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무르 대칸국" 문서와 "1886년" 문서 사이의 차이

(문서 사이의 차이)
 
(새 문서: {| class="wikitable" style="border: 2px solid #1b3862; width: 100%; text-align: center" | colspan="5"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b3862 0%, #1b3862 20%, #1b38...)
 
1번째 줄: 1번째 줄:
{{나라 정보
+
{| class="wikitable" style="border: 2px solid #1b3862; width: 100%; text-align: center"
|나라이름=리무르국
+
| colspan="5"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b3862 0%, #1b3862 20%, #1b3862 80%, #1b3862 100%); color: #fff" | '''세기'''
|현지이름=리무르 연합칸국
+
|-
|다른표기=The Rimur United khanate
+
| style="background:#fff; color:#000;" | [[17세기|{{글씨 색|#000|17세기}}]]
|대표이미지=
+
| style="background:#fff; color:#000;" | [[18세기|{{글씨 색|#000|18세기}}]]
|대표이미지_설명=
+
| style="background:#fff; color:#000;" | [[19세기|{{글씨 색|#000|19세기}}]]
|국기_그림= 리무르 대칸국 국기.jpg
+
| style="background:#fff; color:#000;" | [[20세기|{{글씨 색|#000|20세기}}]]
|문장_그림= 리무르 대칸국 국장.jpg
+
| style="background:#fff; color:#000;" | [[21세기|{{글씨 색|#000|21세기}}]]
|문장_이름= 테스가르 리무르족 국장
+
|-
|지도_그림=
+
| colspan="5" width=20% style="background:#1b3862; color:#fff;" | '''[[연대|{{글씨 색|#fff|연대}}]]'''
|지도_그림_설명=
+
|-
|나라_표어= 백성을 풍요롭게 하다
+
| style="background:#fff; color:#000;" | [[1860년대|{{글씨 색|#000|1860년대}}]]
|나라_표어_설명=
+
| style="background:#fff; color:#000;" | [[1870년대|{{글씨 색|#000|1870년대}}]]
|국가= 우리는 리무르 인이다.
+
| style="background:#fff; color:#000;" | [[1880년대|{{글씨 색|#000|1880년대}}]]
|국가_듣기= [[우리는 리무르 인이다.]]
+
| style="background:#fff; color:#000;" | [[1890년대|{{글씨 색|#000|1890년대}}]]
|지도=  
+
| style="background:#fff; color:#000;" | [[1900년대|{{글씨 색|#000|1900년대}}]]
|너비=
+
|-
|수도= [[어버그가자르]]
+
| colspan="5" width=20% style="background:#1b3862; color:#fff;" | '''[[연도|{{글씨 색|#fff|연도}}]]'''
|수도위치=
+
|-
|최대도시=  
+
| style="background:#fff; color:#000;" | [[1884년|{{글씨 색|#000|1884년}}]]
|공용어= 한국어
+
| style="background:#fff; color:#000;" | [[1885년|{{글씨 색|#000|1885년}}]]
|국민어= 리무르어
+
| style="background:#fff; color:#000;" | [[1886년|{{글씨 색|#000|1886년}}]]
|지역어= 러시아어,폴란드어,카자흐어,리무르어,몽골어
+
| style="background:#fff; color:#000;" | [[1887년|{{글씨 색|#000|1887년}}]]
|정부형태= 전제군주국
+
| style="background:#fff; color:#000;" | [[1888년|{{글씨 색|#000|1888년}}]]
|지도자_칭호= [[리무르의 군주|킨(칸)]]
+
|-
|지도자_이름= [[삼색]]
+
|}
|지도자_칭호1= [[리무르의 수상|수상]]
+
{{목차}}
|지도자_이름1= 보르발다바 온세기
 
|지도자_칭호2= [[리무르의 여왕|쿠툰(황후)]]
 
|지도자_이름2= [[티타노바 네코]]
 
|지도자_칭호3=
 
|지도자_이름3=  
 
|EU 가입일=
 
|면적= 2,747,000km²
 
|면적_순위=
 
|내수면_비율=
 
|시간대=GMT
 
|UTC_시차= +1
 
|일광절약시간=
 
|인구어림년도=2019
 
|어림인구수= 60,396,911명
 
|인구_순위=
 
|인구조사년도=
 
|조사인구수=
 
|인구밀도= 25.4명/㎢
 
|인구밀도_순위=
 
|GDP_PPP_년도=
 
|GDP_PPP= $1조4000억
 
|GDP_PPP_순위=
 
|일인당_GDP_PPP=$12,137
 
|일인당_GDP_PPP_순위=
 
|명목_GDP =
 
|명목_GDP_순위 =
 
|인간개발지수=
 
|HDI_순위=
 
|HDI_조사년도=
 
|지니_계수=
 
|통화= 리무륵
 
|통화기호= Я́
 
|단위=  
 
|ISO1=
 
|ISO2=
 
|ISO3=
 
|국가도메인=
 
|국제전화번호=
 
|보충설명=
 
}}
 
  
[목차]
+
==개요==
 +
1886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자 1880년대의 7번째 해다.
  
== '''리무르 연합 칸국''' ==
+
==사건==
리무르 연합 칸국 은 전제군주제, 혼합연방제 국가다.
 
  
== 역사 ==
+
[[분류:1886년]]
{{참조|리무르 대칸국/역사}}
 
 
 
== 외교 ==
 
{{참조|리무르 대칸국/외교}}
 
 
 
== 헌법 ==
 
{{참조|리무르대칸국 헌법}}
 
 
 
==자연==
 
=== 기후 ===
 
지역이 차이가 있지만 대체로 건조하고 연교차가 극단적으로 크며 겨울이 추운데, 서북쪽으로 갈수록 연교차가 커지고 남쪽으로 갈수록 건조해진다.
 
리무르 서부 간순은 1월(-32.1℃)과 7월(18.9℃) 평균 기온의 차이가 51℃에 이르며
 
동부 샴르도 1월(-20.5℃)과 7월(19.8℃) 기온 차이가 40℃에 달한다.
 
 
 
=== 지리 ===
 
리무르는 중앙아시아 (외몽골+내몽골)지점에 있으며 바다가 멀고 넓은 평원이 많다.
 
옛날부터 사람들이 말을 많이 탈 수 밖에 없어서차는 도시에서만 많이 타기에 자연환경이 좋은편이다
 
또한 금이 많이 매장 되 있는 곳이기도 한다.
 
 
 
== 문화 ==
 
=== 의 문화 ===
 
리무르의 의문화는 일반 전통복으로 되어있습니다.리무르의 기후상 외출을 할땐 겨울에는 전통복 안에 모피를 겹쳐놓고 박음질 하여 자주입습니다
 
보통 남자는 녹색의 붉은색 , 여자는 황색의 흰색을 입습니다.
 
 
 
=== 식 문화 ===
 
리무르의 식문화는 양고기,말고기등 육류를 주식으로 하는 요리가 많으며 , 우유를 활용한 음식도 많다.
 
남부쪽은 과일이 자라 과일을 으깨서 얼려먹는 '르휀' 이란 간식도 즐겨 먹는다.
 
국내에 손님이 왔을때 모여서 잔치를 여는 풍습이 있다.
 
 
 
=== 주 문화 ===
 
리무르에는 고층빌딩이 많지 않다. 보통 '타르한' 이라는 2층식 게르에서 산다.
 
이는 유목민족 전통을 얼마나 잘 이어오고 있는지 잘 보여주고 있다.
 
 
 
== 정치 ==
 
군주제이지만 행정이 구성 되어있다.
 
 
 
국방부
 
내무부
 
문화체육관광부
 
교육부
 
국토건설부
 
경제개발부
 
외교부
 
컨텐츠통신부
 
 
 
일종의 귀족제도 있지만 권력이나 정치에는 관련이 없다.
 
 
 
== 가문 ==
 
리무르대칸국 황족의 가문은 '테스가르' 다.
 
초대칸인 허여르 칭기즈칸(삼색)은 보르지긴 보돈차르{시조} 의 후손이며 , 보르지긴 테무진(칭기즈칸) 의 후손이다.
 
(또한 황실 가계도를 보면 보르지긴 테무르의 아들 보르지긴 테이슈 그리고 테이슈의 아들이 고려의 이북에서 정착해 사는걸로
 
이어진다.)
 
 
 
명칭은 테스가르 지만 한국어로 하면 ' 몽골 송씨 ' 다.
 
 
 
== 종교 ==
 
=== 신목교 ===
 
신목교는 몽골의 기독교에서 넘어온것으로 추정된다.
 
 
 
신목교는 자연을 신성시 여기며 절대 필요하지 않은 살생을 하지 않는 종교이다.
 
 
 
이외 네팔의 종교와 비슷한 여신을 뽑는 종교행사도 종종 보인다.
 
 
 
=== 리무르정교회 ===
 
러시아 정교회와 비슷하지만 새해와 사마리아인의 날 , 모세 미디안의 날 등이 있다.
 
 
 
-교회명절-
 
1월25일 새해
 
7월4일 선한 사마리아인 날
 
8월19일 모세ㆍ미디안의 날
 
12월24일 성탄절(크리스마스)
 
 
 
=== 언어 ===
 
== 리무르어 ==
 
초기 리무르 문자는 파스파 문자와 비슷한 형태 였다가
 
이후 표기를 위해 키릴문자에 점자형을 더하여 완성됬다.
 
 
 
현재도 리무르어 사전을 개발중이다.
 
발음은 현재도 배우는 사람도 표현하기 힘들다.
 

2024년 6월 3일 (월) 23:14 기준 최신판

세기
17세기 18세기 19세기 20세기 21세기
연대
1860년대 1870년대 1880년대 1890년대 1900년대
연도
1884년 1885년 1886년 1887년 1888년

개요

1886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자 1880년대의 7번째 해다.

사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