 셀레스틴 자치주는 UTC+12를 따르고 있다.
대부분의 [[라리마 제국의 행정구역|행정구역]]이 이 시간대를 따르고 있으나, 동쪽에 있는 셀레스틴 자치주, 러스트라스 주는 UTC+12를 따르고 있다.


== 관련 문서 ==
== 관련 문서 ==
181번째 줄: 179번째 줄:


==외부 링크==
==외부 링크==
[https://open.kakao.com/o/gARXqqGc 카카오톡]
 


[[분류:라리마 제국]]
[[분류:라리마 제국]]

2024년 2월 23일 (금) 00:14 기준 최신판

가상국가였던 라리마 제국을 다루는 문서입니다.
라리마 제국
Empire of Larimar 줄여서 EMPOL이라고도 했다.
Империя импе́рия
라리마 제국의 국기.png라리마 제국의 국장.png
국기 국장
Да здравствует Империя Ларимар!
라리마 제국 만세!
상징
국조 검독수리
국가 하느님이여, 차르를 지켜주소서! 러시아 제국의 국가를 사용하였다
국석 라리마 국명의 유래가 되었으며, 나라에 큰 공을 세운 사람에게는 실물 라리마가 수여되었다. 현재까지 라리마를 받은 사람은 2명이다.
역사
2020년 11월 12일 라리마 대공국 설립
2020년 11월 11월 12일~2020년 11월 20일 대공 시대
11월 20일 라리마 독립분쟁
11월 21일 칭제(稱帝), 라리마 제국 설립
2020년 11월 21일~2021년 1월 18일 전쟁의 시대
2021년 1월 18일~1월 24일 라리마 내전
2021년 1월 24일~2021년 8월 정쟁 시대
2021년 8월 22일~23일 2차 라리마 내전
2021년 8월~2022년 1월 문화부흥의 시대
2022년 1월~2022년 4월 황혼기
2022년 4월 멸망, 라리마로 승계
인문 환경
인구
최대인구 156명 인구 3위
최대 활동인구 60명
최대 정치인구 25명
언어
공용어 한국어, 러시아어
공용 문자 한글, 키릴 문자
종교 국교 없음(정교 분리) 후기에는 기독교를 배척하였다.
군대 라리마군
하위 행정구역(방)
11월 12일방 라리마->멀리니아->상트페테르부르크
7월 방 포스페이트->노보시비르스크->라리마재건운동
속령 광명민국(러스트라스), 부여
기타 라리마군, 국가두마, 라리마정보부, 라리마정부, 라리마황실
정치
정치 체제 전제군주제->입헌군주제->전제군주제->입헌군주제->임시정부->공화주의적 전제군주제->전제군주제
칭호 대공국->황제국->차르국
정부요인 황제(차르) 베릴
총리 벨지엄 외 12명
여당 USA당
민정당
국민연대당
국가강대연합당
공화당
횅진국의당
제국체제
없음
단위
법정연호 서력기원, 인류기원, 라리마기원
시간대 UTC+9, UTC-5
도량형 SI 단위
라리마 제국의 국장.png

개요

라리마 제국(러시아어: Империя импе́рия, 영어: Empire of Larimar)2020년부터 2022년까지 존재했던 국가이며 후에 라리마로 승계되었다.

상징

국호

라리마 제국의 국호는 라리마제국 라리마 섬의 원주민이 아이가 지역어로 이 언어는 현재 사멸되었다. 덕분에 라리마라는 이름은 이 언어의 알려진 유일한 단어가 되었다. "안녕" 이라는 뜻의 "라리마"를 러시아 탐험대에게 말한 것에서 유래되었다. 현실의 보석 라리마는 설정상 라리마 지역에서 처음 발견되어 라리마(영어: Larimar)라는 이름이 붙었다. 적백내전 이전까지 라리마라는 이름은 지역(주)의 이름으로써 쓰였는데, 적백내전이 발발하고 러시아제국과 백군이 라리마로 도피하자 점차 대만과 같이 지역명이 국가명으로 불리기 시작하다가,(1973년까지 국가의 이름은 엄연한 러시아제국이었다) 1973년 개헌과 국명 변경이 이루어지면서 국명이 되었다.

국기

라리마 제국의 국기.png
△ 라리마 제국의 국기

가로형 삼색기이다. 노랑색은 라리마의 풍요로운 자원과 부유, 로마노프 왕실를 상징하며, 하늘색은 드넓은 태평양을, 하양색은 러시아 내전 백군의 숭고한 정신을 상징한다. 1973년 개헌 당시에 지정되었으며, 공모와 국민투표를 통해 정해진 국기이다.

라리마 전 국기.png
△ 1973년 이전의 국기

1973년 이전의 국기이다. 러시아제국의 국기는 본토 시절부터 자주 바뀌어왔지만 국부천대 이후 1917년부터 1973년까지 바뀌지 않았다. 익히 아는 러시아의 삼색기에 로마노프 가문의 문장이 들어간 모습이다.

라리마 국기(헥스 코드)
하양 #ffffff
본디 블루 #0082C8
탄저린 옐로우 #fecf05

국가

국장

라리마 제국의 국장.png
△ 라리마 제국의 국장

라리마의 국장은 역시 개헌 후인 1973년에 제정되었다. 라리마의 국기는 라리마를 상징하며, 쌍두독수리는 라리마제국의 로마노프 왕조, 러시아제국과 그 뿌리 로마노프 왕조를 상징한다. 1990년까지는 로마노프 가문의 검은 쌍두독수리를 국장으로 사용했다.

역사

라리마 제국은 과거 러시아제국의 일부였으나, 적백내전으로 인해 백군이 라리마로 도피하고 후에 명칭을 바꾸어 현재의 라리마가 되었다.

자연환경

지리

지형 서드으.jpg
△ 라리마 제국의 지형도

라리마 제국은 큰 6개의 섬과 작은 수천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섬나라이다.

기후

라리마의 기후도3.jpg
△ 라리마 제국의 기후도

라리마 제도는 전형적인 서안 해양성 기후가 주로 분포한다. 위치상으로 구로시오 해류와 캄차카 해류가 만나 형성되는 난류인 북태평양 해류의 길목에 있으며, 대륙이 근접하지 않아 편서풍만의 영향을 받기에 강수량이 고르고 연교차가 적은 편이다. 계절풍의 영향이 적다. 다만 북태평양 해류가 북대서양 난류보다 약하기 때문에 영국이나 파리보다는 아주 조금 추운 편이다. 또 북태평양 고기압의 영향권에서 한 발짝 물러나 있다. 미메타이트 산맥, 라리마 고원의 브루카이트 화산 주변, 다이어스포어 섬 중앙 등지에는 온대 고산기후가 나타난다.

북쪽 아니안 섬은 훨씬 추운 섬이다. 남부 지역만 미약하게나마 북태평양 해류와 편서풍의 영향을 받아 추운 아극 해양성 기후가 나타난다. 그 북쪽은 전부 캄차카 한류와 북극에서 불어오는 냉풍의 영향권이다. 섬은 주로 냉대 습윤 기후를 나타내며, 남쪽 일부 지역은 아극 해양성 기후, 북서 지방과 화산 주변에는 툰드라 기후를 보인다.

남동쪽 셀레스틴 섬은 열대섬이다. 기후는 대체로 하와이와 비슷하며, 습윤 아열대 기후이다. 화산 주변에는 상춘기후(열대 고산기후)가 나타나지만 사람이 거주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인문환경

인구

라리마 제국의 인구는 약 1,760만 명으로 47%의 러시아, 슬라브계와 39%의 영국계가 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 외에도 5%의 아프리카계 민족, 6%의 동아시아계 몽골로이드, 2%의 라리마 원주민, 1%의 기타 민족으로 구성되어 있다.

언어

라리마제국은 과거 러시아의 지배를 받았으며 대부분의 국민들이 러시아계이기에 러시아어를 공용어로 사용한다. 라리마의 러시아어는 미국 영어와 같이 표준 러시아어와 차이가 있다. 또한 지리적으로 미국과 가깝고 셀레스틴 지역에 영국계가 많기에 영어또한 공용어이다. 원주민들이 사용하는 언어로는 아니안 지역에 캄차카계 주민이 쓰는 라리마어 국명 라리마 또한 라리마어로 '안녕' 이란 뜻이다, 셀레스틴의 폴리네시아계 주민들이 쓰는 토소어가 있다. 라리마 섬 남부에 미크로네시아계 부족이 쓰던 언어, 러스트라스 지역의 폴리네시아계 언어도 있었으나, 러시아의 남하로 사멸하였으며, 라리마어와 소토어 역시 사멸 위기에 처해 있다.

종교

기독교의 비중이 높다. 정교회 41%, 성공회를 포함한 개신교 31%, 무종교가 24%이며, 불교 4%와 기타 종교가 1% 있다.

교통

행정구역

라리마제국 8차 행정구역.png
△ 라리마 제국의 행정도

남서, 북동, , , 지방으로 나뉘고, 4개의 제국시, 7개의 주, 2개의 자치주로 이루어져있다.

국토와 자원

라리마제국 인 월드.png

국토 전체가 태평양에 걸쳐 있다. 아시아 혹은 오세아니아로 분류하는데, 라리마제도와 아니안은 북아시아, 라리마제도는 극동아시아, 셀레스틴 섬과 러스트라스는 폴리네시아로 분류한다. 섬나라라서 접경국은 없지만, 러시아, 일본, 미국(하와이), 마셜 제도 등이 근접국으로 분류된다. 그래봤자 족히 1000km는 넘게 떨어져있다 국토는 대략 과테말라와 비슷한 크기이며 공교롭게도 100위이다. 자원은 자원에만 기댈 정도로 풍족하지는 않지만 내수와 소량의 수출을 할 정도는 있다.라리마제도와 러스트라스는 밀을 주로 재배하며, 셀레스틴은 서류를 주로 재배한다. 광물자원은 대부분 라리마 제도에서 나오며, 러스트라스에 석유가 있다. 아니안 섬은 목재로도 유명하다.

정치

행정

입법

사법

정당

국제관계

경제

사회

황실

교육

문화

군사

단위

법정 연호

시간대

라리마 제국의 시간대는 UTC+11로 규정되어있다. 대부분의 행정구역이 이 시간대를 따르고 있으나, 동쪽에 있는 셀레스틴 자치주, 러스트라스 주는 UTC+12를 따르고 있다.

관련 문서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