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티: 두 판 사이의 차이

125번째 줄: 125번째 줄:
==== 중립 ====
==== 중립 ====
{{정당박스|'''국가 개발 전선'''|#ff0000|#fff}}<br/><br/>
{{정당박스|'''국가 개발 전선'''|#ff0000|#fff}}<br/><br/>
</big>'''고신'''</big> <small>국가 가발 전선 당원</small></br>
<big>'''고신'''</big> <small>국가 가발 전선 당원</small></br>
치코브파를 국가 개발 전선에 가입시킨 인물, 양측과 이어져 있어 중립을 지켰다.
치코브파를 국가 개발 전선에 가입시킨 인물, 양측과 이어져 있어 중립을 지켰다.



2025년 2월 1일 (토) 23:03 판

SGF 제1~6대 국가 원수
에스티
Эсти Евгений
Sgf Logo2.0.png
재임기간
제1-2대 국가 원수
2020년 6월 18일 ~ 2023년 6월 10일
재임기간
제3대 국가 원수
2023년 6월 10일 ~ 2024년 7월 2일
재임기간
제4대 국가 원수
2024년 7월 2일 ~ 2024년 11월 29일
재임기간
제5대 국가 원수
2024년 11월 29일 ~ 2025년 1월 16일
재임기간
제6대 국가 원수
2025년 1월 16일 ~ 2025년 1월 28일
[ 펼치기 · 접기 ]
병역
러시아 제국 육군
소속 정당
국가 개발 전선
약칭
S

개요

에스티(ㅔ스티)SGF 자유국의 건국자이자 정치인이다.

약력

  • SGF 국가 원수
  • 페넨 베르데 외무성 지도자
  • 국가 개발 전선 총서기
  • 폴애성 연방 입법 지도자
  • 소비에트 공산당 부서기
  • 러시아 제국군 육군 이등병
  • 아일랜드 내무부 장관
  • 시스라이타니아 총리
  • SGF 국방군 지도자
  • 페넨설라 베르데 당서기
  • 하노이국 대통령

정치사

2020.6.18, SGF 자유국 1대 국가 원수
2022.6.18, SGF 자유국 2대 국가 원수
2023.6.10, SGF 자유국 3대 국가 원수
2023.6.10, 공산당 당서기
2024.7.2, SGF 자유국 4대 국가 원수
2024.11.29, SGF 자유국 5대 국가 원수
2025.1.17, SGF 자유국 6대 국가 원수
2025.1.17, 국가개발전선 당서기
2025.1.18, 페넨설라 베르데 당서기
2025.1.18, 초스쿠 연방 입법 지도자
2025.1.18, SGF 자유국 2대 국방군 원수
2025.1.19, 러시아 제국 육군 입대
2025.1.21, 페넨설라 베르데 외무 지도자
2025.1.26, 아일랜드 내무부 장관
2025.1.27,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시스라이타니아 총리
2025.1.28, 하노이국 1대 대통령
2025.1.28, 긴급 체포, SGF 자유국 권한 대행 페넨 베르데, 국가 개발 전선 권한 대행 박찬대, 하노이 권한 대행 탐험트 지목
2025.1.30, 벨기에 브뤼셀 지역구 국회의원 당선
2025.1.31,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비례대표 지역구 국회의원 당선

1.28 사태

2025년 1월 18일 3시 경 긴급 체포 당했다. 이에 따라 SGF 자유국과 국가 개발 전선에는 큰 혼란이 발생했다. 영구히 돌아오지 못할 것이라는 추측이 대세이나, 7일간 임시 징역을 받은 것이다. 이에 따라 에스티 예브게니 국가 원수는 SGF 자유국의 에스티 예브게니 행정부 권한 대행으로 페넨 베르데를, 국가 개발 전선 당서기로는 박찬대를, 하노이 대통령 권한 대행으로는 탐험트를 지목했다. 그러나 그사실은 여러 축에 의해 철저히 은폐되었으며, 그에 따라 1.28 사태의 진실은 아직까지 SGF 자유국에 알려지지 않았다. 2.4일에 석방될 예정이라 한다.

경과

  • 1.27, 국가 개발 전선에서 치코리타 당원이 정동영 당원 사퇴를 선동했다. 이에 따라 대응으로 당 지휘부는 선동을 제지하였으나, 정동영 당원이 자진 사퇴했다. 이후 정동영 당원이 당에 제가입 했고, 치코리타 당원은 다시 정동영 당원 사퇴를 선동했고, 이에 대응으로 당 지휘부는 치코리타 당원 사퇴 당내 투표를 개방했고, 이에 따라 당내 분쟁이 이어지다, 치코브파 당원들이 집단 사퇴하는 사태가 발생했다. 이 분쟁은 하노이 국에서의 국가 개발 전선 당내 보수파와 치코브파의 분쟁으로 이어져 치코브파가 세천당을 창당하며, 치코리타는 하노이 대선에 출마하고, 국가 개발 전선 터ㅣ출을 공약으로 내걸었다. 이에 따라 본격적인 분쟁이 시작되었다.
  • 1.28, 하노이국 대선에서 치코리타가 선거 유세 중 분노해 욕설을 퍼붓는 사건이 발생했고, 이를 하인리히가 경찰청에 신고해 치코리타 세천당 대통령 후보자가 체포되었고, 이에 따라 대통령 후보자 권한이 박탈되었다. 그렇게 순조롭게 흘러가는 것으로 보였으나, 에스티 예브게니 국가 개발 전선 대통령 후보가 이 사실을 퍼트린 것을 명예 훼손이라고 치코리타 후보가 고발하여 에스티 예브게니 대통령 후보자가 체포되면서 큰 혼란이 발생했다. 여러 국가에서 고위직을 겸직중이었던 에스티 예브게니가 체포당하면서, 페넨 베르데와 하노이, SGF에서 혼란이 발생한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에스티 예브게니는 권한 대행을 지목하였으나, 댄공에게 알렸으나, 댄공은 SGF 자유국에 알리지 않았고, 추가 통신을 시도했으나 모두 거절했다. 지금은 모두 단절된 상태이다. SGF 자유국 국내에서는 무기 징역 형을 선고받았을 거라는 추측으로 혼란이 더욱 심각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천천히 붕괴되고 있다. 이 상황은 국가 개발 전선도 마찬가지이다. 1차 항소를 제출했다.
  • 1.29, 7시 경 에스티 예브게니가 석방되었으며 이곳에서 만날 수 있다는 거짓 선동이 있었으나 국민들의 불신과 공권력에 의해 3시간 만인 10시에 진압되었다.
  • 1.30, 1차 항소가 기각되었다. 2차 항소를 제출했다.
  • 1.31, 2차 항소가 기각되었다.
  • 2.1, 오전에 2차 선동과 3차 선동이 각각 발발했으나 저녁에 모두 진압되었다.

관련 인물

주요 인물은 볼드체

국가 개발 전선 측

국가 개발 전선

에스티 예브게니 국가 개발 전선 당수
1.28 사태의 직접적인 피해자 중 한 명, 이 사태로 구속당했다.

정동영 국가 개발 전선 당원
1.28 사태의 직접적인 피해자 중 한 명, 반당 세력이라는 모함을 받았다.

탐험트 국가 개발 전선 당 지도 위원
처음에는 중립을 지키다 국가 개발 전선 측에 가세했다.

하노이 공화국

레인 하노이 공화국 정부 수반
처음에는 중립을 지키다 국가 개발 전선 측에 가세했다.

하인리히 하노이 공화국 국민
치코리타를 신고한 인물, 이전에는 밝혀지지 않았으나, 주요 인물임이 밝혀졌다.

페넨 베르데

페넨 베르데 페넨 베르데 제국 황제
1.28 사태의 간접적인 피해자, 에스티 예브게니 장관이 체포당하면서 여러 정책이 연기되었다.

중립

국가 개발 전선

고신 국가 가발 전선 당원
치코브파를 국가 개발 전선에 가입시킨 인물, 양측과 이어져 있어 중립을 지켰다.

치코브파 측

세천당

브케인 세천당 딩수
국가 개발 전선 1.27 탈당을 주도한 인물 중 하나, 사태 당일 저녁부터는 중립적으로 넘어갔다가 8시경 하노이 공화국으로부터 탈출하듯 출국했다.

치코리타 세천당 전 대통령 후보
1.28 사태를 일으킨 장본인이다. 1.28 오후 3시 경 체포당했다.

리아코 세전당 당원
치코리타를 지지하다, 6시경 탈출하듯 출국했다.

코사 측

코사 공화국
댄공 코사 공화국 국가 지도자
이 사건을 은폐하고 에스티 예브게니를 모함했다. 그러나 이 사태에 대해 잘 알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당

소속 기간 비고
무소속 2020.6.18~2023.6.10
공산당 2023.6.10~2025.1.17 여당
국가 개발 전선 2025.1.17~ 여당

국제 정당

국가 개발 전선을 창당한 이후 세계 여러 나라에 국가 개발 전선을 창당했다. 대표적인 국가 개발 전선은 다음과 같다.

  • 아틀란티스 국가 개발 전선
  • 러시아 제국 국가 개발 전선
  • 폴애성 연방 국가 개발 전선
  • 이탈리아 제국 국가 개발 전선
  • 몬테네그로 국가 개발 전선
  • 페넨설라 베르데 국가 개발 전선
  • 영국령 인도 국가 개발 전선
  • 프잔티움 국가 개발 전선
  • 대한민국 국가 개발 전선
  • 하노이 국가 개발 전선
  • 엘 프레지덴테 국가 개발 전선
  • 아일랜드 국가 개발 전선
  • 벨기에 국가 개발 전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