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아: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국가 정보 양식2
[[파일:위키스 상세 내용 로고.png|20px]] {{글씨 크기 (px)|10|이름이 같은 다른 문서에 대한 내용은 [[시리아 (동음이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틀 너비 = 600px
| 글씨 크기 =
| 테두리 크기 = 2px
| 테두리 색 = #cf0921
| 틀 끝색 = #cf0921
| 틀 중간색 =
| 틀 글씨색 = #fff
| 국가 명칭 = 시리아 아랍 공화국
| 기타 명칭= الجمهورية العربية السورية
| 국기 = Flag of Syria.svg
| 국기 크기 = 160px
| 국장 = Coat of arms of Syria.svg
| 국장 크기 = 110px
| 범례색 = #0c7a3b
| 범례 글씨색 = #fff
| 표어 배경색 = #fff
| 표어 글씨색 = #cf0921
| 표어 = '''وحدة ، حرية ، اشتراكية'''
| 원어표어 글씨색 = #000
| 원어표어 = '''연합, 자유, 사회주의'''


| 국가 = [[조국의 파수꾼]]
{{실존 국가}}
| 국화 = 재스민
{| class="wikitable" style="max-width: 450px; width: 100%; text-align: left; font-size: 14.4px; border: 2px solid #cf0921; float: right;"
| 국수 = 매
! colspan="3"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f0921 0%, #cf0921 20%, #cf0921 80%, #cf0921); color: #fff;" | <div style="margin: 6px 0px 3px;">{{글씨 크기 (px)|19|시리아 아랍 공화국}}<br>الجمهورية العربية السورية<br>Syrian Arab Republic
| 국목 =
|-
| 국조 =  
! colspan="2" style="width: 50%; height: 150px; background: #F5F5F5;" | <div style="margin: 0 auto; width: 60%;">[[파일:시리아 국기.png]]</div>
| 역사 = 1920년 3월 8일 '''[[시리아 아랍 왕국]] 선포'''<br>1924년 12월 1일 '''[[프랑스 위임통치령 시리아]] 형성'''<br>1946년 4월 17일 '''[[시리아 공화국]] 독립'''<br>1961년 9월 28일 '''[[아랍 연합 공화국]] 탈퇴'''<br>1963년 3월 8일 '''[[바트당 (시리아)|바트당]] 쿠데타'''<br>2011년 3월 15일 '''[[시리아 내전]] 발발'''<br>2012년 2월 27일 '''제8차 헌법 제정'''
! style="width: 50%; background: #F5F5F5;" | <div style="margin: 0 auto; width: 40%;">[[파일:시리아 국장.svg]]</div>
| 수도 = [[다마스쿠스]]
|-
| 최대도시 =  
! colspan="2" style="background: #000; color: #fff;" | 국기
| 면적 = 185,180km²
! style="background: #000; color: #FFF;" | 국장
| 내수면 비율 = 1.1%
|-
| 접경국 =  
! colspan="3" style="background: none;" | {{글씨 색|#007a3b|وحدة ، حرية ، اشتراكية}}<br>{{글씨 색|#007a3b|연합, 자유, 사회주의}}
| 인접국 =  
|-
! colspan="3" style="background: #000; color: #FFF;" | 상징
|-
! style="width: 30%; background: #cf0921; color: #fff;" | 국가
| colspan="2" | 조국의 파수꾼<br>(حماة الديار)
|-
! style="width: 30%; background: #cf0921; color: #fff;" | 국화
| colspan="2" | 재스민
|-
! style="width: 30%; background: #cf0921; color: #fff;" | 국조
| colspan="2" |
|-
! colspan="3" style="background: #000; color: #FFF;" | 역사
|-
| colspan="3" | <div class="mw-customtoggle-Korea_Table_001" style="text-align: center; margin: -2px 0px; font-size: 14.4px;">'''[ 펼치기 · 접기 ]'''</div>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Korea_Table_001" style="border: 1px solid transparent;">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 none; margin: 0px -15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 text-align: center;">
{| style="margin: -1px -15px -13px -2px; width: calc(100% + 5px); font-size: 14.4px; text-align: left;"
| • '''[[프랑스]]로부터 독립 1946년 4월 17일'''<br>'''바트당의 쿠데타 1963년 3월 8일'''<br>'''시리아 내전 발발 2011년 3월 15일'''
|-
|}</div></div>
|-
! colspan="3" style="background: #000; color: #FFF;" | 지리
|-
| colspan="3" | <div class="mw-customtoggle-Korea_Table_002" style="text-align: center; margin: -2px 0px; font-size: 14.4px;">'''[ 펼치기 · 접기 ]'''</div>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Korea_Table_002" style="border: 1px solid transparent;">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 none; margin: 0px -15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 text-align: center;">
{| style="margin: -1px -15px -13px -2px; width: calc(100% + 5px); font-size: 14.4px; text-align: left;"
! colspan="2" width=30% style="background: #cf0921; color: #fff;" | 수도 | 최대 도시
| [[다마스쿠스]]
|-
! colspan="2" style="background: #cf0921; color: #fff;" | 면적
| 185,180km²
|-
! colspan="2" style="background: #cf0921; color: #fff;" | 접경국
| • [[파일:튀르키예 국기.png|20px|link=튀르키예|border]] [[튀르키예]]<br>• [[파일:이라크 국기.png|20px|link=이라크|border]] [[이라크]]<br>• [[파일:요르단 국기.png|20px|link=요르단|border]] [[요르단]]<br>• [[파일:레바논 국기.png|20px|link=레바논|border]] [[레바논]]<br>• [[파일:이스라엘 국기.png|20px|link=이스라엘|border]] [[이스라엘]]
|-
|}</div></div>
|-
! colspan="3" style="background: #000; color: #FFF;" | 인문 환경
|-
| colspan="3" | <div class="mw-customtoggle-Korea_Table_003" style="text-align: center; margin: -2px 0px; font-size: 14.4px;">'''[ 펼치기 · 접기 ]'''</div>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Korea_Table_003" style="border: 1px solid transparent;">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 none; margin: 0px -15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 text-align: center;">
{| style="margin: -1px -15px -13px -2px; width: calc(100% + 5px); font-size: 14.4px; text-align: left;"
! rowspan="4" style="width: 50px; background: #cf0921; color: #fff;" | 인구
! style="width: 80px; background: #cf0921; color: #fff;" | 총 인구
| 24,348,053명 <small>(2024년)</small> ㅣ 세계 57위
|-
! style="background: #cf0921; color: #fff;" | 인구 밀도
| 118.3명/km² <small>(2020년)</small>
|-
! style="background: #cf0921; color: #fff;" | 민족 구성
| 아랍인 90.3%, 쿠르드족 6.3%, 기타 3.4%
|-
! style="background: #cf0921; color: #fff;" | 출산율
| 2.80명 <small>(2022년)</small>
|-
! colspan="2" style="background: #cf0921; color: #fff;" | 공용 언어
| [[아랍어]]
|-
! colspan="2" style="background: #cf0921; color: #fff;" | 공용 문자
| [[아랍 문자]]
|-
! rowspan="2" style="background: #cf0921; color: #fff;" | 종교
! style="background: #cf0921; color: #fff;" | 국교
| 없음([[정교분리]])
|-
! style="background: #cf0921; color: #fff;" | 분포
| [[이슬람]]<ref>[[수니파]] 84%, [[시아파]] 3%</ref> 87%, [[기독교]]<ref>[[정교회]] 8%, [[개신교]] 2%</ref> 10%, [[드루즈교]] 3%
|-
! colspan="2" style="background: #cf0921; color: #fff;" | 군대
| [[시리아군]]
|-
|}</div></div>
|-
! colspan="3" style="background: #000;" |
|}
{{목차}}


| 행정구역 명칭1 =
==개요==
| 행정구역1 = 14개
'''시리아 아랍 공화국'''({{llang|ar|الجمهورية العربية السورية|알줌후리야 알아라비야 앗수리아}}, {{llang|fr|République arabe syrienne|레퓌블리크 아라브 시리엔}}), 약칭 '''시리아'''({{llang|ar|السورية|수리야}}, {{llang|fr|Syrie|시리}}, {{llang|en|Syria|시리야}}는 서아시아에 위치한 국가이다.
| 행정구역 명칭2 = 구
| 행정구역2 = 60개


| 인구 = 21,563,800명
==상징==
| 인종 구성 =
===국호===
| 민족 구성 = 아랍인 90.3%, 쿠르드족 6.3%, 기타 3.4%
| 인구밀도 = 118.3명/km²
| 출생아 수 =
| 출산율 = 2.80명
| 평균 수명 =
| 기대 수명 =
| 공용어 = 아랍어
| 모국어 =
| 국민어 =
| 지역어 =  
| 공용 문자 = 아랍 문자
| 국교 = 없음(세속주의)
| 종교 분포 = 이슬람 87%, 기독교 10%, 드루즈 3%
| 자국군 = [[시리아군]]
| 주둔군 =  
| 정치체제 = 이원집정부제(사실상 대통령제)
| 민주주의 지수 =
| 국가원수 명칭 = 대통령
| 국가원수 = [[바샤르 알아사드]]<br>(Bashar al-Assad / بشار الأسد)
| 국가요인 명칭1 = 부통령
| 국가요인1 = 나자 알아타르<br>(Najah al-Attar / نجاح العطار)
| 국가요인 명칭2 = 총리
| 국가요인2 = 후세인 아르누스<br>(Hussein Arnous / حسين عرنوس)
| 국가요인 명칭3 = 의회의장
| 국가요인3 = 함무다 사바흐<br>(Hammouda Sabbagh / حمودة الصباغ)
| 여당 = <span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017B48; font-size: 0.9em">'''{{글씨 색|#fff|[[바트당 (시리아)|바트당]]}}'''</span>
| 연립여당 =  


| 경제체제 = 시장경제
===국기===
| 전체 GDP = $155억
| 1인당 GDP = $1,331
| 전체 GDP(PPP) = $502억 8,000만
| 1인당 GDP(PPP)= $5,040
| 국부 = $210억
| 수출 =
| 수입 =
| 신용등급 =
| 화폐 = 파운드 (S£)
| 화폐번호 = SY
| 세입 =
| 세출 =
| 외환보유액 =
| 지니 계수 =
| 법정연호 =
| 시간대 = UTC+3:00
| 도량형 = SI 단위
| 운전석 =  


| UN 가입여부 =
===국장===
| UN 가입일 =
| 수교국 =  


| ccTLD = .sy, سوريا.
===국가===
| 국가 코드 = 760, SYR, SY
 
| 국제 전화 코드 = +963
[[분류:시리아]]
| 링크 주소 = https://cafe.naver.com/orangesuewe
| 링크 설명 = 전자정부
| 지도 =
| 문양 = Coat of arms of Syria.svg
| 문양 크기 = 25px
}}

2024년 12월 21일 (토) 20:01 기준 최신판

위키스 상세 내용 로고.png 이름이 같은 다른 문서에 대한 내용은 시리아 (동음이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틀:실존 국가

시리아 아랍 공화국
الجمهورية العربية السورية
Syrian Arab Republic
시리아 국기.png
시리아 국장.svg
국기 국장
وحدة ، حرية ، اشتراكية
연합, 자유, 사회주의
상징
국가 조국의 파수꾼
(حماة الديار)
국화 재스민
국조
역사
[ 펼치기 · 접기 ]
프랑스로부터 독립 1946년 4월 17일
바트당의 쿠데타 1963년 3월 8일
시리아 내전 발발 2011년 3월 15일
지리
[ 펼치기 · 접기 ]
수도 | 최대 도시 다마스쿠스
면적 185,180km²
접경국 튀르키예 국기.png 튀르키예
이라크 국기.png 이라크
요르단 국기.png 요르단
레바논 국기.png 레바논
이스라엘 국기.png 이스라엘
인문 환경
[ 펼치기 · 접기 ]
인구 총 인구 24,348,053명 (2024년) ㅣ 세계 57위
인구 밀도 118.3명/km² (2020년)
민족 구성 아랍인 90.3%, 쿠르드족 6.3%, 기타 3.4%
출산율 2.80명 (2022년)
공용 언어 아랍어
공용 문자 아랍 문자
종교 국교 없음(정교분리)
분포 이슬람[1] 87%, 기독교[2] 10%, 드루즈교 3%
군대 시리아군

개요

시리아 아랍 공화국(아랍어: الجمهورية العربية السورية 알줌후리야 알아라비야 앗수리아[*], 프랑스어: République arabe syrienne 레퓌블리크 아라브 시리엔[*]), 약칭 시리아(아랍어: السورية 수리야[*], 프랑스어: Syrie 시리[*], 영어: Syria 시리야[*]는 서아시아에 위치한 국가이다.

상징

국호

국기

국장

국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