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두 판 사이의 차이

13번째 줄: 13번째 줄:


==네트워크 이론의 기본 개념==
==네트워크 이론의 기본 개념==
[[파일:위키스 상세 내용 로고.svg|20px]] {{글씨 크기 (px)|12|자세한 내용은 [[네트워크 이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일반적인 종류의 연결망을 분석하는 응용수학과 물리학 분야에서 다루는 이론인 [[네트워크 이론]]의 기본 개념이다. 그래프 이론의 그래프가 현실의 시스템에서 나타난 것 혹은 임의의 시스템을 그래프에 mapping 시킨 것으로도 볼 수 있다. 그래프와 마찬가지로 인접행렬을 활용하여 표현이 가능하다. [[복잡계]]를 연구하는 과정에서 발전한 개념이며 기존의 [[카오스 이론]]과는 달리 시스템의 구조를 우선적으로 분석하고자 하는 방법론이다.
일반적인 종류의 연결망을 분석하는 응용수학과 물리학 분야에서 다루는 이론인 [[네트워크 이론]]의 기본 개념이다. 그래프 이론의 그래프가 현실의 시스템에서 나타난 것 혹은 임의의 시스템을 그래프에 mapping 시킨 것으로도 볼 수 있다. 그래프와 마찬가지로 인접행렬을 활용하여 표현이 가능하다. [[복잡계]]를 연구하는 과정에서 발전한 개념이며 기존의 [[카오스 이론]]과는 달리 시스템의 구조를 우선적으로 분석하고자 하는 방법론이다.



2025년 2월 3일 (월) 12:13 판

개요

Network

어원은 그물을 뜻하는 net과 work의 합성어. 그물을 짜는 행위를 가리키는 명사에서 임의의 연결망을 지칭하는 용어로 그 범위가 확장된 단어이다.

통신망

통신망. 주로 컴퓨터 용어로 쓰이며, 여러 개체가 연결되어 정보를 주고 받는 경로 정도의 의미다. 5번 문단이 좀 더 일반적인 개념이나, 현실에서는 주로 2번 문단의 의미로 쓰일 것이다.

네트워크 이론의 기본 개념

위키스 상세 내용 로고.svg 자세한 내용은 네트워크 이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일반적인 종류의 연결망을 분석하는 응용수학과 물리학 분야에서 다루는 이론인 네트워크 이론의 기본 개념이다. 그래프 이론의 그래프가 현실의 시스템에서 나타난 것 혹은 임의의 시스템을 그래프에 mapping 시킨 것으로도 볼 수 있다. 그래프와 마찬가지로 인접행렬을 활용하여 표현이 가능하다. 복잡계를 연구하는 과정에서 발전한 개념이며 기존의 카오스 이론과는 달리 시스템의 구조를 우선적으로 분석하고자 하는 방법론이다.

노드와 링크로 구성된 모든 종류의 시스템은 이 네트워크 개념을 활용해 표현, 분석할 수 있다. 예) 도로 네트워크, 철도 네트워크, 전염 네트워크, 신경망 네트워크 등.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다단계 판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