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 이전선거_연도 = 1962년 | | 이전선거_연도 = 1962년 | ||
| 선거전_의원 = | | 선거전_의원 = | ||
| 선거일 = 1966년 7월 | | 선거일 = 1966년 7월 9일[br] | ||
| 당선_의원 = | | 당선_의원 = | ||
| 차기선거 = 제8대 대한민국 민의원의원 선거 | | 차기선거 = 제8대 대한민국 민의원의원 선거 |
2024년 3월 9일 (토) 22:45 기준 최신판
![]() | |||||||||||||||||||||||||||||||||||||||||||||||||||||||||||||||||||||||||||||||||||||||||||||||||||||||||||||||||||||||||||||||||||||||||||||||||||||||||||||||||||||||||||||||||||
제7대 대한민국 민의원의원 선거 | |||||||||||||||||||||||||||||||||||||||||||||||||||||||||||||||||||||||||||||||||||||||||||||||||||||||||||||||||||||||||||||||||||||||||||||||||||||||||||||||||||||||||||||||||||
| |||||||||||||||||||||||||||||||||||||||||||||||||||||||||||||||||||||||||||||||||||||||||||||||||||||||||||||||||||||||||||||||||||||||||||||||||||||||||||||||||||||||||||||||||||
| |||||||||||||||||||||||||||||||||||||||||||||||||||||||||||||||||||||||||||||||||||||||||||||||||||||||||||||||||||||||||||||||||||||||||||||||||||||||||||||||||||||||||||||||||||
제7대 민의원 당파별 의석 분포 | |||||||||||||||||||||||||||||||||||||||||||||||||||||||||||||||||||||||||||||||||||||||||||||||||||||||||||||||||||||||||||||||||||||||||||||||||||||||||||||||||||||||||||||||||||
|
선거 제도 및 총선 정보
- 총선 별칭 : 이북 총선
- 내각 : 제2차 장면 내각
- 임기 만료일 : 1966년 8월 8일(월)
- 투개표일 : 1966년 7월 9일(토)
- 국무총리 지명·조각일 : 1966년 8월 17일(수)
- 선거 방식 : 소선거구제
- 선출 의석 : 소선거구 365석
- 선거권 : 만 20세 이상의 대한민국 국민
- 피선거권 : 만 25세 이상의 대한민국 국민
- 유권자수 : 20,944,349명
배경
선거 결과
- 투표자수 : 17,422,896명
- 투표율 : 83.2%
정당 | 의원수 |
---|---|
민주당 | ![]() ![]() |
자유당 | ![]() ![]() |
사회대중당 | ![]() ![]() ![]() ![]() |
통일사회당 | ![]() ![]() |
천도교청우당 | ![]() |
농민사회당 | ![]() |
북부구락부 | ![]() |
국민민주당 | ![]() ![]() |
한국보수당 | ![]() ![]() |
무소속 | ![]() ![]() |
합계 | ![]() ![]() ![]() ![]() ![]() ![]() ![]() ![]() ![]() ![]() ![]() ![]() ![]() ![]() ![]() ![]() ![]() ![]() ![]() |
정당별 득표율
정당 | 의원수 |
---|---|
민주당 | ![]() |
자유당 | ![]() |
사회대중당 | ![]() |
통일사회당 | ![]() ![]() |
천도교청우당 | ![]() |
농민사회당 | ![]() |
북부구락부 | ![]() |
국민민주당 | 0.3 |
한국보수당 | 0.3 |
기타 | ![]() ![]() |
무소속 | ![]() |
합계 | ![]() ![]() ![]() ![]() ![]() ![]() ![]() ![]() ![]() ![]() ![]() |
정당별 결과
민주당
자유당
사회대중당
통일사회당
이북 지역에서 나름 준수한 득표율을 기록하며 현유 의석을 어느정도 불리는데 성공했다. 그러나 사회대중당이 27석을 얻은 것에 반해 통일사회당은 약 두 배 가량 뒤쳐진 15석을 얻으면서 선거 직후 당의 거취를 놓고 계파 간 분쟁이 거세졌고 윤길중을 위시한 구 사대당계가 사회대중당으로 복당해버리는 등 분열상이 극심해졌다. 이후 통사당은 결국 1968년 지방선거 참패를 겪고 나서야 김철을 중심으로 당을 재통합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