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1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0번째 줄: | 10번째 줄: | ||
| 이전선거 = 제6대 대한민국 민의원의원 선거 | | 이전선거 = 제6대 대한민국 민의원의원 선거 | ||
| 이전선거_연도 = 1962년 | | 이전선거_연도 = 1962년 | ||
| 선거전_의원 = | | 선거전_의원 = | ||
| 선거일 = 1966년 | | 선거일 = 1966년 7월 9일[br] | ||
| 당선_의원 = | | 당선_의원 = | ||
| 차기선거 = 제8대 대한민국 민의원의원 선거 | | 차기선거 = 제8대 대한민국 민의원의원 선거 | ||
38번째 줄: | 38번째 줄: | ||
| 의석증감1 = {{증가}} 71 | | 의석증감1 = {{증가}} 71 | ||
<!-- 기타 --> | <!-- 기타 --> | ||
| 득표수1 = ''' | | 득표수1 = '''6,974,172''' | ||
| 득표율1 = ''' | | 득표율1 = '''40%''' | ||
| 득표증감1 = {{감소}} | | 득표증감1 = {{감소}} 2.6%p | ||
<!-- 인물 2 --> | <!-- 인물 2 --> | ||
| 이미지2 = [[파일:윤보선.png|86px]] | | 이미지2 = [[파일:윤보선.png|86px]] | ||
56번째 줄: | 56번째 줄: | ||
| 의석증감2 = {{감소}} 7 | | 의석증감2 = {{감소}} 7 | ||
<!-- 기타 --> | <!-- 기타 --> | ||
| 득표수2 = | | 득표수2 = 3,521,897 | ||
| 득표율2 = 20.2% | | 득표율2 = 20.2% | ||
| 득표증감2 = {{감소}} 6.3%p | | 득표증감2 = {{감소}} 6.3%p | ||
66번째 줄: | 66번째 줄: | ||
| 선거연합3 = | | 선거연합3 = | ||
<!-- 의회선거 --> | <!-- 의회선거 --> | ||
| 리더_취임3 = 1960년[br]11월 | | 리더_취임3 = 1960년[br]11월 24일 | ||
| 리더_선거구3 = 경북 상주군 갑 | | 리더_선거구3 = 경북 상주군 갑 | ||
| 이전선거결과3 = | | 이전선거결과3 = 8석 | ||
| 선거전_의석3 = 9석 | | 선거전_의석3 = 9석 | ||
| 의석3 = | | 의석3 = 27석 | ||
| 의석증감3 = {{증가}} | | 의석증감3 = {{증가}} 18 | ||
<!-- 기타 --> | <!-- 기타 --> | ||
| 득표수3 = 1, | | 득표수3 = 1,695,812 | ||
| 득표율3 = 9.7% | | 득표율3 = 9.7% | ||
| 득표증감3 = {{증가}} | | 득표증감3 = {{증가}} 1.5%p | ||
<!-- 인물 4 --> | <!-- 인물 4 --> | ||
| 이미지4 = [[파일:김성숙.png|86px]] | | 이미지4 = [[파일:김성숙.png|86px]] | ||
87번째 줄: | 87번째 줄: | ||
| 리더_선거구4 = 제주 남제주군 | | 리더_선거구4 = 제주 남제주군 | ||
| 이전선거결과4 = 6석 | | 이전선거결과4 = 6석 | ||
| 선거전_의석4 = | | 선거전_의석4 = 8석 | ||
| 의석4 = | | 의석4 = 15석 | ||
| 의석증감4 = {{증가}} | | 의석증감4 = {{증가}} 7 | ||
<!-- 기타 --> | <!-- 기타 --> | ||
| 득표수4 = | | 득표수4 = 711,062 | ||
| 득표율4 = 4. | | 득표율4 = 4.1% | ||
| 득표증감4 = {{ | | 득표증감4 = {{보합}} | ||
<!-- 인물 5 --> | <!-- 인물 5 --> | ||
| 이미지5 = [[파일:최덕신.png|86px]] | | 이미지5 = [[파일:최덕신.png|86px]] | ||
109번째 줄: | 109번째 줄: | ||
| 의석증감5 = {{증가}} 5 | | 의석증감5 = {{증가}} 5 | ||
<!-- 기타 --> | <!-- 기타 --> | ||
| 득표수5 = | | 득표수5 = 460,771 | ||
| 득표율5 = 2. | | 득표율5 = 2.6% | ||
| 득표증감5 = {{증가}} 2. | | 득표증감5 = {{증가}} 2.6%p | ||
<!-- 인물 6 --> | <!-- 인물 6 --> | ||
| 이미지6 = [[파일:계응상.png|86px]] | | 이미지6 = [[파일:계응상.png|86px]] | ||
127번째 줄: | 127번째 줄: | ||
| 의석증감6 = {{증가}} 3 | | 의석증감6 = {{증가}} 3 | ||
<!-- 기타 --> | <!-- 기타 --> | ||
| 득표수6 = | | 득표수6 = 142,753 | ||
| 득표율6 = 0.8% | | 득표율6 = 0.8% | ||
| 득표증감6 = {{증가}} 0.8%p | | 득표증감6 = {{증가}} 0.8%p | ||
145번째 줄: | 145번째 줄: | ||
| 의석증감7 = {{증가}} 3 | | 의석증감7 = {{증가}} 3 | ||
<!-- 기타 --> | <!-- 기타 --> | ||
| 득표수7 = | | 득표수7 = 129,018 | ||
| 득표율7 = 0.7% | | 득표율7 = 0.7% | ||
| 득표증감7 = {{증가}} 0.7%p | | 득표증감7 = {{증가}} 0.7%p | ||
157번째 줄: | 157번째 줄: | ||
<!-- 의회선거 --> | <!-- 의회선거 --> | ||
| 리더_취임8 = 1965년[br]10월 18일 | | 리더_취임8 = 1965년[br]10월 18일 | ||
| 리더_선거구8 = | | 리더_선거구8 = 평양 중구 | ||
| 이전선거결과8 = ''신당'' | | 이전선거결과8 = ''신당'' | ||
| 선거전_의석8 = 0석 | | 선거전_의석8 = 0석 | ||
163번째 줄: | 163번째 줄: | ||
| 의석증감8 = {{증가}} 2 | | 의석증감8 = {{증가}} 2 | ||
<!-- 기타 --> | <!-- 기타 --> | ||
| 득표수8 = | | 득표수8 = 60,352 | ||
| 득표율8 = 0. | | 득표율8 = 0.3% | ||
| 득표증감8 = {{증가}} 0. | | 득표증감8 = {{증가}} 0.3%p | ||
<!-- 인물 9 --> | <!-- 인물 9 --> | ||
| 이미지9 = [[파일:실루엣.png|86px]] | | 이미지9 = [[파일:실루엣.png|86px]] | ||
175번째 줄: | 175번째 줄: | ||
<!-- 의회선거 --> | <!-- 의회선거 --> | ||
| 리더_취임9 = 1965년[br]3월 1일 | | 리더_취임9 = 1965년[br]3월 1일 | ||
| 리더_선거구9 = | | 리더_선거구9 = 평양 남구[BR]''(낙선)'' | ||
| 이전선거결과9 = ''신당'' | | 이전선거결과9 = ''신당'' | ||
| 선거전_의석9 = 0석 | | 선거전_의석9 = 0석 | ||
181번째 줄: | 181번째 줄: | ||
| 의석증감9 = {{증가}} 2 | | 의석증감9 = {{증가}} 2 | ||
<!-- 기타 --> | <!-- 기타 --> | ||
| 득표수9 = | | 득표수9 = 48,352 | ||
| 득표율9 = 0. | | 득표율9 = 0.3% | ||
| 득표증감9 = {{증가}} 0. | | 득표증감9 = {{증가}} 0.3%p | ||
<!-- 지도 --> | <!-- 지도 --> | ||
| 지도_이미지 = | | 지도_이미지 = 1966_신신신신_민원선.png | ||
| 지도_크기 = | | 지도_크기 = 350px | ||
| 지도_대안 = | | 지도_대안 = | ||
| 지도 = | | 지도 = | ||
198번째 줄: | 198번째 줄: | ||
| 선거후_정당 = [[민주당 (한손)|민주당]] | | 선거후_정당 = [[민주당 (한손)|민주당]] | ||
}} | }} | ||
==선거 제도 및 총선 정보== | |||
* 총선 별칭 : 이북 총선 | |||
* 내각 : 제2차 장면 내각 | |||
* 임기 만료일 : 1966년 8월 8일(월) | |||
* 투개표일 : 1966년 7월 9일(토) | |||
* 국무총리 지명·조각일 : 1966년 8월 17일(수) | |||
* 선거 방식 : 소선거구제 | |||
* 선출 의석 : 소선거구 365석 | |||
* 선거권 : 만 20세 이상의 대한민국 국민 | |||
* 피선거권 : 만 25세 이상의 대한민국 국민 | |||
* 유권자수 : 20,944,349명 | |||
==배경== | |||
==선거 결과== | |||
* 투표자수 : 17,422,896명 | |||
* 투표율 : 83.2% |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80%;" | |||
|+정당별 당선자 수 (명) | |||
|- | |||
!정당 | |||
!의원수 | |||
|- | |||
!민주당 | |||
|{{막대|한민|10|0}}{{막대|한민|10|0}} 200 | |||
|- | |||
!자유당 | |||
|{{막대|손유|5|3}} 53 | |||
|- | |||
!사회대중당 | |||
|{{막대|사대|2|7}} 27 | |||
|- | |||
!통일사회당 | |||
|{{막대|통사|1|5}} 15 | |||
|- | |||
!천도교청우당 | |||
|{{막대|천도|0|5}} 5 | |||
|- | |||
!농민사회당 | |||
|{{막대|농민|0|3}} 3 | |||
|- | |||
!북부구락부 | |||
|{{막대|북부|0|3}} 3 | |||
|- | |||
!국민민주당 | |||
|{{막대|국민|0|2}} 2 | |||
|- | |||
!한국보수당 | |||
|{{막대|한보|0|2}} 2 | |||
|- | |||
!무소속 | |||
|{{막대|무|5|5}} 55 | |||
|- | |||
!합계 | |||
|{{막대|한민|10|0}}{{막대|한민|10|0}}{{막대|손유|5|3}}{{막대|사대|2|7}}{{막대|통사|1|5}}{{막대|천도|0|5}}{{막대|농민|0|3}}{{막대|북부|0|3}}{{막대|국민|0|2}}{{막대|한보|0|2}}{{막대|무|5|5}} 365 | |||
|} | |||
===정당별 득표율=== |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80%;" | |||
|+정당별 득표율 (%) | |||
|- | |||
!정당 | |||
!의원수 | |||
|- | |||
!민주당 | |||
|{{막대|한민|4|0}} 40 | |||
|- | |||
!자유당 | |||
|{{막대|손유|2|0}} 20.2 | |||
|- | |||
!사회대중당 | |||
|{{막대|사대|1|0}} 9.7 | |||
|- | |||
!통일사회당 | |||
|{{막대|통사|0|4}} 4.1 | |||
|- | |||
!천도교청우당 | |||
|{{막대|천도|0|3}} 2.6 | |||
|- | |||
!농민사회당 | |||
|{{막대|농민|0|1}} 0.8 | |||
|- | |||
!북부구락부 | |||
|{{막대|북부|0|1}} 0.7 | |||
|- | |||
!국민민주당 | |||
|{{막대|국민|0|0}} 0.3 | |||
|- | |||
!한국보수당 | |||
|{{막대|한보|0|0}} 0.3 | |||
|- | |||
!기타 | |||
|{{막대|기타|0|2}} 1.8 | |||
|- | |||
!무소속 | |||
|{{막대|무|2|0}} 19.5 | |||
|- | |||
!합계 | |||
|{{막대|한민|4|0}}{{막대|손유|2|0}}{{막대|사대|1|0}}{{막대|통사|0|4}}{{막대|천도|0|3}}{{막대|농민|0|1}}{{막대|북부|0|1}}{{막대|기타|0|2}}{{막대|무|2|0}} 100 | |||
|} | |||
==정당별 결과== | |||
===민주당=== | |||
===자유당=== | |||
===사회대중당=== | |||
===통일사회당=== | |||
이북 지역에서 나름 준수한 득표율을 기록하며 현유 의석을 어느정도 불리는데 성공했다. 그러나 사회대중당이 27석을 얻은 것에 반해 통일사회당은 약 두 배 가량 뒤쳐진 15석을 얻으면서 선거 직후 당의 거취를 놓고 계파 간 분쟁이 거세졌고 윤길중을 위시한 구 사대당계가 사회대중당으로 복당해버리는 등 분열상이 극심해졌다. 이후 통사당은 결국 1968년 지방선거 참패를 겪고 나서야 김철을 중심으로 당을 재통합할 수 있었다. | |||
===무소속 및 제파=== | |||
==당선자== | |||
==정부 구성== | |||
==기타== | |||
[[분류:한손 대한민국]] | [[분류:한손 대한민국]] |
2024년 3월 9일 (토) 22:45 기준 최신판
![]() | |||||||||||||||||||||||||||||||||||||||||||||||||||||||||||||||||||||||||||||||||||||||||||||||||||||||||||||||||||||||||||||||||||||||||||||||||||||||||||||||||||||||||||||||||||
제7대 대한민국 민의원의원 선거 | |||||||||||||||||||||||||||||||||||||||||||||||||||||||||||||||||||||||||||||||||||||||||||||||||||||||||||||||||||||||||||||||||||||||||||||||||||||||||||||||||||||||||||||||||||
| |||||||||||||||||||||||||||||||||||||||||||||||||||||||||||||||||||||||||||||||||||||||||||||||||||||||||||||||||||||||||||||||||||||||||||||||||||||||||||||||||||||||||||||||||||
| |||||||||||||||||||||||||||||||||||||||||||||||||||||||||||||||||||||||||||||||||||||||||||||||||||||||||||||||||||||||||||||||||||||||||||||||||||||||||||||||||||||||||||||||||||
제7대 민의원 당파별 의석 분포 | |||||||||||||||||||||||||||||||||||||||||||||||||||||||||||||||||||||||||||||||||||||||||||||||||||||||||||||||||||||||||||||||||||||||||||||||||||||||||||||||||||||||||||||||||||
|
선거 제도 및 총선 정보
- 총선 별칭 : 이북 총선
- 내각 : 제2차 장면 내각
- 임기 만료일 : 1966년 8월 8일(월)
- 투개표일 : 1966년 7월 9일(토)
- 국무총리 지명·조각일 : 1966년 8월 17일(수)
- 선거 방식 : 소선거구제
- 선출 의석 : 소선거구 365석
- 선거권 : 만 20세 이상의 대한민국 국민
- 피선거권 : 만 25세 이상의 대한민국 국민
- 유권자수 : 20,944,349명
배경
선거 결과
- 투표자수 : 17,422,896명
- 투표율 : 83.2%
정당 | 의원수 |
---|---|
민주당 | ![]() ![]() |
자유당 | ![]() ![]() |
사회대중당 | ![]() ![]() ![]() ![]() |
통일사회당 | ![]() ![]() |
천도교청우당 | ![]() |
농민사회당 | ![]() |
북부구락부 | ![]() |
국민민주당 | ![]() ![]() |
한국보수당 | ![]() ![]() |
무소속 | ![]() ![]() |
합계 | ![]() ![]() ![]() ![]() ![]() ![]() ![]() ![]() ![]() ![]() ![]() ![]() ![]() ![]() ![]() ![]() ![]() ![]() ![]() |
정당별 득표율
정당 | 의원수 |
---|---|
민주당 | ![]() |
자유당 | ![]() |
사회대중당 | ![]() |
통일사회당 | ![]() ![]() |
천도교청우당 | ![]() |
농민사회당 | ![]() |
북부구락부 | ![]() |
국민민주당 | 0.3 |
한국보수당 | 0.3 |
기타 | ![]() ![]() |
무소속 | ![]() |
합계 | ![]() ![]() ![]() ![]() ![]() ![]() ![]() ![]() ![]() ![]() ![]() |
정당별 결과
민주당
자유당
사회대중당
통일사회당
이북 지역에서 나름 준수한 득표율을 기록하며 현유 의석을 어느정도 불리는데 성공했다. 그러나 사회대중당이 27석을 얻은 것에 반해 통일사회당은 약 두 배 가량 뒤쳐진 15석을 얻으면서 선거 직후 당의 거취를 놓고 계파 간 분쟁이 거세졌고 윤길중을 위시한 구 사대당계가 사회대중당으로 복당해버리는 등 분열상이 극심해졌다. 이후 통사당은 결국 1968년 지방선거 참패를 겪고 나서야 김철을 중심으로 당을 재통합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