켈른 대칸국: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3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나라 정보
{{나라 정보
|나라이름=켈른대칸국
|나라이름=켈른대칸국
|현지이름=켈른대칸국
|현지이름=켈른 연방
|다른표기=Great Khanate Of KelLon
|다른표기=Great Khanate Of KelLon
|대표이미지=
|대표이미지=
7번째 줄: 7번째 줄:
|국기_그림= 켈른국기1.png
|국기_그림= 켈른국기1.png
|문장_그림= 켈른국장1.jpeg
|문장_그림= 켈른국장1.jpeg
|문장_이름= 제온족 켈른 국장
|문장_이름= 콜르닉 켈른 국장
|지도_그림=  
|지도_그림= 켈른지도1.png
|지도_그림_설명=
|지도_그림_설명=
|나라_표어= 백성을 풍요롭게 하다
|나라_표어= 사람이 먼저다
|나라_표어_설명=
|나라_표어_설명=
|국가= 켈른인에게 장애물은 없다.
|국가=  
|국가_듣기=  
|국가_듣기=  
|지도=  
|지도=  
|너비=
|너비=
|수도= [[카르퀼러스]]
|수도= [[카르퀼러스]]
|수도위치= 중앙아시아
|수도위치= 남아시아
|최대도시= [[카르퀼러스]]
|최대도시= [[카르퀼러스]]
|공용어= 우즈베크어,카자흐어,키르기스어,타지크어,투르크멘어,러시아어,위구르어
|공용어= 힌두어, 벵갈어
|국민어= 우즈베크어,카자흐어,키르기스어,타지크어,투르크멘어,러시아어,위구르어
|국민어= 힌두어, 벵갈어, 영어, 몽골어
|지역어= 우즈베크어,카자흐어,키르기스어,타지크어,투르크멘어,러시아어,위구르어
|지역어= 힌두어, 벵갈어, 영어, 몽골어
|정부형태= 전제군주국
|정부형태= 전제군주국
|지도자_칭호= [[켈른의 군주|킨(칸)]]
|지도자_칭호= [[켈른의 군주|칸(킨)]]
|지도자_이름= [[요한]]
|지도자_이름= [[요한]]
|지도자_칭호1= [[리무르의 수상|수상]]
|지도자_칭호1= [[켈른의 총리|총리]]
|지도자_이름1= [[미정]]
|지도자_이름1= [[미정]]
|지도자_칭호2= [[리무르의 여왕|쿠툰(황후)]]
|지도자_칭호2= [[켈른의 여왕|쿠툰(황후)]]
|지도자_이름2= [[헬란테]]
|지도자_이름2= [[   ]]
|지도자_칭호3=  
|지도자_칭호3=  
|지도자_이름3=  
|지도자_이름3=  
|EU 가입일=
|EU 가입일=
|면적= 1,564,116km²
|면적= 126,500km²
|면적_순위=
|면적_순위=
|내수면_비율=
|내수면_비율=
|시간대= GMT
|시간대= GMT
|UTC_시차= +7
|UTC_시차= +5:30
|일광절약시간=
|일광절약시간=
|인구어림년도=2019
|인구어림년도=2019
|어림인구수= 72,000,000명
|어림인구수= 540,000명
|인구_순위=
|인구_순위=
|인구조사년도=2019
|인구조사년도=2019
|조사인구수=72,530,970
|조사인구수=548,467
|인구밀도= 25.4명/㎢
|인구밀도= 4.3명/㎢
|인구밀도_순위=
|인구밀도_순위=
|GDP_PPP_년도=
|GDP_PPP_년도=
82번째 줄: 82번째 줄:
==자연==
==자연==
=== 기후 ===
=== 기후 ===
지역이 차이가 있지만 대체로 건조하고 연교차가 극단적으로 크며 겨울이 추운데, 서북쪽으로 갈수록 연교차가 커지고 남쪽으로 갈수록 건조해진다.  
고온다습한 열대 몬순성 기후로 연중 기온이 16℃-33℃, 습도는 70%~80%이며, 사계절의 구분이 없고, 서리는 고산지대에서만 볼 수 있다.
켈른 서부 간순은 1월(-32.1℃)과 7월(18.9℃) 평균 기온의 차이가 51℃에 이르며
강수량은 몬순에 지배되며, 지역에 따라 강우량과 시기가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동부 카케르 1월(-20.5℃)과 7월(19.8℃) 기온 차이가 40℃에 달한다.


=== 지리 ===
=== 지리 ===
켈른은 중앙아시아 (외몽골+내몽골)지점에 있으며 바다가 멀고 넓은 평원이 많다.
켈른은 콜르닉 섬으로 불리며, 콜르닉은 고대켈른어로 "바다 너머 낙원" 이라는 뜻이다.
옛날부터 사람들이 말을 많이 탈 수 밖에 없어서차는 도시에서만 많이 타기에 자연환경이 좋은편이다
섬은 적도에 가까워 연중 기온이 높고 강우량이 많다. 하계의 계절풍은 남서지방에, 동계의 계절풍은 북동부에 비를 몰아온다. 특히 하계에는 강우량이 많아 남서부의 산악지대에는 연간 3,000~4, 000㎜에 달하는 지역이 있다.
또한 금이 많이 매장 되 있는 곳이기도 한다.


==민족==
==민족==
켈른에는 다양한 민족들이 살고 있다.
켈른에는 다양한 민족이 살고 있다.


== 문화 ==
== 문화 ==
=== 의 문화 ===
=== 의 문화 ===
켈른의 의문화는 일반 전통복으로 되어있습니다.켈른의 기후상 외출을 할땐 겨울에는 전통복 안에 모피를 겹쳐놓고 박음질 하여 자주입습니다
열도 근처 국가에서 많이 입는 사롱, 인도/네팔/스리랑카/방글라데시 등의
보통 남자는 녹색의 푸른색 , 여자는 자색의 황색을 입습니다.
남아시아 지역의 여성이 즐겨입는 사리를 입는다.
 
불교도 문화가 있어 가사를 입기도 한다.
=== 식 문화 ===
=== 식 문화 ===
켈른의 식문화는 양고기,말고기등 육류를 주식으로 하는 요리가 많으며 , 우유를 활용한 음식도 많다.
켈른의 식문화는 주로 쌀 농사가 많이 이루어져 쌀(안남미)을 주식으로 하며,
남부쪽은 과일이 자라 과일을 으깨서 얼려먹는 '신훼르' 이란 간식도 즐겨 먹는다.
소고기를 잘 먹지 않는다. 음식은 일반적으로 매운 편이며, 튀긴 음식이 많다.
국내에 손님이 왔을때 모여서 잔치를 여는 풍습이 있다.
코코넛을 잘 활용하고 향신료를 많이 사용한다.


=== 주 문화 ===
=== 주 문화 ===
켈른에는 고층빌딩이 많지 않다. 보통 '케르한' 이라는 게르에서 산다.
켈른에는 아파트 등의 고층빌딩이 많지 않고, 주로 판잣집이나
이는 유목민족 전통을 얼마나 잘 이어오고 있는지 잘 보여주고 있다.
목재로 이루어져있는 집에서 거주한다.
열대기후로 인해 수상가옥도 쉽게 볼 수 있다.


== 정치 ==
== 정치 ==
군주제이지만 행정이 구성 되어있다.
군주제이지만 내각이 구성되어 있다


내무부
켈르한 - 국가의 모든 운영을 담당, 최고존엄
국방부
ㄴ칸보좌위원회 - 칸의 보좌와 칸의 일정을 담당하는 기관
외교부
ㄴ내각장관부처 - 국가의 정치와 입법을 담당하는 기관
법무부
ㄴ집정관령  - 국가의 중요한 사안을 최종적으로 결정하는 기관
문화부
ㄴ상원의회 - 의회 발의 사항을 결정하는 귀족 의회
정보부
ㄴ하원의회 - 의회 발의 사항을 결정하는 평민 의회
환경부
정보통신부
국토부
고용노동부
관광부


일종의 귀족제도 있지만 권력이나 정치에는 관련이 없다.


== 가문 ==
사무관부 - 헌법에 위배되는 일을 심판하는 최고 기관
켈른대칸국 황족의 가문은 '제온' 이다.
ㄴ대법위원회 - 헌법에 위배되는 일을 심판하는 기관
초대칸인 허여르 칭기즈칸(신곤)은 보르지긴 보돈차르{시조} 의 후손이며 , 보르지긴 테무진(칭기즈칸) 의 후손이다.
ㄴ검찰 - 헌법에 의거하여 공무집행을 맡는 기관
(또한 황실 가계도를 보면 보르지긴 테무르의 아들 보르지긴 테이슈 그리고 테이슈의 아들이 고려의 이북에서 정착해 사는걸로
이어진다.)


명칭은 제온 이지만 한국어로 하면 ' 몽골 송씨 ' 다.
국방부 - 칸국을 지키는 모든 군무를 맡는 최고 기관
ㄴ합동참무본부 - 국방부의 산하기관으로, 군무를 맡는 기관
ㄴ국방지원청 - 국방부를 지원하며 군무의 업무/물자적 지원을 맡는 기관
ㄴ육본/해본/공본 - 각 부대의 본부기관
 
일종의 귀족제도 있지만 권력이나 정치에는 관련이 없다.


== 종교 ==
== 종교 ==
=== 신목교 ===
=== 신목교 ===
신목교는 몽골의 기독교에서 넘어온것으로 추정된다.
신목교는 무굴의 기독교에서 넘어온것으로 추정된다.


신목교는 자연을 신성시 여기며 절대 필요하지 않은 살생을 하지 않는 종교이다.
신목교는 자연을 신성시 여기며 절대 필요하지 않은 살생을 하지 않는 종교이다.
141번째 줄: 137번째 줄:
이외 네팔의 종교와 비슷한 여신을 뽑는 종교행사도 종종 보인다.
이외 네팔의 종교와 비슷한 여신을 뽑는 종교행사도 종종 보인다.


=== 켈른정교회 ===
=== 힌두교 ===
러시아 정교회와 비슷하지만 새해와 사마리아인의 날 , 모세 미디안의 날 등이 있다.
인도에서 건너온 힌두교도들이 전파하여 종교로 자리잡게 되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힌두교를 신앙한다.
 
=== 애니미즘(정령신앙) ===
콜르닉 섬의 토속신앙으로서,
 
물, 불, 땅, 바람을 신앙하며 평화를 추구하는 토속신앙이다.
 


-교회명절-
-교회명절-
151번째 줄: 155번째 줄:


=== 언어 ===
=== 언어 ===
== 힌두어 ==
켈른의 약 45%가 구사한다.
== 벵갈어 ==
켈른의 약 53%가 구사한다.
== 몽골어 ==
== 몽골어 ==
켈른의 약 45%가 사용중이다.
켈른의 약 2%가 구사한다.
== 러시아 ==
 
켈른의 약 55%가 사용중이다.
[[분류:설정]]

2025년 1월 29일 (수) 07:43 기준 최신판

켈른 연방
Great Khanate Of KelLon
켈른국기1.png 켈른국장1.jpeg
국기 콜르닉 켈른 국장
표어사람이 먼저다
켈른지도1.png
수도카르퀼러스 남아시아
최대 도시카르퀼러스
정치
칸(킨)요한
총리
쿠툰(황후)
미정
[[ ]]
 
지리
면적126,500km²
시간대GMT (UTC+5:30)
인문
공용어힌두어, 벵갈어
국민어힌두어, 벵갈어, 영어, 몽골어
지역어힌두어, 벵갈어, 영어, 몽골어
인구
2019년 어림540,000명
2019년 조사548,467명
인구 밀도4.3명/㎢
경제
 • 전체$1조4000억
 • 일인당$12,137
통화켈르크 (Ķ£)
기타
도메인KL

켈른 대칸국

켈른 대칸국은 전제군주제 국가이다.

역사

외교

헌법

자연

기후

고온다습한 열대 몬순성 기후로 연중 기온이 16℃-33℃, 습도는 70%~80%이며, 사계절의 구분이 없고, 서리는 고산지대에서만 볼 수 있다. 강수량은 몬순에 지배되며, 지역에 따라 강우량과 시기가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지리

켈른은 콜르닉 섬으로 불리며, 콜르닉은 고대켈른어로 "바다 너머 낙원" 이라는 뜻이다. 섬은 적도에 가까워 연중 기온이 높고 강우량이 많다. 하계의 계절풍은 남서지방에, 동계의 계절풍은 북동부에 비를 몰아온다. 특히 하계에는 강우량이 많아 남서부의 산악지대에는 연간 3,000~4, 000㎜에 달하는 지역이 있다.

민족

켈른에는 다양한 민족이 살고 있다.

문화

의 문화

열도 근처 국가에서 많이 입는 사롱, 인도/네팔/스리랑카/방글라데시 등의 남아시아 지역의 여성이 즐겨입는 사리를 입는다. 불교도 문화가 있어 가사를 입기도 한다.

식 문화

켈른의 식문화는 주로 쌀 농사가 많이 이루어져 쌀(안남미)을 주식으로 하며, 소고기를 잘 먹지 않는다. 음식은 일반적으로 매운 편이며, 튀긴 음식이 많다. 코코넛을 잘 활용하고 향신료를 많이 사용한다.

주 문화

켈른에는 아파트 등의 고층빌딩이 많지 않고, 주로 판잣집이나 목재로 이루어져있는 집에서 거주한다. 열대기후로 인해 수상가옥도 쉽게 볼 수 있다.

정치

군주제이지만 내각이 구성되어 있다

켈르한 - 국가의 모든 운영을 담당, 최고존엄 ㄴ칸보좌위원회 - 칸의 보좌와 칸의 일정을 담당하는 기관 ㄴ내각장관부처 - 국가의 정치와 입법을 담당하는 기관 ㄴ집정관령 - 국가의 중요한 사안을 최종적으로 결정하는 기관 ㄴ상원의회 - 의회 발의 사항을 결정하는 귀족 의회 ㄴ하원의회 - 의회 발의 사항을 결정하는 평민 의회


사무관부 - 헌법에 위배되는 일을 심판하는 최고 기관 ㄴ대법위원회 - 헌법에 위배되는 일을 심판하는 기관 ㄴ검찰 - 헌법에 의거하여 공무집행을 맡는 기관

국방부 - 칸국을 지키는 모든 군무를 맡는 최고 기관 ㄴ합동참무본부 - 국방부의 산하기관으로, 군무를 맡는 기관 ㄴ국방지원청 - 국방부를 지원하며 군무의 업무/물자적 지원을 맡는 기관 ㄴ육본/해본/공본 - 각 부대의 본부기관

일종의 귀족제도 있지만 권력이나 정치에는 관련이 없다.

종교

신목교

신목교는 무굴의 기독교에서 넘어온것으로 추정된다.

신목교는 자연을 신성시 여기며 절대 필요하지 않은 살생을 하지 않는 종교이다.

이외 네팔의 종교와 비슷한 여신을 뽑는 종교행사도 종종 보인다.

힌두교

인도에서 건너온 힌두교도들이 전파하여 종교로 자리잡게 되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힌두교를 신앙한다.

애니미즘(정령신앙)

콜르닉 섬의 토속신앙으로서,

물, 불, 땅, 바람을 신앙하며 평화를 추구하는 토속신앙이다.


-교회명절- 1월25일 새해 7월4일 선한 사마리아인 날 8월19일 모세ㆍ미디안의 날 12월24일 성탄절(크리스마스)

언어

힌두어

켈른의 약 45%가 구사한다.

벵갈어

켈른의 약 53%가 구사한다.

몽골어

켈른의 약 2%가 구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