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로왕: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tablewidth=92%><tablebordercolor=#B22222> '''실제 인물을 다루는 문서입니다.'''||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left; border: 2px solid #3d428b; float: right...)
 
잔글편집 요약 없음
5번째 줄: 5번째 줄:
! colspan="2" style="font-size: 10.5pt; color: #fbe673; background: 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F3268, #3d428b 20%, #3d428b 80%, #2F3268)" | {{글씨 크기|11|금관가야 초대 국왕}}[br]{{글씨 크기|14|세조 수로왕ㅣ世祖 首露王}}
! colspan="2" style="font-size: 10.5pt; color: #fbe673; background: 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F3268, #3d428b 20%, #3d428b 80%, #2F3268)" | {{글씨 크기|11|금관가야 초대 국왕}}[br]{{글씨 크기|14|세조 수로왕ㅣ世祖 首露王}}
|-
|-
! colspan="2" | <div style="margin: -5px -9px">[[파일:King Suro Visage.png]]</div>
! colspan="2" | <div style="margin: -5px -9px">[[파일:King Suro Visage.png|400px]]</div>
|-
|-
! rowspan="2" style="width: 100px; background: #3d428b; color: #fbe673;" | 출생
! rowspan="2" style="width: 100px; background: #3d428b; color: #fbe673;" | 출생
37번째 줄: 37번째 줄:
! style="background: #3d428b; color: #fbe673;" | 부모
! style="background: #3d428b; color: #fbe673;" | 부모
| '''부''' [[이비가]][br]'''모''' [[정견모주]]
| '''부''' [[이비가]][br]'''모''' [[정견모주]]
|-
! style="background: #3d428b; color: #fbe673;" | 형제
| 6남 중 1남
|-
|-
! style="background: #3d428b; color: #fbe673;" | 왕후
! style="background: #3d428b; color: #fbe673;" | 왕후

2024년 8월 4일 (일) 01:47 판

실제 인물을 다루는 문서입니다.
금관가야 초대 국왕
세조 수로왕ㅣ世祖 首露王
King Suro Visage.png
출생 서기42년 3월 4일
금관가야
사망 199년 3월 23일 (향년 157세)
태봉 부양 산골현 인근부
(現 강원도 평강군)
능묘 수로왕릉
재위기간 금관가야 국왕
42년 3월 16일 ~ 199년 3월 23일
(157년)
[ 펼치기 · 접기 ]
성씨 김해 김씨 / 뇌질(惱窒)[1]
수로(首露) / 청예(靑裔)
부모 이비가
정견모주
형제 6남 중 1남
왕후 허황옥
자녀 10남 2녀
종교 불교
신장 9척(2m 43cm)[2]
묘호 세조(世祖)[3]
태조(太祖)[4]
시호 수릉왕(首陵王)[5]
왕호 수로왕(首露王)

개요

  1. 정견모주 전설에 나오는 ‘금관국왕 뇌질청예’가 수로왕과 동일인물로 볼 경우.
  2. 삼국시대에 관한 기록에서 9척이라 나온다. 다른 각주에도 서술하지만 현재의 척은 일본이 개항 이후 피트를 척으로 번역한 것이 넘어온 것이다. 고대사의 1척은 거의 중국 전한시대의 1척인 22.5cm를 기준으로 한 것이다.
  3. 《삼국유사》에 인용된 《가락국기》의 기록이다. 다만, 묘호가 아니라 그냥 칭호였을 가능성도 있다.
  4. 《김해 김씨 족보》 기록. 아마도 가야가 멸망하고 시간이 흘러 문중 내에서 추숭한 걸로 보인다.
  5. 《삼국유사》에 인용된 《가락국기》의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