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문서: 20px {{글씨 크기 (px)|12|이름이 같은 다른 문서에 대한 내용은 해달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 class="wikitable" style="border:2px solid #FF6600; max-width:450px; width:100%; float:right; text-align:1.05em" ! colspan="3" style="background:#FF6600 ; color:#fff" | {{글씨 크기|14|해달}}<br>海獺 | Sea otter |- | colspan="3" | <div style="margin:-5px -9px">[[파일:해달.webp|9900px]...) |
편집 요약 없음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33번째 줄: | 33번째 줄: | ||
|- | |- | ||
! colspan="2" style="background:#FFCC66 ; color:#000" | 종 | ! colspan="2" style="background:#FFCC66 ; color:#000" | 종 | ||
| '''해달 E. lutris^^''' | | '''해달^^E. lutris^^''' | ||
|} | |} | ||
39번째 줄: | 39번째 줄: | ||
==개요== | ==개요== | ||
'''[[수달]]의 한 종'''이자 최대종.<ref>좁은 의미인 수달이자, 유라시아수달은 [[유라시아수달|국내 서식하는 유일한 수달 종]]을 뜻할 수도 있지만, 특히 국제적으로는 수달아과 전체를 뜻하는 통칭이기도 하다. '''[[http://www.akoc.org/worldOtter.html|한국수달보호협회]]'''에서 다른 수달아과의 하위종들을 확인할 수 있다.</ref> | |||
해달은 모피의 질이 좋아 남획 끝에 멸종 직전까지 가기도 했었다. 이때 겪었던 경험으로 [[옐로스톤 국립공원]]의 [[늑대]], 북아메리카의 [[비버]]와 함께 핵심종(Keystone Species)<ref>생태계에 끼치는 영향이 유별나게 큰 종. 문제가 생기면 해당 지역의 생태계가 절단난다.[[https://www.youtube.com/watch?v=LorDOOwQnzM|#]]</ref>의 대표적인 사례로 언급되는 생물이다. | |||
==특징== | ==특징== | ||
==생태== | ==생태== | ||
==각주== | |||
{{각주}} | |||
[[분류:해달속]] | [[분류:해달속]] |
2025년 2월 5일 (수) 18:42 기준 최신판
이름이 같은 다른 문서에 대한 내용은 해달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해달 海獺 | Sea otter | ||
---|---|---|
학명 | Enhydra lutris (Linnaeus, 1758) | |
분류 | ||
계 | 동물계Animalia | |
문 | 척삭동물문Chordata | |
강 | 포유강Mammalia | |
목 | 식육목Carnivora | |
과 | 족제비과Mustelidae | |
아과 | 수달아과Lutrinae | |
속 | 해달속Enhydra | |
종 | 해달E. lutris |
개요
해달은 모피의 질이 좋아 남획 끝에 멸종 직전까지 가기도 했었다. 이때 겪었던 경험으로 옐로스톤 국립공원의 늑대, 북아메리카의 비버와 함께 핵심종(Keystone Species)[2]의 대표적인 사례로 언급되는 생물이다.
특징
생태
각주
- ↑ 좁은 의미인 수달이자, 유라시아수달은 국내 서식하는 유일한 수달 종을 뜻할 수도 있지만, 특히 국제적으로는 수달아과 전체를 뜻하는 통칭이기도 하다. 한국수달보호협회에서 다른 수달아과의 하위종들을 확인할 수 있다.
- ↑ 생태계에 끼치는 영향이 유별나게 큰 종. 문제가 생기면 해당 지역의 생태계가 절단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