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글 (→ㅇ) |
잔글 (→ㅇ) |
||
158번째 줄: | 158번째 줄: | ||
*[[윤석경]]: | *[[윤석경]]: | ||
*[[은하예]]:'''슬로베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출신으로, [[파르니예프]]에게는 '''체스타'''가 더 익숙한 인물이다. 종종 대화를 나누는 사이였지만,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НСССР)|소련]]의 입국을 [[이오시프 스탈린 (НСССР)|제 5대 서기장]] 당시 이유로 여전히 입국 통제를 막고 있기도 하여, 그다지 우호적이진 않는지 추측 중이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НСССР)|소련의 서기장]]이라면 풀 수 있는 권한을 가지고 있긴 하나, [[이오시프 스탈린 (НСССР)|최고지도자]]의 권리이므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최고회의 (НСССР)|최고 소비에트]]에서 회의를 하고 풀어야 한다는 식으로 거절하고 있다.[* 사실, 그다지 중요한 안건도 아니다.] | *[[은하예]]:'''슬로베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출신으로, [[파르니예프]]에게는 '''체스타'''가 더 익숙한 인물이다. 종종 대화를 나누는 사이였지만,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НСССР)|소련]]의 입국을 [[이오시프 스탈린 (НСССР)|제 5대 서기장]] 당시 이유로 여전히 입국 통제를 막고 있기도 하여, 그다지 우호적이진 않는지 추측 중이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НСССР)|소련의 서기장]]이라면 풀 수 있는 권한을 가지고 있긴 하나, [[이오시프 스탈린 (НСССР)|최고지도자]]의 권리이므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최고회의 (НСССР)|최고 소비에트]]에서 회의를 하고 풀어야 한다는 식으로 거절하고 있다.][* 사실, 그다지 중요한 안건도 아니다.] | ||
*[[이공팔공]]: | *[[이공팔공]]: |
2024년 8월 15일 (목) 11:50 판
개요
페르빌 파르니예프의 다른 인물과의 관계를 서술한 문서이다.
가상국가
위의 가상국가 목록은, 페르빌 파르니예프의 활동 기간 및 상징적인 순서로 나열하였다. 진한 글씨 색은, 공산주의의 인물 중 하나로, 주로 소련에서 활동한 인물이다.
한글
다음은 자음 순으로 구성하였다.
ㄱ
- 김일성:공산주의라는 이름 아래서, 알게된 인물로 형식적인 만남 이외에는 사적인 만남을 가지지 않고 있다. 김일성은 밴드 가상국가 출신이며, 파르니예프 역시 본 적은 카카오톡 가상국가 출신이나 다름없으며, 서로 주 활동 지역에서만 활동하므로 사적인 만남을 잘 가지지 못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물론, 서로 이어질 만한 큰 접점이 없다는 것도 한몫한다.
- 고색봇:대화를 나누며 고색봇이 정계를 떠났음에도, 대화를 나누고 있지만 의미 있는 접점은 없다. 현재까지 대화를 나누고 있음에도, 접점이 없다고 표시한 이유는, 문자 그대로 이렇다 할 접점과 특징이 없었기 때문이다.
- 고양이 서기장:kcccp 주도의 코민테른 당시, 파르니예프가 소련의 세력을 늘릴 때 사회주의 국가의 개혁 일환으로, 당시 파르니예프가 만든 위성국을 복구하였기에 약간 감정이 있다. '코민테른의 개혁'도 사실상 의미가 없었으니, 안 좋게 보는 것도 당연하다. 사실, kcccp 주도 하의 '코민테른에 결정타를 날려 해체 명분을 준 국가와 인물은, 소련과 파르니예프, 쇼스타코비치 고양이의 지분이 꽤 크다.
- 고치돈:2022년 11월 정확한 달은 불명. 경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만난 인물로, 파르니예프가 최초로 가상국가의 군대로 진출하게 만든 장본인이다. 고립주의를 표방하기 전까지 사적으로 대화를 주고받았으나, 이후로는 사실상 대화를 나누지 않고 있다. 파르니예프가 대화를 시도하였으나, 관계가 예전 같지 않아 단념한 것이다.
ㄴ
- 낙지:별다른 접점이 없다가, 2023년에 '유튜버이자 트위치 bj 이승빈의 암살 컨텐츠'를 통해 대화를 나누게 된 경우이다. 여기 나오는 '이승빈'은 다음 링크를 참고하자. https://namu.wiki/w/이승빈(음악가) 예시 동영상이다. 다소 정치적일 수 있으므로, 열람시 주의를 한다. https://youtube.com/shorts/wNamMG3WgC4?si=riDsZ-cA4-XwR5xC
- 노무쿤 노쥬로:2023년 1월경, 카카오톡 가상국가에 수립된 원주율파민공화국에서 유쾌하게 행동하여 기억에 남아 있다. 당시, 국가(國歌)로 응디시티를 추천하기도 했으며, 이름에서 보듯이 일간베스트 쪽으로 추측할 수 있다. 기간 동안, 꾸준히 인사를 하였던 인물이다.
- 논나:2022년에 처음 만났으며, '프라우다 고교'를 바탕으로 활동하는 인물이다. 딱히, 그다지 이렇다 할 접점은 없다. 그나마 있다면, 프라우다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의 제 2대 서기장으로 파르니예프를 선출한 정도이다. 유감스럽게도, 논나가 언젠가부터 정지를 밥 먹듯이 먹어서 그런지 '정지밖에 기억이 나질 않는다.'
- 니콜라이 레닌:2023년부터 활동하고 있는 인물로, 2024년 들어 공산주의자로 취급 받고 있는 인물이다. 사적으로 성적인 발언을 단방향 통신 마냥 받지만, 요즘은 그래도 좀 적은 편이다.
ㄷ
- 데스파치:네뷸러스 가상국가 출신으로, 2023년에 합류하여, 현재는 조선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가원수로 활동 중이다. 현재는 사실상 서류상 존재하는 국가를 운영중이다. 네뷸러스 가상국가는 인원이 협소하여 1인 공화국 체제를 운영 중이므로, 운영진이 실종 상태라면 더 이상 운영되지 아니하며, 비어 있는 국가로 전환된다.
ㄹ
- 라인하르트 셰어:직접적인 충돌은 없었으나, 파르니예프가 서술하였듯이 사실상 반역자 취급을 한다. 독일 민주 공화국의 국호를 동독일 제국으로 바꾸고, 국기까지 독일 2제국과 같은 형태로 색만 수정한 후 당당하게 돌아다녔기 때문이다. 동독일 제국을 붕괴하고 "다시 돌아온 동독일 제국"이라는 이름으로 국가 홍보를 한 것까지 한몫한다.
- 라자흐 안드르스:카자흐 ССР의 초대 지도자로, 2023년 USSR로 입문하여 구성국을 자처하였지만, 우유부단한 정책으로 인해, 소련의 구성국을 자처하게 된다. 2023년부터 이런 저런 대화를 주고 받았으나, UISR의 서기장으로 되면서 이후 그렇다 할 대화는 없었다. 현재는 정계를 떠난 인물이며 자세한 건 라자흐 안드르스를 참고할 것.
- 루카스:2023년부터 만난 인물로, 매흠을 개인적으로 우호적으로 생각하였기에 매흠의 제자라고 불리던 파르니예프가 대조적인 모습을 취했었기에 파르니예프로부터 약간의 실망을 받은 적이 있다. 그럼에도, 카카오톡 가상국가 현재 시점으로 유일한 공산주의자로 불렸기에, 종종 이야기를 나누었고 파르니예프를 독일 민주평의회 공화국이나 그리스 인민 민주 공화국으로 초대를 보내어 정치인으로 활동하게 해주기도 하였다. 현재는 정계를 떠난 인물이다.
- 레고:2023년에 만난 인물 정확한 연도는 불명.로, 파르니예프가 개인적으로 편하게 대하는 몇 안되는 인물이다. 사상적으로는, 각자가 추구하는 바가 다르기에 레고는 유신론자인 반면, 파르니예프는 무신론자에 반신론자이다. 즉, 사상 이야기만 나오면 필연적으로 충돌할 수밖에 없는 처지이다. 파르니예프는 레고의
기독교 공산주의사상을 보고 분자 취급하였으며, 레고는 파르니예프를 보고 스탈린 취급을 하기도 한다.사상만 나오면 십이면 십, 백이면 백, 무조건 충돌하기 일쑤이지만 대인 관계는 우호적이다.
- 리넛:2023년에 만난 인물로, 서로 약간 우호적인 관계를 가졌다. 리넛이 제 4대 최고 소비에트 분기의 대의원으로 활동할 적에도, 리넛이 추방 권한을 가지고 있음에도 단 한 명만 영구 추방을 당하고 책임을 지고 나가면서 테러를 당하지 않기도 하였다. 이외에도, 리넛이 카카오톡 가상국가 전역에 대 전쟁을 치를 때에도 소련에 먼저 불가침 조약을, 심지어 소련 기준에서 서술하여 제의하기도 하였다. 그때라면 쇼스타코비치 헌법에 의거하여 소련 최고 소비에트가 외교적 조약 업무 등을 처리할 때의 일이므로, 대의원의 반대로 무산되었다. 이후는 리넛이 소련 본 국에서 추방 당할 때까지 두런 이야기를 주고 받았으며, 밴드 가상국가에서 잠깐 대화를 나누었다. 리넛이 복귀하고 나서부터는 접점은 없다.
- 리병철:2022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근무하던 인물로, 상황극으로 유명한 인물이다. 개인적으로, 파르니예프를 상황극으로 인도한 인물이다. 다만, 파르니예프가 뇌절을 자주 하였고 2023년 중반에는 출입국을 자주하여 추방 시키기도 하였다. 현재는 사실상 운영을 중단하였고, 일우와 같은 상태라고 보면 된다.
- 리차렬:쇼스타코비치 고양이의 정책이 이루어지고 나서, 파르니예프가 신발전제국을 공산화 하였으며, 2024년인 현재까지 신 발전주의 인민 공화국이라는 이름으로 내려져 오고 있다. 다만, 중간에 제국의 복고를 꾀하다 파르니예프의 눈 밖에 났으며 당연히 제국에서 사회주의 국가로 갔다가, 소통이 없다며 발전이 안된다고 불평하여 퇴보를 하고자 한 것으로, 파르니예프가 반동 분자라고 말하는 등 불같이 화를 내었다. 이 일로, 국교는 물론, 관계까지 극악으로 치닫을 뻔하기도 했다. 2024년 거듭되는 불만 사항이 대의원에게 내려오면서 추방까지 당하게 되는 인물이다. 그럼에도 아직까지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 중이다.
ㅁ
- 마쉬:
- 마일:
- 먕:
- 매흠:소련의 최고지도자로, 제 2대 서기장으로 활동하였으며, 다양한 국가에서 세계혁명주의를 내세워서 제국, 공화국, 왕국, 사회주의 국가까지 전부 체계적인 사회주의 국가로 만든 장본인이다. 파르니예프가 데려온 인물 중 하나로, 파르니예프가 쇼스타코비치 고양이처럼 우대한 인물이다. 시기 상으로는, 매흠이 쇼스타코비치 고양이보다 먼저 진출하였다. 어떻게 처음에 대우했는지는 동일하기에 이렇게 표시하였다. 현재는 개인 문제로 인하여 정계를 갑작스레 떠났다.
- 문무:
- 문사장:
- 미하일 고르바초프:공산마르크스주의 동아시아 연합국 및 ~연합국의 국부이다.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중이다.
ㅂ
- 박호순:
- 백냥:
- 보르:
- 보스:
- 블라디미르 레닌:소련에 2022년 11월 12일부터 파르니예프와 함께 활동하고 소련의 서기장까지 오르면서 최고 지도자의 자리에 오른 인물이다. 마지막에 잠시 단절되었다가 복구되어서 그렇지, 누구처럼 테러를 저지른 적 없으며 관계도 괜찮은 인물이다. 현재는 모든 직책을 사임하고 정계를 떠난 상태이다.
- 빙칠링:
ㅅ
- 사과:
- 사과킴:파쇼 성향으로 인해, 웬만해서는 잘 다루지 않는다. 천성 부분에서는 파르니예프도 인정하는 부분이지만, '공산마르크스주의 동아시아 연합국 해체 시도 사건' 이 부분에 대해서는, 사과킴 문서 참고.으로 인해 그렇게 잘 다루지 않는다.
- 설하:극초기 약간의 트러블이 있었으며, 매흠시기에 급속도로 친해진 케이스다. 쇼스타코비치 고양이 시기에 잠시 급속도로 나빠졌으나, 이외에는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중이다.
- 소련:
- 소련시대:
- 소연 눈나:독일 민주 공화국의 제 2대 서기장으로, 투표로 선출된 최초의 인물이다. 딱히 접점은 없었으며, 라인하르트 셰어가 서기장으로 선출되고 나서 정계를 떠났다. 그리고 차후, 소련에서 머무르다가 최근 독일 민주 공화국 연구소 소장직까지 그만두면서 현재는 여생을 보내고 있다. 파르니예프는 유월화에 대한 우호적 경향이 컸으나, 누구처럼 국가의 퇴보를 주도하고 뻔뻔하게 독일 민주 공화국을 추증하는 사람보다는 낫다고 여기며 딱히, 추가적인 접점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쇼스타코비치 고양이:초반에 파르니예프는 정치 개혁을 시도하고자, 소련으로 불러들였으며, 2024년 6월경부터, 8월 12일까지의 기간 동안, 지속적인 장기 트러블과 진정을 시키려고 중간 중간 대화를 나누다가 사실상, 헌법상으로 권력이 없는 대통령이 되면서 자포자기로 국가를 방치하였다. 미 제국주의의 평화 조약 그리고 컨셉으로의 꾀함, 파르니예프의 소련 붕괴 선언까지, 갈 때까지 다 간 인물이다. 8월 12일과 마르크스-레닌-마오주의에서 한층 더 나가자 사실상 관계를 단절하였었다. 최근 다시 공산주의 서적을 학습하기 시작하면서 관계 회복을 진행 중이다. 현재는 정계를 떠난 인물이다.
- 수수:소련 제 4대 최고소비에트 분기 당시, 파르니예프와 활동한 적이 있었으나, 그다지 큰 접점은 없었다.
- 슈페어:
- 스탈렌:스탈렌이 2023년 4월경부터 소련으로 입문할 적에 만났으며, 소통 쪽으로는 교류가 있었으나, 군주주의, 파시즘, 공산주의, 제국주의 할것없이 친밀하게 활동한 점과 2024년 7월 경에 냉대하게 대했던 점을 고려하면, 사상적으로는 그렇게 좋은 관계가 아니라는 것을 추측할 수 있다.
- 시헌:
ㅇ
- 아덴:뛰어난 지식으로 인해 2022년 10월부터 아덴이 모든 직위에서 사임할때까지 충돌한 사이이다. 대한민국 출신의 공산주의자라면, 처음에는 핏대를 세우고 논쟁하는게 있다. 이를테면, 사회주의와 공산주의가 민주주의의 반의어라든지, 공산주의는 절대적 평등주의 분배(A는 10의 일을 하고 B는 100의 일을 하였지만, 임금은 모두 50으로 동일하다. 즉, 공산주의 사회에서는 사람들이 게을러질것이다.->대한민국의 공산주의자라면, 논쟁을 해봤다면 무조건 이런 사례가 있을 것이라고 호언장담한다.)라는 유서 깊은 논쟁이 있다.
- 엘랑:2023년에 처음 만났으며,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최고회의 (НСССР)|소련 제5대 최고소비에트 대의원으로 활동한 전적이 있다. 그러나, 파르니예프는 개인적으로 엘랑의 발언과 행동들에 대하여 약간의 유감을 가지고 있다. 2024년 들어, 복귀한 엘랑을 그다지 환영하지는 않았다. 현재는 정계를 떠난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 엠트:소련의 소련 제9~10대 최고소비에트 대의원에 재임하였지만, 일의 성실도 측면에서는 신임을 받지 못한 인물이다. 관계는 그다지 나쁘지 않으며, 행방불명 될 때까지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였다. 행방불명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엠트 문서를 참고.
- 엥스:
- 우라늄:
- 우유:
- 위대한:2022년 말에 처음 만났지만, 누가 누구인지 모를 정도의 인지도를 가졌다. 차후, 2023년 4월 말에. 주선자에 의해 밴드 가상국가로 가서 위대한과 대화를 나누었지만, 서로 대화의 추구 점이 달라서 결별한 인물이다. 파르니예프는 장문으로 글을 써서 대화를 나누는 방식이었지만, 당시 위대한이 개인적으로 바쁘다며 발언을 재촉하였으며 대국의 자세로 대하였기에 여러모로 기분이 상한 파르니예프가 대화 후에 자리를 박차고 일어났다. 여담으로, 레닌을 찾으러 추후 방문한 적이 있었으나, 대화를 서로 나누지 않았다.
- 유니온:2023년에 친해진 인물로, 소련의 당시 서기장이었다. 파르니예프의 회고록에 의하면, 소련이랑 소련이 합쳐지는 것까지 2차례 고려되었을 만큼 신뢰도가 높다. 물론, 2번째는 파르니예프 자체가 아닌 해박한 지식을 가진 공산주의자가 있었기에 논의를 가진 것이다.
- 유민:
- 유월화:독일 민주 공화국의 초대 서기장으로, 소연 눈나를 서기장으로 선출하기 전까지 직위를 유지하였던 인물이다. 대화를 많이 나누는 편이었으며, 제 2대 서기장 시절에 내정 간섭을 하다가 결국 당시 서기장에 의해 추방되는 불명예적인 수모를 겪는다. 이후, 소련에 머무르다가 정계를 떠났다.
- 윤보선:
- 윤석경:
- 은하예:슬로베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출신으로, 파르니예프에게는 체스타가 더 익숙한 인물이다. 종종 대화를 나누는 사이였지만, 소련의 입국을 제 5대 서기장 당시 이유로 여전히 입국 통제를 막고 있기도 하여, 그다지 우호적이진 않는지 추측 중이다. 소련의 서기장이라면 풀 수 있는 권한을 가지고 있긴 하나, 최고지도자의 권리이므로 최고 소비에트에서 회의를 하고 풀어야 한다는 식으로 거절하고 있다. 사실, 그다지 중요한 안건도 아니다.
- 이공팔공:
- 이스라엘:
- 이오시프 마탈린:2023년부터 활동한 인물로, 소련에서 소통량 최전성기를 달리게 만든 장본인 중 한 명이다. 만나기는 2022년부터 만났으며, 40여 국가의 소련의 서기장 출신이다. 2024년에는 서로 대화를 주고 받는 사이가 되었으며, 현재는 모든 정계를 떠난 인물이다.
- 이오시프 스탈린:소련에 2022년에 들어온 인물로, 블라디미르 레닌과 페르빌 파르니예프를 제외하면, 최고 원로 중에서 하나이다. 2022년부터 현재까지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 중이며, 중간 중간 약간의 사소한 갈등은 있었으나, 대체적으로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 중인 인물이다.
- 일우:소비에트 연방의 초대 서기장으로서, 2023년에 활동하였으며 파르니예프의 피셜, 자신을 신임하는 인물이다. 가상국가가 다 그렇듯이, 실제 친구라고 할지라도 절대적인 신임을 받는 경우가 허다하지만 대부분 그 끝이 별로 좋지 못한다. 현재는 실제 친구와도 연락이 닿지 않을 만큼, '무제한 잠수함 작전'에 돌입한 상태가 된지 오래이다.
ㅈ
- 장제스:
- 김적평:파르니예프가 차세대 공산주의로 일컫을만큼, 시각은 물론 관계도 나쁘지 않은 인물이다. 마찬가지로, 행방불명 전까지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였던 인물이다. 참고로 김적평은 적 소비에트의 별칭으로, 자세한 것은 적 소비에트 문서를 참고.
- 족발:
ㅊ
ㅋ
- 카르야킨:
- 캐탈린:소련 제5대 최고소비에트 분기 당시, 제5대 최고소비에트 대의원에 의해 추방되었다. 이 마저도, 대통령이 주관하지 못할 때 발생한 것이므로, 잠깐 대화를 나누는 것 이외에는 별다른 접점이 없다.
- 콜라:
- 크라스:네뷸러스 가상국가의 신소련의 국부이자, 현임 서기장이다. 파르니예프를 공산주의의 길로 인도한 장본인이며, 종종 부딪힘은 있었으나 2020년부터 현재까지 좋은 관계를 유지 중이다.
ㅌ
- 티모:
ㅍ
- 피델 카스트로:딱히 접정은 없다.
ㅎ
- 하얀머리:2023년 4월에 만난 인뭏로, 개방적인 성문화를 즐겼다. 하얀머리와 스탈렌 일당의 주도 아래 이루어졌다. 다시 말해, 하얀머리가 주모자와 동일하다.딱히 그다지 큰 접점은 없었다.
- 함태희:대략 2023년에 만났으며, 정확한 날짜는 불명.그다지 접점은 없다.
- 혁명가:독일 제2제국에서 파르니예프가 도이칠란트 제국 공산당 원래는 제국을 붕괴시킬 목적으로 창당하였다. 당수로 활동할 적에 만난 인물로, 파르니예프가 직접 소련의 제 3기 장관회의에 초대한 인물이다. 차후, 별다른 접점은 없는 상태이다.
- 혁명수출가:파르니예프가 인정하는 가상국가의 공산주의자로, 2024년 소련으로 유입한 인물이다. 파르니예프의 신뢰도가 높은 인물 중 하나로, '해박한 지식을 가진 공산주의자'에 비해서는 낮지만 카카오톡 가상국가 수준으로는 지식인을 상회하는 수준이다.
- 호사:2023년 경에, 정확한 년도는 불명. 만난 인물로 주로 캐나다 지역에서 활동하는 인물이다. 개인적으로 파르니예프가 편하게 대하는 농도의 기운을 가지고 있으나, 소련의 테러범이기도 하여 그렇게 평판은 좋지 못하다. 사회주의 국가를 테러한 것은, 공산주의자에서의 시선에서 그리 곱지 못하다.
알파벳
A
B
C
D
E
- EYE:
F
G
H
I
J
K
L
- LAUW:
- lee:
N
M
O
P
Q
R
S
- surge:서지라고도 불리며, 가끔 대화를 나누는 사이다. 별다른 접점은 없지만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중이다.
T
U
- UN국제아메리카연합미특수우주군:네뷸러스 가상국가 출신으로, 이름에서 보듯이 미국 소속 인물이다. 딱히, 접점은 없었지만 마지막에 점수 작을 하기 위해 같이 작전을 펼쳤다. 네뷸러스 가상국가는 네뷸러스라는 게임에 근거하였다보니, 순위제가 있었다. 여기서 점수 작이란, '점수 순위'를 가리키는 용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