틀:제20대 의정위원/평양광역시: 두 판 사이의 차이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44번째 줄: 44번째 줄:
** 나머지는 구역 → 구 명칭 변경 (순안구, 용성구, 은정구, 삼석구, 사동구, 역포구, 낙랑구)
** 나머지는 구역 → 구 명칭 변경 (순안구, 용성구, 은정구, 삼석구, 사동구, 역포구, 낙랑구)
** 군 지역: [[강남군]]
** 군 지역: [[강남군]]
* 전원 가상인물이며, 원할 시 별도의 가상인물로 대신 가능합니다.
* 전원 가상인물이며, 원할 시 별도의 가상인물로 대신 가능합니다.
* 자치구 개편: 1995년 1차 개편 당시 중구 (유경구, 모란봉구), 동구 (대동강구), 북구 (삼석구, 용성구, 순안구, 은정구), 서구 (형제산구, 만경대구), 남구 (사동구, 역포구), 낙랑구, 승호구의 7개 자치구 및 강남군 1개군으로 개편되었다가, 인구 증가 및 면적 과대 문제로 2002년 3회 지선을 대비해 재분구하였음. 자치구명은 시민단체가 주도한 “평양 뿌리찾기 운동”의 일환으로 2002년 개편 당시 개칭됨.


* 강동군, 강남군: 1983년 정치적인 이유로 평양에 편입되어, 1995년 평남도 및 황해도 (2002년 이후 황해북도) 환원을 위해 주민투표를 시행했으나 과반 반대로 부결. 강동군은 승호구로 통폐합, 강남군은 평양광역시 강남군으로 존치.
* 강동군, 강남군: 1983년 정치적인 이유로 평양에 편입되어, 1995년 평남도 및 황해도 (2002년 이후 황해북도) 환원을 위해 주민투표를 시행했으나 과반 반대로 부결. 강동군은 승호구로 통폐합, 강남군은 평양광역시 강남군으로 존치.

2018년 11월 8일 (목) 14:22 기준 최신판

대한제국 평양광역시 제20대 의정위원
유경구 모란봉구 형제산구 대동강구 서경구 순안구
안상흠 이원석 리용규 김완우 양윤환 정민교
용성구 은정구·삼석구 사동구·승호구 낙랑구 갑 낙랑구 을 역포구·강남군
소석찬 박상일 권표섭 윤호원 한진필 정영창


일러두기

  • 전원 가상인물이며, 원할 시 별도의 가상인물로 대신 가능합니다.
  • 자치구 개편: 1995년 1차 개편 당시 중구 (유경구, 모란봉구), 동구 (대동강구), 북구 (삼석구, 용성구, 순안구, 은정구), 서구 (형제산구, 만경대구), 남구 (사동구, 역포구), 낙랑구, 승호구의 7개 자치구 및 강남군 1개군으로 개편되었다가, 인구 증가 및 면적 과대 문제로 2002년 3회 지선을 대비해 재분구하였음. 자치구명은 시민단체가 주도한 “평양 뿌리찾기 운동”의 일환으로 2002년 개편 당시 개칭됨.
  • 강동군, 강남군: 1983년 정치적인 이유로 평양에 편입되어, 1995년 평남도 및 황해도 (2002년 이후 황해북도) 환원을 위해 주민투표를 시행했으나 과반 반대로 부결. 강동군은 승호구로 통폐합, 강남군은 평양광역시 강남군으로 존치.
  • 중화군, 상원군: 1995년 주민투표 시행 당시 과반 찬성으로 황해도 (2002년 이후 황해북도)로 환원.
  • 은정구: 주민투표 반영으로 2018년 평성시 평성구로 편입. 21대 총선 선거구 획정시 반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