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우: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57번째 줄: 57번째 줄:
| 기타8 =
| 기타8 =
}}
}}
==개요==
{{명언1|1. 일본은 몇 명의 간신과 부동하여 나의 부황(父皇)과 모후(母后)를 시해하였으니, 이 원통한 사정을 열국(列國, 여러 나라)에 호소할 것이다.
2. 3월 1일 이래로 전 국민이 빈손으로 독립을 절규하여 외치는데 적은 처음부터 끝까지 정의와 인도를 무시하고 학살을 자행하니, 우리 국민들은 백절불굴의 기세로 독립을 요구하는 애국의 열혈이 더욱더욱 들끓어 국민의 정신이 결코 일본에 동화되지 아니할 것을 선포할 것이다.
3. 일본이 우리나라에 대해 10년 전후에 제반조약으로 우리의 국토를 합병한 것은 간사한 도적을 이용하여 협박하고, 강제 체결한 것으로 결코 나의 부황(父皇)이 긍종(肯從)하심이 아님을 내가 확실히 하는 바이다. 그러니 이를 세계에 공포할 것이다.
4. 나 역시 한국 국민의 한 사람(一民)이라. 나는 독립되는 우리나라의 평민이 될지언정 합병으로 나라를 잃고 일본의 황족(皇族)이 되는 것을 원치 아니한다. 우리 임시정부가 성립된 당지에 나아가서 정부의 제공과 더불어 동심하여 생사를 같이 하여 우리나라의 완전 독립에 노력하여 동포들의 고심(苦心)의 만분의 일이라로 도움이 되고자 하노니, 나의 이와 같은 결심은 하나인즉 복수를 위함이요, 또 하나인즉 조국의 독립과 세계의 평화를 위한 것이다.| - [[- 《독립신문》에 발표된 의친왕(이강)의 성명]]}}

2025년 1월 8일 (수) 00:57 판

대한제국 제 3대 황제
이우
Lee Ou
이우 장로.png
출생
1912년 11월 15일 (57세)
일본령 조선 경기도 경성부
재임기간
제3대 대한제국 황제
1948년 8월 15일 ~
[ 펼치기 · 접기 ]
본관
전주 이씨
부모
아버지 이강(의친왕), 어머니 수인당 김흥인(修仁堂 金興仁)
형제자매
12남 9녀 중 차남
배우자
박찬주
자녀
아들 이청,이종
병역
일본제국 육군 (중좌)
염석(念石) / 상운(尙雲)

개요

1. 일본은 몇 명의 간신과 부동하여 나의 부황(父皇)과 모후(母后)를 시해하였으니, 이 원통한 사정을 열국(列國, 여러 나라)에 호소할 것이다.

2. 3월 1일 이래로 전 국민이 빈손으로 독립을 절규하여 외치는데 적은 처음부터 끝까지 정의와 인도를 무시하고 학살을 자행하니, 우리 국민들은 백절불굴의 기세로 독립을 요구하는 애국의 열혈이 더욱더욱 들끓어 국민의 정신이 결코 일본에 동화되지 아니할 것을 선포할 것이다.

3. 일본이 우리나라에 대해 10년 전후에 제반조약으로 우리의 국토를 합병한 것은 간사한 도적을 이용하여 협박하고, 강제 체결한 것으로 결코 나의 부황(父皇)이 긍종(肯從)하심이 아님을 내가 확실히 하는 바이다. 그러니 이를 세계에 공포할 것이다.

4. 나 역시 한국 국민의 한 사람(一民)이라. 나는 독립되는 우리나라의 평민이 될지언정 합병으로 나라를 잃고 일본의 황족(皇族)이 되는 것을 원치 아니한다. 우리 임시정부가 성립된 당지에 나아가서 정부의 제공과 더불어 동심하여 생사를 같이 하여 우리나라의 완전 독립에 노력하여 동포들의 고심(苦心)의 만분의 일이라로 도움이 되고자 하노니, 나의 이와 같은 결심은 하나인즉 복수를 위함이요, 또 하나인즉 조국의 독립과 세계의 평화를 위한 것이다.

- - 《독립신문》에 발표된 의친왕(이강)의 성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