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위스 연방" 문서와 "익스테딕 데카르트 정부" 문서 사이의 차이

(문서 사이의 차이)
 
잔글
 
1번째 줄: 1번째 줄:
{{스위스 연방 공식 문서}}
+
{{익스테딕 공화국 공식 문서}}
  
{{스위스 연방 편집권}}
+
||<-3><tablealign=right><colcolor=#000><tablebgcolor=#fff,#1f2024><tablebordercolor=#002768><colbgcolor=#002768> '''{{{#000 [[유일무이한 익스테딕 공화국|{{{#002768 유일무이한 익스테딕 공화국}}}]][br]{{{+1 데카르트 정부 | 笛卡儿政府}}}[Br]<small> Descartes Government</small>}}}''' ||
 +
||<-3><bgcolor=#fff,#1f2024> '''{{{#002768 [[2024년|{{{#000 2024년}}}]] [[5월 2일|{{{#000 05월 02일}}}]] ~ [[2024년|{{{#000 2024년}}}]] [[5월 17일|{{{#000 05월 17일}}}]]}}}''' ||
 +
||<-2><width=50%><rowbgcolor=#002768><rowcolor=#000> <small>{{{#fff '''출범 이전'''}}}</small> ||<width=50%> <small>{{{#fff '''출범 이후'''}}}</small> ||
 +
||<-2><bgcolor=#fff,#1f2024> [[익스테딕 슈티르너 정부|{{{#182E5B '''슈티르너 정부'''}}}]] || [[익스테딕 꿈의 정부|{{{#FFD918 '''꿈의 정부'''}}}]] ||
 +
||<width=25%> '''대통령''' ||<-2>'''[[퍼픽(가상국가 유저)|퍼픽]]''' <small>/ 제22대</small>||
 +
|| '''부통령''' ||<-2>'''[[카이저]]''' <small>/ 제7대</small>[Br]'''[[조선]]''' <small>/ 권한대행</small>||
 +
|| '''여당''' ||<-2>{{익스테딕 국가복고당}}<small> (2024. 05. 02. ~ 2024. 05. 17.)</small>||
  
[br]'''해당 국가는 해체되었습니다.'''[br]
+
||<tablealign=left><tablebordercolor=#002768><tablebgcolor=#f7f7f7,#080808> [[파일:익스테딕 제22대 퍼픽 대통령 취임 선서.PNG]] ||
 +
||<bgcolor=#002768><color=#ffffff> '''{{{#ffffff ▲ 제22대 대통령 퍼픽 취임 선서}}}''' ||
  
 +
[목차]
  
{| class="wikitable" style="border: 2px solid #ff0000; max-width: 400px; min-width: 400px; float: right"
+
= 개요 =
! colspan="3" style="background-color: #ff0000; color: #fff" | <big><big>스위스 연방</big></big><br>Confoederatio Helvetica
+
'''데카르트 정부'''[[익스테딕 제 22대 대선|제22대 대통령 선거]]에서 [[퍼픽(가상국가 유저)|퍼픽]]이 당선하면서 2024년 05월 02일부터 2024년 05월 31일까지 존속한 정부이다.
|-
 
|-
 
| colspan="1" width="33%" style="background-image: #fff; color: #fff" | [[파일:스위스의 깃발.svg]]
 
| colspan="1" width="33%" style="background-image: #fff; color: #fff" | [[파일:스위스국장.svg]]
 
|-
 
! colspan="1" width="33%" style="background: #ff0000; color: #fff" | 국기
 
! colspan="1" width="33%" style="background: #ff0000; color: #fff" | 국장
 
|-
 
|-
 
! colspan="3" style="background:#ffffff; color: #ff0000" | Unus pro omnibus, omnes pro uno[br]하나는 모두를 위해, 모두는 하나를 위해
 
|-
 
! colspan="3" style="background:#ffffff; color: #ff0000" | 공식해산[br]2024년 1월 29일[br]연방준비위원회 설립[br]2024년 2월 11일
 
|-
 
! colspan="3" style="background:#ff0000; color: #fff" | 상징
 
|-
 
| colspan="3" style="font-weight:" |
 
{| class="wikitable sortable mw-collapsible mw-collapsed"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11px; font-size: 10.5pt; text-align: center; width: calc(100% + 20px); border: 1px solid #dddddd"
 
|+
 
|-
 
! colspan="2" style="background:#ff0000; color: #fff" | 국가
 
| align=left | 스위스 연방 찬가
 
|-
 
! colspan="2" style="background:#ff0000; color: #fff" | 국화
 
| align=left | 에델바이스
 
|-
 
|}
 
|-
 
! colspan="3" style="background:#ff0000; color: #fff" | 지리
 
|-
 
| colspan="3" style="font-weight:" |
 
{| class="wikitable sortable mw-collapsible mw-collapsed"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11px; font-size: 10.5pt; text-align: center; width: calc(100% + 20px); border: 1px solid #dddddd"
 
|+
 
|-
 
! colspan="2" width=25% style="background:#ff0000; color: #fff" | 수도
 
| align=left | 없음
 
|-
 
! colspan="2" style="background:#ff0000; color: #fff" | 면적
 
| align=left | 41,285km<sup>2</sup>
 
|-
 
! colspan="2" style="background:#ff0000; color: #fff" | 주
 
| align=left | 26주
 
|-
 
|}
 
|-
 
! colspan="3" style="background:#ff0000; color: #fff" | 인문환경
 
|-
 
| colspan="3" style="font-weight:" |
 
{| class="wikitable sortable mw-collapsible mw-collapsed"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11px; font-size: 10.5pt; text-align: center; width: calc(100% + 20px); border: 1px solid #dddddd"
 
|+
 
|-
 
! rowspan="4" style="background:#ff0000; color: #fff" | 인구
 
! colspan="1.5" style="background:#ff0000; color: #fff" | 인구
 
| align=left |8,715,494명 <sup>( 2021년 )</sup>
 
|-
 
! colspan="1" style="background:#ff0000; color: #fff" | 인구밀도
 
| align=left | 208명/ km<sup>2</sup>
 
|-
 
! colspan="1" style="background:#ff0000; color: #fff" | 인종구성
 
| align=left | 독일계 65%<br>프랑스계 18%<br>이탈리아계 10%
 
|-
 
! colspan="1" style="background:#ff0000; color: #fff" | 출산율
 
| align=left | 1.54명 <sup>( 2021년 )</sup>
 
|-
 
! colspan="2" width=25% style="background:#ff0000; color: #fff" | 공용어
 
| align=left | 독일어<br>프랑스어<br>이탈리아어<br>레트로망스어
 
|-
 
! colspan="2" style="background:#ff0000; color: #fff" | 공용문자
 
| align=left | 로마자
 
|-
 
! colspan="2" style="background:#ff0000; color: #fff" | 지역어
 
| align=left | 레트로망스어
 
|-
 
! colspan="2" style="background:#ff0000; color: #fff" | 종교
 
| align=left | 국교 : '''없음''' 가톨릭(38.0%), 스위스 개혁 교회(26.0%), 정교회(2.2%), 복음주의 개신교(1.7%), 루터교회(1.0%), 성공회(0.1%), 기타 기독교(2.5%), 무종교(22.0%), 이슬람(5.0%), 불교(0.5%), 힌두교(0.5%), 유대교(0.2%), 기타(0.3%)
 
|-
 
|}
 
|-
 
! colspan="3" style="background:#ff0000; color: #fff"  | 행정구역
 
|-
 
| colspan="3" style="font-weight:" |
 
{| class="wikitable sortable mw-collapsible mw-collapsed"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11px; font-size: 10.5pt; text-align: center; width: calc(100% + 20px); border: 1px solid #dddddd"
 
|+
 
|-
 
! colspan="2" style="background:#ff0000; color: #fff" | 칸톤[* 주를 의미하는 독일어]
 
| align=left | 26주
 
|-
 
|}
 
|-
 
! colspan="3" style="background:#ff0000; color: #fff"  | 정치 및 경제
 
|-
 
| colspan="3" style="font-weight:" |
 
{| class="wikitable sortable mw-collapsible mw-collapsed"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11px; font-size: 10.5pt; text-align: center; width: calc(100% + 20px); border: 1px solid #dddddd"
 
|+
 
|-
 
! colspan="2" style="background:#ff0000; color: #fff" | 관리자
 
| align=left | 강태공
 
|-
 
! rowspan="6" style="background:#ff0000; color: #fff" | 국가<br>요인
 
! colspan="1" style="background:#ff0000; color: #fff" | 연방대통령<br>( 정부 수반 )
 
| align=left | [[콘라트]]
 
|-
 
! colspan="1" style="background:#ff0000; color: #fff" | 연방총리<br>( 정부 부수반 )
 
| align=left | [[강태공]]
 
|-
 
! colspan="1" style="background:#ff0000; color: #fff" | 연방의회장
 
| align=left | 공석
 
|-
 
! colspan="1" style="background:#ff0000; color: #fff" | 상원의장
 
| align=left | 공석
 
|-
 
! colspan="1" style="background:#ff0000; color: #fff" | 하원의장
 
| align=left | 공석
 
|-
 
! colspan="1" style="background:#ff0000; color: #fff" | 연방대법원장
 
| align=left | 공석
 
|-
 
! colspan="2" style="background:#ff0000; color: #fff" | 여당
 
| align=left | [[FDP]](자유민주당)
 
|-
 
! colspan="2" style="background:#ff0000; color: #fff" | 경제체제<br>
 
| align=left | {{{#0f03ff '''자본주의적 시장경제'''}}}
 
|-
 
! colspan="2" style="background:#ff0000; color: #fff" | 국내총생산(GDP)
 
| align=left | {{{#000000 '''기록없음'''}}}
 
|-
 
! colspan="2" style="background:#ff0000; color: #fff" | 화폐
 
| align=left | {{{#ff0000 '''스위스 프랑(CHF)'''}}}
 
|-
 
|}
 
|-
 
! colspan="3" style="background:#ff0000; colo! colspan="2" style="background:#ff0000; color: #fff" | 외교
 
|-
 
| colspan="3" style="font-weight:" |
 
{| class="wikitable sortable mw-collapsible mw-collapsed"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11px; font-size: 10.5pt; text-align: center; width: calc(100% + 20px); border: 1px solid #dddddd"
 
|+
 
|-
 
! colspan="1" style="background:#ff0000; color: #fff" | 외교 노선
 
| align=left | 영세중립국
 
|-
 
! colspan="1" style="background:#ff0000; color: #fff" | EU 가입 여부
 
| align=left | 비가입
 
|-
 
! colspan="1" style="background:#ff0000; color: #fff" | UN 가입 여부
 
| align=left | 가입 ([[유엔(카카오톡)|상임이사국]])
 
|-
 
|}
 
|}
 
  
||<table width=400><tablebordercolor=#da291c><bgcolor=#da291c> '''{{{#fff 위치}}}''' ||
+
= 대통령 =
||[[파일:스위스연방지도.png|width=400]] ||
+
{{익스테딕 역대 대통령}}
||<bgcolor=#da291c> ||
 
  
||<table width=400><tablebordercolor=#da291c><bgcolor=#da291c> '''{{{#fff 영토}}}''' ||
+
== 대선 ==
||<bgcolor=white> [[파일:스위스 지도.PNG|width=400]] ||
 
||<bgcolor=#da291c> ||
 
  
=[[파일:스위스국장.svg|width=30]] '''개요'''=
+
=== 제22대 대통령 선거 ===
헬베티아 공화국(Confoederatio Helvetica) 혹은,스위스 연방(Swiss federation)은 26개의 주가 통합되어 만들어진 연방제 국가이며, 전세계에서 직접 민주주의를 시행하는 유일한 나라이기도 하고, 영세중립국으로 잘 알려져 있다. 카카오톡 가상국가에 있으며, 참여형 가상국가이다. 규모가 상당한 가상국가 였으나, 여러 난리를 만난 뒤에는 침체의 길을 걸어가고 있는 가상국가중 하나이다.
+
{{본문|익스테딕 제 22대 대선}}
  
헌법상의 수도는 없지만, 베른이 행정도시의 역할을 하며, 최대도시는 취리히다. 인구는 약 800만명으로 전세계 99위에 해당한다. 언어가 매우 다양해서 독일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지역 방언격인 레트로망스어를 공식언어로 지정하고있다.
+
==== 선거 공약 ====
 +
{{명언1|'''다시 위대하게'''|대통령 당선인 퍼픽}}
  
면적은 41,285km²이고, 남한의 41% 크기이다. 스위스는 국토를 지형에 따라 북동에서 남서 방향으로 쥐라산맥 지역, 중앙저지(스위스 고원) 지역, 알프스산맥 지역의 3지역으로 나뉜다. 남서쪽이 산맥이 많은 편이고, 북동쪽은 평야지대가 많다.
+
{{인용문|〔 𝑷𝒖𝒑𝒊𝒄 제22대 대선 공약 〕
 +
” 다시 위대하게 ”
  
=[[파일:스위스국장.svg|width=30]] '''상징'''=
+
《 개헌 》
 +
1. 대통령 연임 4선 제한
  
==[[파일:스위스국장.svg|width=30]] 국기==
+
2. 의전서열 확립
스위스 연방의 국기는 빨간색 바탕에 하얀색 십자가가 그려진 모양이며, 스위스 연방의 전신인 3국 동맹의 주도주인 슈비츠 국기에서 따 왔다.
 
  
||<table width=200><tablebordercolor=#da291c><bgcolor=#da291c> '''{{{#fff 국기}}}''' ||
+
3. 한시 또는 상시적 국명 변경
||[[파일:스위스의 깃발.svg|width=200]] ||
 
||<bgcolor=#da291c> ||
 
  
==[[파일:스위스국장.svg|width=30]] 국장==
+
4. 혈통 정립
스위스 연방의 국장은 국기와 똑같이 생겼으나, 방패모양이며 행정부와 연방의회에서 사용한다.
 
  
||<table width=200><tablebordercolor=#da291c><bgcolor=#da291c> '''{{{#fff 국장}}}''' ||
 
||[[파일:스위스국장.svg|width=200]] ||
 
||<bgcolor=#da291c> ||
 
  
==[[파일:스위스국장.svg|width=30]] 국가==
+
《 정치 》
||<table width=200><tablebordercolor=#da291c><bgcolor=#da291c> '''{{{#fff Schweizerpsalm | 스위스 찬가(독일어)}}}''' ||
+
1. 국가 발전을 위한 여러 법률 제정
|| [youtube(rU3L_oLPJj4)] ||
 
||<bgcolor=#da291c> ||
 
스위스 연방은  공식언어가 4개이기에 그래서 스위스 찬가는 독일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로망슈어 이렇게 4가지 버전이 있다.
 
공식적인 자리에서는 독일어 버전을 사용한다.
 
  
===[[파일:스위스국장.svg|width=30]] 가사===
+
2. 정치 참여율 증가
  
{| class="wikitable sortable mw-collapsible mw-collapsed"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11px; font-size: 10.5pt; text-align: center; width: calc(100% + 20px); border: 1px solid #dddddd"
+
3. 비례대표 봉쇄조항 제정
|+
 
|-
 
|
 
'''1절'''
 
Trittst im Morgenrot daher,
 
트릿슈트 임 모르근로트 다허
 
아침노을에 그대가 드러날 때
 
Seh ich dich im Strahlenmeer,
 
제 이히 디히 임 슈트랄른미어
 
광명의 바다 속에서 그대를 바라보노라,
 
Dich, du Hocherhabener, Herrlicher!
 
디히, 두 호허하베너 헤를리허
 
그대를, 숭고한 자여, 찬란한 자여
 
Wenn der Alpenfirn sich rötet,
 
벤 데어 알픈피른 지히 뢰텟
 
알프스의 만년설이 붉게 물들 때면
 
Betet, freie Schweizer, betet,
 
베텟, 프라이에 슈바이처, 베텟
 
기도하라, 자유로운 스위스인이여, 기도하라.
 
Eure fromme Seele ahnt,(X2)
 
오여 프롬메 질레 안트(X2)
 
너희의 경건한 영혼은 알 것이니(X2)
 
'''후렴'''
 
Gott im hehren Vaterland!
 
고트 임 헤른 파터란트
 
하느님이 이 고귀한 조국에 계심을
 
Gott, den Herrn, im hehren Vaterland!
 
고트 덴 헤언 임 헤른 파터란트
 
주 하느님이 이 고귀한 조국에 계심을
 
'''2절'''
 
Kommst im Abendglühn daher
 
콤슈트 임 아벤트글륀 다허
 
저녁노을에 그대가 다가올 때
 
Find ich dich im Sternenheer,
 
핀트 이히 디히 임 슈테르넨히어
 
별의 군세 속에서 그대를 보노라
 
Dich, du Menschenfreundlicher, Liebender!
 
디히 두 멘셴프로인틀리허, 리븐더
 
그대를, 인간에게 이로운 자여, 사랑하는 자여
 
In des Himmels lichten Räumen
 
인 데스 힘멜스 리히튼 로이멘
 
하늘이 비추이는 공간에서
 
Kann ich froh und selig träumen;
 
칸 이히 프로 운트 즐리히 트로이멘
 
나는 기쁘고 편안하게 꿈꿀 수 있구나
 
Denn die fromme Seele ahnt(X2)
 
덴 디 프롬메 질레 안트(X2)
 
경건한 영혼처럼(x2)
 
'''3절'''
 
Ziehst im Nebelflor daher
 
지스트 임 네블플로어 다허
 
안개 무리 속에 그대가 거닐 때
 
Such ich dich im Wolkenmeer
 
주흐 이히 디히 임 볼큰미어
 
구름의 바다 속에서 그대를 찾노라
 
Dich, du Unergründlicher, Ewiger!
 
디히 두 운너그륀틀리허 에비거
 
그대를, 불가해한 자여, 영원한 이여!
 
Aus dem grauen Luftgebilde
 
아우스 뎀 그라원 루프트게블리데
 
잿빛의 하늘 경치로부터
 
Bricht die Sonne klar und milde
 
브리흐트 디 존네 클라르 운트 밀데
 
태양은 뚜렷하고 부드럽게 모습을 내미는도다.
 
Und die fromme Seele ahnt(X2)
 
운트 디 프롬메 질레 안트(X2)
 
그리고 경건한 영혼은 알리니(X2)
 
'''4절'''
 
Fährst im wilden Sturm daher
 
패어스트 임 빌덴 슈투름 다허
 
사나운 폭풍 속에 항해할 때면
 
Bist du selbst uns Hort und Wehr
 
비스트 두 젤프스트 운스 호어트 운트 베어
 
그대는 우리에게 보호자요, 제방이 되노라
 
Du, allmächtig Waltender, Rettender!
 
두 알매흐티히 발튼더, 레튼더
 
그대, 전능한 지배자여, 구원자여
 
In Gewitternacht und Grauen
 
인 게비터나흐트 운트 그라원
 
폭풍우가 휘몰아치는 밤과 새벽에
 
Lasst uns kindlich ihm vertrauen!
 
라스트 운스 킨들리히 임 페어트라원
 
우리 모두 어린아이처럼 그대를 신뢰하리라
 
Ja, die fromme Seele ahnt(X2)
 
야 디 프롬메 질레 안트(X2)
 
그렇다, 경건한 영혼은 알고 있기에(X2)
 
|-
 
|}
 
  
=[[파일:스위스국장.svg|width=30]] '''역대 방장'''=
+
4. 미활동 정당 폐지
스위스는 2022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방장이 여러번 바뀌었다.
 
자세한 내용은 [[스위스 연방/역대방장]] 문서를 참조하길 바란다.
 
  
=[[파일:스위스국장.svg|width=30]] '''정치'''=
+
5. 명예의 전당 건립
스위스 연방은 국민들의 정치 관심도가 매우 적은 편이다. 그래서 관리 위원회는 최대한 정치에 관심을 가지도록 해야한다.
 
자세한 내용은 [[스위스 연방/정치]] 문서 참조.
 
  
=[[파일:스위스국장.svg|width=30]] '''국가운영체제'''=
+
6. 법정공휴일 텍사스의 날 제정
  
==[[파일:스위스국장.svg|width=30]] 행정부==
+
7. 정당별 당색의 유사성 최소화 제도 시행
[[스위스 연방/행정부]] 문서 참조.
 
  
==[[파일:스위스국장.svg|width=30]] 입법부==
 
스위스의 입법부인 연방의회는 상/하원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상/하원의 역할이 나뉘어 있다. 상/하원에서 의결된 모든 사안은 의회의 본 회의에서 최종심의한다.
 
자세한 내용은 [[스위스 연방/의회]] 문서 참조.
 
  
==[[파일:스위스국장.svg|width=30]] 사법부==
+
《 경제 》
스위스 사법부는 3개의 법원 (지방/고등/연방대법원)으로 구성되어있다.
+
1. 경제 도입
자세한 내용은 [[스위스 연방/사법부]] 문서 참조.
 
  
=[[파일:스위스국장.svg|width=30]] '''행정구역'''=
+
2. 화폐 개혁
[[베른]]
 
  
=[[파일:스위스국장.svg|width=30]] '''이벤트'''=
+
3. 빈부격차 완화
[[스위스 연방/이벤트]]문서 참고.
 
  
=[[파일:스위스국장.svg|width=30]] '''역사'''=
+
4. 기초생활보장법 등에 의한 복지 정책
스위스 연방의 시작은 2022년 3월로, 2024년까지 수 많은 사건들이 터졌었다.
 
[[스위스 연방 역사]]문서 참고.
 
  
=[[파일:스위스국장.svg|width=30]] '''경제'''=
+
5. 전매 제한 제도 제정
자세한 내용은 [[스위스 연방/경제]] 문서 참조.
 
  
=[[파일:스위스국장.svg|width=30]] '''법률'''=
 
스위스는 연방의회에서 법률을 제정하고, 각 주마다 법률을 만들 수 있는 권한을 가지고 있으나, 헌법과 형법, 민법과 형사소송, 민사소송, 외교에 대한 법률은 공통적으로 적용된다.
 
자세한 내용은 [[스위스 연방/법률]] 문서 참조.
 
  
=[[파일:스위스국장.svg|width=30]] '''문화'''=
+
《 외교 》
스위스의 문화 수준은 아직 미개하다고 봐도 무방하다. 관리위원회는 지속적으로 문화를 발전시키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다. 최근에는 마크 인생서버를 구축하기 위하여 준비중이며, 이벤트를 통하여서 문화를 향상 시키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
1. 햇볕정책 시행
자세한 내용은 [[스위스 연방/문화]] 문서 참조.
 
  
=[[파일:스위스국장.svg|width=30]] '''영세 중립'''=
+
2. 대(對)텐익스 전쟁 휴전
스위스는 영세중립의 원칙을 엄격하게 지키며, 선전포고가 떨어지지 않는 한, 어떤 국가의 소속이든 신변 보장을 약속한다. 어떠한 단체나 국제기구에 가입되어 있지 않다. 영세중립국의 지위로 종종 국가간 분쟁에 중재국 위치로 참여한다. 영세중립을 버려야 한다는 말이 있으나, 정작 의회에 안건으로 올라온 적은 없다.
 
{{인용문|"--중립을 개나 소나 하는 줄 아나--"|강태공}}
 
  
=[[파일:스위스국장.svg|width=30]] '''관리위원회'''=
+
3. 텐익스와의 관계 개선
공지와 나라 운영과 이벤트 같은것을 여는 관리위원회는 위원장이 신뢰할 만한 인물들로 위원장이 선출하여 관리위원회를 구성한다. 스위스에서 기본 3개월 이상 거주했고, 스위스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는 이들을 중심으로 선출하며, 관리위원회 의원들은 입법부, 행정부, 사법부에서 일할 수 있다. 관리위원회는 엄격한 룰이 있으며, 관리위원회에게 주는 부방은 권력이 제한된다. 방장도 예외는 아니며, 테러발생, 국가존립에 있어 위기상황이라고 판단되는 때에는 '''즉결처형'''을 사용할 수 있으나, 개인적인 감정에 의해서 강퇴를 하는 것은 허가되지 아니한다. 방장과 부방이 강퇴함이 정당화 되는 것은 사법부의 재판 판결에 의해서 처리할 때만 정당화된다.
 
자세한 내용은 [[스위스 연방/관리위원회]] 문서 참조.
 
  
= '''각주''' =
+
4. 친목 외교 단절
 +
 
 +
 
 +
《 문화 》
 +
1. 텐익스 문화 수용
 +
 
 +
2. 각종 게임 리그 설립
 +
 
 +
3. 국적자 증익
 +
 
 +
4. 행정구역 개편
 +
 
 +
5. 축구 중계 국영화 및 공식화
 +
 
 +
6. 스포츠 토토를 비롯 각종 도박 운영 (국영)
 +
 
 +
 
 +
《 교육 》
 +
1. 전국민 교육 제도 실시
 +
 
 +
2. 초, 중, 고등학교 설립
 +
 
 +
──────────────────
 +
 
 +
〔 국가복고당 총재 𝑷𝒖𝒑𝒊𝒄 〕
 +
 
 +
– 어제 저녁, 익스테딕 정치사에 손에 꼽을 대이변이 일어났습니다.
 +
익스테딕의 원로 유민님께서 창당하신 민주당이 저희 국가복고당이셨던 아템 의원님과 함께 활동하여 기존 원내2당이던 바른정당을 합당하고 기타 합의를 통하여 원내2당으로 발을 내딛었습니다. 이 일로써 하여금 차기 대통령 유력 후보던 저의 전망이 어두워진 것이 사실입니다. 이러한 일이 있었던 데에 대해 저의 책임이 있음을 결코 부정할 수 없습니다. 지난날, 저의 실언과 망발들이 끝내 부메랑처럼 돌아온 것임을 저 또한 통감하고 있습니다.
 +
 
 +
죄송합니다. 모두에게 죄송합니다. 저의 발언들과 행동들로 인해 실망하셨을 국민 여러분들과 타 당의 여러분, 저희 당원 여러분 모두 죄송합니다. 지금껏 저의 망발에도 불구하고 저와 저희 당을 꿋꿋히 지지해주신 분들께도 죄송합니다. 대통령님께도 고개 숙여 사과드립니다. 모두 저의 탓입니다. 참회하겠습니다. 경거망동하지 않겠습니다.
 +
 
 +
부디 저와 저희 당에 대하여 악감정을 없애주시고 과분하지만 지지해주시기를 간곡히 앙망하옵니다.
 +
 
 +
사죄합니다. 그리고 감사합니다.
 +
 
 +
■ 2024. 4. 21. ■
 +
 
 +
"𝑳𝒆𝒕 𝒖𝒔 𝑴𝒂𝒌𝒆 𝑬𝒙𝒕𝒆𝒅𝒊𝒄 𝑮𝒓𝒆𝒂𝒕 𝑨𝒈𝒂𝒊𝒏"}}
 +
 
 +
= 부통령 =
 +
{{익스테딕 역대 부통령}}
 +
 
 +
== 부선 ==
 +
 
 +
=== 제7대 부통령 선거 ===
 +
{{본문|익스테딕 제 7대 부선}}
 +
 
 +
==== 선거 공약 ====
 +
{{명언1|'''젊은 보수, 모두와 함께'''|부통령 당선인 카이저}}
 +
 
 +
{{인용문|■ 개혁신당 노진구 대통령 후보–카이저 부통령 후보 공약
 +
 
 +
1. 경제센터 설립
 +
경제센터를 설립하여 기업들의 창업, 활동 증진을 촉진하겠습니다.
 +
 
 +
2. 익스테딕 지명 한국식으로 되돌리기
 +
카르야킨 정부의 사대주의와 영어 남발 정책의 철폐 1순위로 익스테딕 지명을 한국어식으로 원래대로 되돌리겠습니다.
 +
 
 +
3. 통일부 신설
 +
통일부를 신설하여 익스테딕의 평화적 통일을 추진하고 양국 국민들의 상처를 치유하도록 정부가 힘쓰겠습니다.
 +
 
 +
4. 중대선거구제 개혁
 +
현재의 소선거구제는 그 특성상 득표율과 상관없이 특정 정당이 모든 의석을 가져가기 쉽게 되어있습니다. 그러므로 비례성을 높이고 소수정당도 국회에 의미있는 목소리를 낼수있게 중대선거구제 개혁을 제안합니다.
 +
 
 +
5. 차관직 폐지
 +
장관직도 공석인 경우도 많은 익스테딕에서 실질적으로 영향력이 적은 차관직을 폐지하여 작은정부를 구성하고 다른 분야에 더 신경쓸수있는 계기를 만들겠습니다.
 +
 
 +
6. 강력한 강군
 +
익스테딕은 현재 분단국가임에도 불구하고 군대에 대해서는 논의가 적은편이였습니다. 저는 이를 공략하여 더 세밀하고 체계적인 훈련과 모병제를 통해서 군인을 모집하며 강군을 만들고 입대시에는 그에따른 혜택또한 주겠습니다.
 +
 
 +
7. 책임총리제 실시
 +
국무총리에 실권을 강화해 대통령의 강한 권력을 일부 분산시키고 이원집정부제에 가깝게 혁신을 일으켜서 국정운영에 활력을 불러 일으키겠습니다.}}
 +
 
 +
= 국무총리 =
 +
{{익스테딕 역대 국무총리}}
 +
 
 +
= 국정 지표 =
 +
||<table align=center><bgcolor=#ffffff> [[파일:익스테딕 데카르트 정부 슬로건.png|width=350]] ||
 +
||<table width=350><table bordercolor=#ffffff><#002768> '''{{{#ffffff 데카르트 정부의 슬로건}}}''' ||
 +
 
 +
== 국정 원리 ==
 +
・'''[[]]'''
 +
 
 +
== 국정 과제 ==
 +
 +
 
 +
== 국정 목표 ==
 +
 +
 
 +
= 내각 =
 +
 
 +
== 제1기 ==
 +
||<-11><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2768><tablebgcolor=#ffffff,#1f2024><bgcolor=#eeeeee,#aaa><color=#000000> 데카르트 정부 – 제1기 내각 ||
 +
|| <small>대통령</small> || <small>부통령</small> || <small>국무총리</small> || <small>국무장관</small> || <small>검찰총장</small> || <small>문화장관</small> || <small>문화차관</small> || <small>재무장관</small> || <small>재무차관</small> || <small>회계위원장</small> || <small>중앙정보국장</small> ||
 +
|| <small>[[퍼픽(가상국가 유저)|퍼픽]]</small> || <small>[[카이저]]</small> || <small>–</small> || <small>–</small> || <small>–</small> || <small>–</small> || <small>–</small> || <small>–</small> || <small>–</small> || <small>–</small> || <small>–</small> ||
 +
 
 +
== 제2기 ==
 +
||<-11><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2768><tablebgcolor=#ffffff,#1f2024><bgcolor=#eeeeee,#aaa><color=#000000> 데카르트 정부 – 제2기 내각 ||
 +
|| <small>대통령</small> || <small>부통령</small> || <small>국무총리</small> || <small>국무장관</small> || <small>국무차관</small> || <small>검찰총장</small> || <small>문화장관</small> || <small>문화차관</small> || <small>재무장관</small> || <small>회계위원장</small> || <small>국가정보원장</small> ||
 +
|| <small>[[퍼픽(가상국가 유저)|퍼픽]]</small> || <small>[[카이저]]</small> || <small>–</small> || <small>–</small> || <small>–</small> || <small>–</small> || <small>–</small> || <small>–</small> || <small>–</small> || <small>–</small> || <small>–</small> ||
 +
 
 +
= 평가 =
 +
||<bgcolor=#002768> {{{#ffffff 퍼픽 대통령 1분기 국정 수행<small>([[횅진일보|{{{#fff HJ NEWS}}}]])</small>[Br]<small>2024. 05. 02. ~ 2024. 05. 09.</small>}}} || '''34.29%'''[Br]<small>12/35</small> ||
 +
||<bgcolor=#002768> {{{#ffffff 퍼픽 대통령 2분기 국정 수행<small>([[횅진일보|{{{#fff HJ NEWS}}}]])</small>[Br]<small>2024. 05. 09. ~ 2024. 05. 17.</small>}}} || '''31.43%'''[Br]<small>11/35</small> ||
 +
 
 +
||<bgcolor=#002768> {{{#ffffff 카이저 부통령 1분기 국정 수행<small>([[횅진일보|{{{#fff HJ NEWS}}}]])</small>[Br]<small>2024. 05. 02. ~ 2024. 05. 09.</small>}}} || '''34.62%'''[Br]<small>9/26</small> ||
 +
||<bgcolor=#002768> {{{#ffffff 카이저 부통령 2분기 국정 수행<small>([[횅진일보|{{{#fff HJ NEWS}}}]])</small>[Br]<small>2024. 05. 09. ~ 2024. 05. 13.</small>}}} || '''41.76%'''[Br]<small>10/24</small> ||
 +
||<bgcolor=#002768> {{{#ffffff 조선 부통령 권한대행 국정 수행<small>([[횅진일보|{{{#fff HJ NEWS}}}]])</small>[Br]<small>2024. 05. 13. ~ 2024. 05. 17.</small>}}} || '''33.33%'''[Br]<small>8/24</small> ||
 +
 
 +
== 정치에 대한 평가 ==
 +
 
 +
=== 긍정적 평가 ===
 +
 
 +
=== 중립적 평가 ===
 +
 
 +
=== 부정적 평가 ===
 +
 
 +
== 경제에 대한 평가 ==
 +
 
 +
=== 긍정적 평가 ===
 +
 
 +
=== 중립적 평가 ===
 +
 
 +
=== 부정적 평가 ===
 +
 
 +
== 문화에 대한 평가 ==
 +
 
 +
=== 긍정적 평가 ===
 +
 
 +
=== 중립적 평가 ===
 +
 
 +
=== 부정적 평가 ===
 +
 
 +
== 외교에 대한 평가 ==
 +
 
 +
=== 긍정적 평가 ===
 +
 
 +
=== 중립적 평가 ===
 +
 
 +
=== 부정적 평가 ===
 +
 
 +
== 안보에 대한 평가 ==
 +
 
 +
=== 긍정적 평가 ===
 +
 
 +
=== 중립적 평가 ===
 +
 
 +
=== 부정적 평가 ===
 +
 
 +
= 주요 사건 =
 +
 
 +
== 1분기 ==
 +
・05월 02일, [[익스테딕 제 22대 대선|제22대 대통령 선거]], [[퍼픽]] 후보 당선
 +
 
 +
・05월 02일, [[익스테딕 제7대 부선|제7대 부통령 선거]], [[카이저]] 후보 당선
 +
 
 +
・05월 02일, 정부명 '''데카르트 정부''' 결정, 정부 부제 '''<여명의 정부>''' 결정
 +
 
 +
・05월 05일, [[2024년 운영위원회 파업]]
 +
 
 +
== 2분기 ==
 +
・05월 16일, [[퍼픽 대통령 탄핵소추|퍼픽 대통령 탄핵발의]]
 +
 
 +
・05월 17일, [[퍼픽 대통령 탄핵소추|퍼픽 대통령 탄핵소추]]
 +
 
 +
== 조선 권한대행 체제 ==
 +
||<-3><tablealign=right><colcolor=#000><tablebgcolor=#fff,#1f2024><tablebordercolor=#002768><colbgcolor=#002768> '''{{{#000 [[유일무이한 익스테딕 공화국|{{{#002768 유일무이한 익스테딕 공화국}}}]][br]{{{+1 조선 권한대행 체제}}}[Br]<small> Acting Authority of Joseon </small>}}}''' ||
 +
||<-3><bgcolor=#fff,#1f2024> '''{{{#002768 [[2024년|{{{#000 2024년}}}]] [[5월 17일|{{{#000 05월 17일}}}]] ~ [[2024년|{{{#000 2024년}}}]] [[5월 19일|{{{#000 05월 19일}}}]]}}}''' ||
 +
||<width=25%> '''대통령''' ||<-2>'''[[조선]]''' <small>/ 권한대행</small>||
 +
||<width=25%> '''부통령''' ||<-2>'''[[이들]]''' <small>/ 권한대행</small>||
 +
|| '''여당''' ||<-2>{{익스테딕 국가복고당}}<small> (2024. 05. 17. ~ 2024. 05. 19.)</small>||
 +
 
 +
||<bgcolor=#002768> {{{#ffffff 조선 대통령 권한대행 국정 수행<small>([[횅진일보|{{{#fff HJ NEWS}}}]])</small>[Br]<small>2024. 05. 17. ~ 2024. 05. 19.</small>}}} || '''29.63%'''[Br]<small>8/27</small> ||
 +
 
 +
||<bgcolor=#002768> {{{#ffffff 이들 부통령 권한대행 국정 수행<small>([[횅진일보|{{{#fff HJ NEWS}}}]])</small>[Br]<small>2024. 05. 17. ~ 2024. 05. 19.</small>}}} || '''44.00%'''[Br]<small>11/25</small> ||
 +
 
 +
== 이지은 권한대행 체제 ==
 +
||<-3><tablealign=right><colcolor=#000><tablebgcolor=#fff,#1f2024><tablebordercolor=#808080><colbgcolor=#808080> '''{{{#000 [[유일무이한 익스테딕 공화국|{{{#808080 유일무이한 익스테딕 공화국}}}]][br]{{{+1 이지은 권한대행 체제}}}[Br]<small> Acting Authority of Lee Jieun </small>}}}''' ||
 +
||<-3><bgcolor=#fff,#1f2024> '''{{{#808080 [[2024년|{{{#000 2024년}}}]] [[5월 19일|{{{#000 05월 19일}}}]] ~ [[2024년|{{{#000 2024년}}}]] [[5월 25일|{{{#000 05월 25일}}}]]}}}''' ||
 +
||<width=25%> '''대통령''' ||<-2>'''[[이지은]]''' <small>/ 권한대행</small>||
 +
||<width=25%> '''부통령''' ||<-2>'''[[이들]]''' <small>/ 권한대행</small>||
 +
|| '''여당''' ||<-2>{{무소속 (익스테딕)}}<small> (2024. 05. 19. ~ 2024. 05. 25.)</small>||
 +
 
 +
||<bgcolor=#808080> {{{#ffffff 이지은 대통령 권한대행 국정 수행<small>([[횅진일보|{{{#fff HJ NEWS}}}]])</small>[Br]<small>2024. 05. 19. ~ 2024. 05. 25.</small>}}} || '''40.00%'''[Br]<small>10/25</small> ||
 +
 
 +
||<bgcolor=#808080> {{{#ffffff 이들 부통령 권한대행 국정 수행<small>([[횅진일보|{{{#fff HJ NEWS}}}]])</small>[Br]<small>2024. 05. 19. ~ 2024. 05. 25.</small>}}} || '''45.83%'''[Br]<small>11/24</small> ||
 +
 
 +
== 이들 권한대행 체제 ==
 +
||<-3><tablealign=right><colcolor=#000><tablebgcolor=#fff,#1f2024><tablebordercolor=#162343><colbgcolor=#162343> '''{{{#000 [[유일무이한 익스테딕 공화국|{{{#162343 유일무이한 익스테딕 공화국}}}]][br]{{{+1 이들 권한대행 체제}}}[Br]<small> Acting Authority of Edel </small>}}}''' ||
 +
||<-3><bgcolor=#fff,#1f2024> '''{{{#162343 [[2024년|{{{#000 2024년}}}]] [[5월 25일|{{{#000 05월 25일}}}]] ~ [[2024년|{{{#000 2024년}}}]] [[5월 31일|{{{#000 05월 31일}}}]]}}}''' ||
 +
||<width=25%> '''대통령''' ||<-2>'''[[이들]]''' <small>/ 권한대행</small>||
 +
|| '''여당''' ||<-2>{{익스테딕 더나은내일}}<small> (2024. 05. 25. ~ 2024. 05. 29.)</small>[Br]{{무소속 (익스테딕)}}<small>(2024. 05. 29. ~ 2024. 05. 31.)</small>||
 +
 
 +
||<bgcolor=#162343> {{{#ffffff 이들 대통령 권한대행 국정 수행<small>([[횅진일보|{{{#fff HJ NEWS}}}]])</small>[Br]<small>2024. 05. 25. ~ 2024. 06. 01.</small>}}} || '''45.46%'''[Br]<small>10/22</small> ||
 +
 
 +
= 여담 =
 +
 
 +
= 각주 =
 
[각주]
 
[각주]
  
= '''관련문서'''=
+
[[분류:유일무이한 익스테딕 공화국]]
[[:스위스 연방 공식 문서]]
 

2024년 6월 1일 (토) 03:33 판

링크= 익스테딕 공화국의 공식 문서입니다.
본 문서를 관계자의 허용 없이 무단 편집할 시, 처벌 받을 수 있으니 편집 요청은 관계자에게 문의하십시오.

본 문서는 현실의 서사가 아닌 가상의 설정을 서술하고 있습니다.

유일무이한 익스테딕 공화국
데카르트 정부 | 笛卡儿政府
Descartes Government
2024년 05월 02일 ~ 2024년 05월 17일
출범 이전출범 이후
슈티르너 정부꿈의 정부
대통령퍼픽 / 제22대
부통령카이저 / 제7대
조선 / 권한대행
여당익스테딕 국가복고당 정당박스.svg (2024. 05. 02. ~ 2024. 05. 17.)
파일:익스테딕 제22대 퍼픽 대통령 취임 선서.PNG
▲ 제22대 대통령 퍼픽 취임 선서

개요

데카르트 정부제22대 대통령 선거에서 퍼픽이 당선하면서 2024년 05월 02일부터 2024년 05월 31일까지 존속한 정부이다.

대통령

익스테딕국기.svg 익스테딕 공화국의 대통령
[ 펼치기 · 접기 ]

대선

제22대 대통령 선거

선거 공약

다시 위대하게
대통령 당선인 퍼픽
〔 𝑷𝒖𝒑𝒊𝒄 제22대 대선 공약 〕

” 다시 위대하게 ”

《 개헌 》
1. 대통령 연임 4선 제한

2. 의전서열 확립

3. 한시 또는 상시적 국명 변경

4. 혈통 정립


《 정치 》
1. 국가 발전을 위한 여러 법률 제정

2. 정치 참여율 증가

3. 비례대표 봉쇄조항 제정

4. 미활동 정당 폐지

5. 명예의 전당 건립

6. 법정공휴일 텍사스의 날 제정

7. 정당별 당색의 유사성 최소화 제도 시행


《 경제 》
1. 경제 도입

2. 화폐 개혁

3. 빈부격차 완화

4. 기초생활보장법 등에 의한 복지 정책

5. 전매 제한 제도 제정


《 외교 》
1. 햇볕정책 시행

2. 대(對)텐익스 전쟁 휴전

3. 텐익스와의 관계 개선

4. 친목 외교 단절


《 문화 》
1. 텐익스 문화 수용

2. 각종 게임 리그 설립

3. 국적자 증익

4. 행정구역 개편

5. 축구 중계 국영화 및 공식화

6. 스포츠 토토를 비롯 각종 도박 운영 (국영)


《 교육 》
1. 전국민 교육 제도 실시

2. 초, 중, 고등학교 설립

──────────────────

〔 국가복고당 총재 𝑷𝒖𝒑𝒊𝒄 〕

– 어제 저녁, 익스테딕 정치사에 손에 꼽을 대이변이 일어났습니다.

익스테딕의 원로 유민님께서 창당하신 민주당이 저희 국가복고당이셨던 아템 의원님과 함께 활동하여 기존 원내2당이던 바른정당을 합당하고 기타 합의를 통하여 원내2당으로 발을 내딛었습니다. 이 일로써 하여금 차기 대통령 유력 후보던 저의 전망이 어두워진 것이 사실입니다. 이러한 일이 있었던 데에 대해 저의 책임이 있음을 결코 부정할 수 없습니다. 지난날, 저의 실언과 망발들이 끝내 부메랑처럼 돌아온 것임을 저 또한 통감하고 있습니다.

죄송합니다. 모두에게 죄송합니다. 저의 발언들과 행동들로 인해 실망하셨을 국민 여러분들과 타 당의 여러분, 저희 당원 여러분 모두 죄송합니다. 지금껏 저의 망발에도 불구하고 저와 저희 당을 꿋꿋히 지지해주신 분들께도 죄송합니다. 대통령님께도 고개 숙여 사과드립니다. 모두 저의 탓입니다. 참회하겠습니다. 경거망동하지 않겠습니다.

부디 저와 저희 당에 대하여 악감정을 없애주시고 과분하지만 지지해주시기를 간곡히 앙망하옵니다.

사죄합니다. 그리고 감사합니다.

■ 2024. 4. 21. ■

"𝑳𝒆𝒕 𝒖𝒔 𝑴𝒂𝒌𝒆 𝑬𝒙𝒕𝒆𝒅𝒊𝒄 𝑮𝒓𝒆𝒂𝒕 𝑨𝒈𝒂𝒊𝒏"

부통령

익스테딕국기.svg 익스테딕 공화국의 부통령
[ 펼치기 · 접기 ]

부선

제7대 부통령 선거

선거 공약

젊은 보수, 모두와 함께
부통령 당선인 카이저
■ 개혁신당 노진구 대통령 후보–카이저 부통령 후보 공약

1. 경제센터 설립
경제센터를 설립하여 기업들의 창업, 활동 증진을 촉진하겠습니다.

2. 익스테딕 지명 한국식으로 되돌리기
카르야킨 정부의 사대주의와 영어 남발 정책의 철폐 1순위로 익스테딕 지명을 한국어식으로 원래대로 되돌리겠습니다.

3. 통일부 신설
통일부를 신설하여 익스테딕의 평화적 통일을 추진하고 양국 국민들의 상처를 치유하도록 정부가 힘쓰겠습니다.

4. 중대선거구제 개혁
현재의 소선거구제는 그 특성상 득표율과 상관없이 특정 정당이 모든 의석을 가져가기 쉽게 되어있습니다. 그러므로 비례성을 높이고 소수정당도 국회에 의미있는 목소리를 낼수있게 중대선거구제 개혁을 제안합니다.

5. 차관직 폐지
장관직도 공석인 경우도 많은 익스테딕에서 실질적으로 영향력이 적은 차관직을 폐지하여 작은정부를 구성하고 다른 분야에 더 신경쓸수있는 계기를 만들겠습니다.

6. 강력한 강군
익스테딕은 현재 분단국가임에도 불구하고 군대에 대해서는 논의가 적은편이였습니다. 저는 이를 공략하여 더 세밀하고 체계적인 훈련과 모병제를 통해서 군인을 모집하며 강군을 만들고 입대시에는 그에따른 혜택또한 주겠습니다.

7. 책임총리제 실시
국무총리에 실권을 강화해 대통령의 강한 권력을 일부 분산시키고 이원집정부제에 가깝게 혁신을 일으켜서 국정운영에 활력을 불러 일으키겠습니다.

국무총리

익스테딕국기.svg 익스테딕 공화국의 국무총리
[ 펼치기 · 접기 ]

국정 지표

350px
데카르트 정부의 슬로건

국정 원리

[[]]

국정 과제

국정 목표

내각

제1기

데카르트 정부 – 제1기 내각
대통령부통령국무총리국무장관검찰총장문화장관문화차관재무장관재무차관회계위원장중앙정보국장
퍼픽카이저

제2기

데카르트 정부 – 제2기 내각
대통령부통령국무총리국무장관국무차관검찰총장문화장관문화차관재무장관회계위원장국가정보원장
퍼픽카이저

평가

퍼픽 대통령 1분기 국정 수행(HJ NEWS)
2024. 05. 02. ~ 2024. 05. 09.
34.29%
12/35
퍼픽 대통령 2분기 국정 수행(HJ NEWS)
2024. 05. 09. ~ 2024. 05. 17.
31.43%
11/35
카이저 부통령 1분기 국정 수행(HJ NEWS)
2024. 05. 02. ~ 2024. 05. 09.
34.62%
9/26
카이저 부통령 2분기 국정 수행(HJ NEWS)
2024. 05. 09. ~ 2024. 05. 13.
41.76%
10/24
조선 부통령 권한대행 국정 수행(HJ NEWS)
2024. 05. 13. ~ 2024. 05. 17.
33.33%
8/24

정치에 대한 평가

긍정적 평가

중립적 평가

부정적 평가

경제에 대한 평가

긍정적 평가

중립적 평가

부정적 평가

문화에 대한 평가

긍정적 평가

중립적 평가

부정적 평가

외교에 대한 평가

긍정적 평가

중립적 평가

부정적 평가

안보에 대한 평가

긍정적 평가

중립적 평가

부정적 평가

주요 사건

1분기

・05월 02일, 제22대 대통령 선거, 퍼픽 후보 당선

・05월 02일, 제7대 부통령 선거, 카이저 후보 당선

・05월 02일, 정부명 데카르트 정부 결정, 정부 부제 <여명의 정부> 결정

・05월 05일, 2024년 운영위원회 파업

2분기

・05월 16일, 퍼픽 대통령 탄핵발의

・05월 17일, 퍼픽 대통령 탄핵소추

조선 권한대행 체제

유일무이한 익스테딕 공화국
조선 권한대행 체제
Acting Authority of Joseon
2024년 05월 17일 ~ 2024년 05월 19일
대통령조선 / 권한대행
부통령이들 / 권한대행
여당익스테딕 국가복고당 정당박스.svg (2024. 05. 17. ~ 2024. 05. 19.)
조선 대통령 권한대행 국정 수행(HJ NEWS)
2024. 05. 17. ~ 2024. 05. 19.
29.63%
8/27
이들 부통령 권한대행 국정 수행(HJ NEWS)
2024. 05. 17. ~ 2024. 05. 19.
44.00%
11/25

이지은 권한대행 체제

유일무이한 익스테딕 공화국
이지은 권한대행 체제
Acting Authority of Lee Jieun
2024년 05월 19일 ~ 2024년 05월 25일
대통령이지은 / 권한대행
부통령이들 / 권한대행
여당무소속 (2024. 05. 19. ~ 2024. 05. 25.)
이지은 대통령 권한대행 국정 수행(HJ NEWS)
2024. 05. 19. ~ 2024. 05. 25.
40.00%
10/25
이들 부통령 권한대행 국정 수행(HJ NEWS)
2024. 05. 19. ~ 2024. 05. 25.
45.83%
11/24

이들 권한대행 체제

유일무이한 익스테딕 공화국
이들 권한대행 체제
Acting Authority of Edel
2024년 05월 25일 ~ 2024년 05월 31일
대통령이들 / 권한대행
여당익스테딕 더나은내일 정당박스.png (2024. 05. 25. ~ 2024. 05. 29.)
무소속(2024. 05. 29. ~ 2024. 05. 31.)
이들 대통령 권한대행 국정 수행(HJ NEWS)
2024. 05. 25. ~ 2024. 06. 01.
45.46%
10/22

여담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