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주국의 행정 구역"의 두 판 사이의 차이

26번째 줄: 26번째 줄:
  
 
=== 영평도 ===
 
=== 영평도 ===
영평시(榮平市)와 평성시(平城市)의 앞 글자를 따서 작명한 행정구역이다.[* 이름만 보면 영평시를 따라서 작명한 것으로 오해하기도 한다.] 도 소재지는 평성시에 위치한다.
+
영평시(榮平市)와 평성시(平城市)의 앞 글자를 따서 작명한 행정구역이다.[* 이름만 보면 영평시를 따라서 작명한 것으로 잘못알기도 한다.] 도 소재지는 평성시에 위치한다.
  
 
<hr style="clear:both"/>
 
<hr style="clear:both"/>

2018년 12월 24일 (월) 20:17 판

행정구역 현황

연성부

옛 지명과 행정구역은 연주부, 연주목 등이었다. 일제 시대에는 경기도청이 위치하였다가 광복과 동시에 경기도 남양군(현재 경기도 남양시)으로 이전하였다.


목단부

중화인민공화국 중경직할시처럼 앙골부를 제외한 다른 부와 비교해서도 면적이 크다. 란승연의 난 당시 란승연이 최후의 거점으로 삼았던 목단성이 위치해있다.


능강부

대한민국의 세종특별자치시와 비슷한 행정구역이다. 옛 지명과 행정구역은 능강현, 능강군, 능주군, 능주목, 능강시 등이었다.


앙골부

다른 부와 같이 도시가 아닌 도와 같이 여러 시군이 설치된 행정구역이다.[1] 부 소재지는 앙주시(昻州市)이다. 제2 청사는 여주시(麗州市)[2][3]에 위치한다. 사실상 출장소 역할을 한다.


경기도

대한민국과 마찬가지로 수도 주변 지역이라고 하여 경기도라고 작명되었다. 도 소재지는 남양시(南陽市)이다.[4]


영평도

영평시(榮平市)와 평성시(平城市)의 앞 글자를 따서 작명한 행정구역이다.[5] 도 소재지는 평성시에 위치한다.


성란도

나성군(羅城市)의 뒷 글자와 란주시(丹州市)의 앞 글자를 따서 작명한 행정구역이다.[6][7] 도 소재지는 란주시에 위치한다.


하성도

하주시(夏州市)와 성주시(星州市)의 앞 글자를 따서 작명한 행정구역이다. 도 소재지는 성주시에 위치한다.[8]


각주

  1. 일본의 오사카 부, 교토 부와 비슷하다.
  2. 시 승격 이전에는 여천군(麗川郡)이었다가 여주시로 승격하고 잔여지역이 주변 지역으로 편입되어 여천군은 폐지되었고 서천군(西川郡)이 신설되었다가 일부 지역이 여주시에 편입되었다.
  3. 최근에는 여도의 시군을 여주시로 통합해야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4. 일제 시대에는 도청이 연성부에 위치하였다가 광복과 동시에 이전하였다.
  5. 이름만 보면 영평시를 따라서 작명한 것으로 잘못알기도 한다.
  6. 유일하게 유래가 된 지명의 뒷 글자를 사용하였다.
  7. 나성군과 란주시는 라란국에서 유래된 지명이다.
  8. 과거에 하주시에 위치했다가 이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