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1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카카오톡 가상국가]]인 대한제국을 다루는 공식문서입니다. 문서편집,반달을 금지합니다.'''||
| | #넘겨주기 : [[대한제국]] |
| | |
| {{국가 정보 양식2
| |
| | 틀 너비 = 620px
| |
| | 글씨 크기 = 10.5pt
| |
| | 테두리 크기 = 2px
| |
| | 테두리 색 = #003355
| |
| | 틀 끝색 = #003355
| |
| | 틀 중간색 = #003355
| |
| | 틀 글씨색 = #fff
| |
| | 국가 명칭 = '''대한 제국'''
| |
| | 기타 명칭 = Empire of Korea , Korean Empire
| |
| | 국기 = 이응준 태극기.png
| |
| | 국기 크기 = 300px
| |
| | 국장 = 대한제국 이화문.png
| |
| | 국장 크기 = 300px
| |
| | 범례색 = #003355| 범례 글씨색 = #fff
| |
| | |
| | 표어 배경색 = #f5f5f5
| |
| | 표어 글씨색 = #234794
| |
| | 표어 = '''光明天地'''
| |
| | 원어표어 글씨색 = #234794
| |
| | 원어표어 = '''"광명천지" '''
| |
| | |
| | 국가 = '''대한제국 애국가'''
| |
| | 민요 = '''아리랑'''
| |
| | 국화 = '''오얏꽃'''
| |
| | 국수 = '''소나무'''
| |
| | 국조 = '''까치'''
| |
| | |
| | 역사 = '''대한제국 칭제건원''' 1897년 10월 12일(광무 원년)<br> '''1910년 한일강제합병(庚戌國恥)''' 1910년(경술년) 8월 29일<br> '''광복(光復)''' 1945년 8월 15일<br> '''대한제2제국 출범''' 1948년 8월 15일<br>
| |
| | |
| | 수도 = [[한성부(카카오톡 대한제국)|한성부]]
| |
| | 최대도시 = 한성부(漢城府)
| |
| | 면적 = 223,892km²
| |
| | 내수면 비율 = 0.3%
| |
| | 접경국 = 중공,중화민국,소련
| |
| | 인접국 = 중화민국,소련,중공,일
| |
| | |
| | 행정구역 명칭1 = 한성부
| |
| | 행정구역1 = 1개 시 8개 구
| |
| | 행정구역 명칭2 = 평양부
| |
| | 행정구역2 = 1개 시 19개 구
| |
| | 행정구역 명칭3 = 인천부
| |
| | 행정구역3 = 1개 시 8개 구
| |
| | 행정구역 명칭4 = 동래부
| |
| | 행정구역4 = 1개 시 15개 구
| |
| | 행정구역 명칭5 = 의주부
| |
| | 행정구역5 = 1개 시 2개 구
| |
| | 행정구역 명칭6 = 개성부
| |
| | 행정구역6 = 1개 시 2개 구
| |
| | |
| | |
| | 인구 = 2,726만 1,747명
| |
| | 인종 구성 = 한민족
| |
| | 공용어 = 한국어
| |
| | 모국어 = 한국어
| |
| | 국민어 = 한국어
| |
| | 공용 문자 = 한글,한문
| |
| | 국교 = 없음(정교분리)
| |
| | 종교 분포 = 그리스도교 31% (개신교 20%, 가톨릭 11%), 불교 17%, 대종교 5% 기타 1%,
| |
| 무종교 45%
| |
| | 자국군 = [[대한제국군]]
| |
| | |
| | 정치체제 = 내견적 입헌군주제,단원제,의원내각제
| |
| | 국가원수 명칭 = 대한제국 황제
| |
| | 국가원수 = [[이우]]
| |
| | 국가요인 명칭1 = 대한제국 황태자
| |
| | 국가요인1 =
| |
| | 국가요인 명칭2 = 내각총리대신
| |
| | 국가요인2 = [[앤쏘니-이든|앤서니 이든]]
| |
| | 국가요인 명칭3 = 내각부총리대신
| |
| | 국가요인3 = [[진이수]]
| |
| | 국가요인 명칭4 = 궁내부 부장
| |
| | 국가요인4 =
| |
| | 국가요인 명칭5 = 제국국회 의장
| |
| | 국가요인5 =
| |
| | 국가요인 명칭6 = 운영부 운영자
| |
| | 국가요인6 =
| |
| | 국가요인 명칭7 = 운영부 부운영자
| |
| | 국가요인7 = [[박정희]]
| |
| | 국가요인 명칭8 = 운영부 임원
| |
| | 국가요인8 =
| |
| | 여당 = {{정당박스|'''대한건국위원회'''|#234794|#fff}}
| |
| | 연립여당 =
| |
| | |
| | 경제체제 = 부분적 자본주의
| |
| | 전체 GDP = $39억 8,824만 6,109
| |
| | 1인당 GDP = $146
| |
| | 전체 GDP(PPP) =
| |
| | 1인당 GDP(PPP)=
| |
| | 국부 =
| |
| | 수출 = $8,680만 2,000
| |
| | 수입 = $5억 6,027만 3,000
| |
| | 외환보유액 = X
| |
| | 신용등급 = X
| |
| | 화폐 = 대한제국 원(圜)
| |
| | |
| | 단위 = X
| |
| | |
| | 가입기관여부 = 無
| |
| | 가입기관 = X
| |
| | 수교국 = ~ 건국 이후 개방 조치
| |
| | |
| | 링크 주소 = https://open.kakao.com/o/gEe0Kr8g
| |
| | 링크 설명 = 대한제국 공식 채팅
| |
| | 문양 =
| |
| | 문양 크기 =
| |
| | |
| | ID-1 = 1
| |
| | ID-2 = 2
| |
| | ID-3 = 3
| |
| | ID-4 = 4
| |
| | ID-5 = 5
| |
| | ID-6 = 6
| |
| | ID-7 = 7
| |
| | ID-8 = 8
| |
| }}
| |
| | |
| | |
| {{문단정리}}
| |
| | |
| {| class="wikitable" style="float:right; max-width:400px; border:5px solid #003050; text-align:center;"
| |
| |-
| |
| | <div style="margin:-6px -10.5px;">[[파일:대한제국 홍보물.png|350px|link=]]</div>
| |
| |-
| |
| |}
| |
| | |
| {{문단정리}}
| |
| | |
| = 개요 =
| |
| | |
| 대조선국의 대군주인 고종이 건양 2년(1897년) 칭제건원하여 황제를 선포하고 국호를 대조선국에서 대한제국으로 변경하였다.
| |
| 1910년 원역사대로 한일합병되었고, 이후 1948년, 황정이 복고되면서, 1969년까지 내려오고 있다.
| |
| | |
| = 상징 =
| |
| == 국호 ==
| |
| {{명언1|上曰: 我邦乃三韓之地, 而國初受命, 統合爲一。 今定有天下之號曰‘大韓’, 未爲不可。 且每嘗見各國文字, 不曰‘朝鮮’, 而曰韓者, 抑有符驗於前, 而有竢於今日, 無待聲明於天下, 而天下皆知大韓之號矣。
| |
| | |
| 상이 이르기를 우리나라는 곧 삼한(三韓)의 땅인데, 국초(國初)에 천명을 받고 한 나라로 통합되었다. 지금 국호를 ‘대한(大韓)’이라고 정한다고 해서 안 될 것이 없다. 또한 매번 각 나라의 문자를 보면 조선이라고 하지 않고 한(韓)이라 하였다. 이는 아마 미리 징표를 보이고 오늘이 있기를 기다린 것이니, 세상에 공표하지 않아도 세상이 모두 다 ‘대한’이라는 칭호를 알고 있을 것이다.| - [[ 고종실록 ]]}}
| |
| | |
| 공식 국호는 대한제국(大韓帝國), 혹은 대한국(大韓國)이며, 대한은 삼한을 일컫는 다른 말로써, 한반도 전역을 의미한다.
| |
| | |
| == 국가(國歌) ==
| |
| | |
| {{음악 관련 정보 양식
| |
| | 틀 끝색 = #003355
| |
| | 틀 중간색 = #003355
| |
| | 테두리색 = #003355
| |
| | 글씨색 = #fff
| |
| | 음악명 = 대한제국 애국가
| |
| | 원어명 = 大韓帝國 愛國歌
| |
| | 음악 상징 배경색 = #003355
| |
| | 음악 커버 = 대한제국 애국가 악보.png
| |
| | 음악 커버 크기 = 100%
| |
| | 틀색 = #003355
| |
| | 글씨색 = #fff
| |
| | 발매일 = 1902년 9월 9일
| |
| | 장르 = 국가(國歌)
| |
| | 러닝타임 = 4:00
| |
| | BPM = 170
| |
| | 가수 로고 =
| |
| }}
| |
| | |
| 상제는 우리 황제를 도우사
| |
| 성수무강하사
| |
| 해옥주를 산같이 쌓으시고
| |
| 위권이 환영에 떨치사
| |
| 오! 천만세에 복록이
| |
| 일신케 하소서
| |
| 상제는 우리 황제를 도우소서
| |
| | |
| 상제는 우리 황제를 도우소서
| |
| 성수무강하사
| |
| 해옥주를 산같이 쌓으소서
| |
| 위권이 환영에 떨치사
| |
| 오! 천만세에 무궁케 하소서
| |
| 상제는 우리 황제를 도우소서
| |
| | |
| 상제여 우리나라를 도우소서
| |
| 반만년의 역사 배달민족
| |
| 영원한 번영
| |
| 해와 달이 무궁토록
| |
| 성지동방의 문명과 원류
| |
| 상제여 우리나라를 도우소서
| |
| | |
| 상제는 우리나라를 도우소서
| |
| 영원무궁토록
| |
| 나라 태평하고 인민은 안락하야
| |
| 위권이 세상에 떨쳐
| |
| 독립자유부강을
| |
| 일신케 하소서
| |
| 상제는 우리나라를 도우소서
| |
| | |
| {{문단정리}}
| |
| | |
| == 국기 ==
| |
| | |
| {| class="wikitable" style="border:2px solid #003355; max-width:400px; width:100%;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font-size:1.05em"
| |
| ! colspan="2" style="background:#003355; color:#FFF" | {{글씨 크기|15|대한제국 국기}}<br>大韓帝國 國旗
| |
| |-
| |
| | colspan="2" | <div style="margin:-5px -9px">[[파일:이응준 태극기.png|500px]]</div>
| |
| |-
| |
| ! style="width:28%; background:#003355; color:#FFF" | 지위
| |
| | 대한제국 공식 국기
| |
| |-
| |
| ! style="background:#003355; color:#FFF" | 채택
| |
| | 1883년 3월 6일(음력 1월 27일)
| |
| |-
| |
| ! style="background:#003355; color:#FFF" | 설계자
| |
| | [[이응준]]
| |
| |-
| |
| ! style="background:#003355; color:#FFF" | 용도
| |
| | 국기(國旗),상선기(商船旗)외 다수
| |
| |}
| |
| | |
| 태극기는 대한제국의 국기다. 흰색 배경 중앙에 파란색과 빨간색의 태극을, 네 귀퉁이에는 팔괘 중 상하가 대칭되는 사괘인 건(乾, ☰), 곤(坤, ☷), 감(坎, ☵), 리(離, ☲)를 그렸다. 이는 음양화합을 상징한다.
| |
| | |
| 1882년(고종 19년) 조미수호통상조약에서 최초로 사용되었으며, 1883년 3월 6일(음력 1월 27일) 조선의 정식 국기로 제안되어 고종에 의해 공포되었다.
| |
| | |
| ==국장==
| |
| | |
| {| class="wikitable" style="border:2px solid #003355; max-width:400px; width:100%;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font-size:1.05em"
| |
| ! colspan="2" style="background:#003355; color:#FFF" | {{글씨 크기|15|대한제국 국장}}<br>大韓帝國 國章
| |
| |-
| |
| | colspan="2" | <div style="margin:-5px -9px">[[파일:대한제국 이화문.png|500px]]</div>
| |
| |-
| |
| ! style="width:28%; background:#003355; color:#FFF" | 지위
| |
| | 대한제국 공식 국장
| |
| |-
| |
| ! style="background:#003355; color:#FFF" | 채택
| |
| | 19세기 말
| |
| |-
| |
| ! style="background:#003355; color:#FFF" | 설계자
| |
| | 대한제국 황실
| |
| |-
| |
| ! style="background:#003355; color:#FFF" | 용도
| |
| | 국장(國章),전주이씨 가문장(家門章)
| |
| |}
| |
| | |
| 대한제국의 국장. 또한 조선 왕실, 대한제국 황실의 가문인 전주 이씨를 상징하는 문양으로, 이화을 도안화한 문장이다. 자두의 순우리말인 '오얏'을 써서 '오얏꽃 문장'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 |
| | |
| ==대한제국 헌법==
| |
| 자세한 내용은 [[대한제국 헌법]]을 참고하십시오.
| |
| | |
| ==국새==
| |
| | |
| {| class="wikitable" style="border:2px solid #003355; max-width:400px; width:100%;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font-size:1.05em"
| |
| ! colspan="2" style="background:#003355; color:#FFF" | {{글씨 크기|15|국새 황세지보}}<br>國璽 皇帝之寶
| |
| |-
| |
| | colspan="2" | <div style="margin:-5px -9px">[[파일:국새 황세지보.png|500px]]</div>
| |
| |-
| |
| ! style="width:28%; background:#003355; color:#FFF" | 지위
| |
| | 황제 명의의 옥새
| |
| |-
| |
| ! style="background:#003355; color:#FFF" | 채택
| |
| | 1897년 제작
| |
| |-
| |
| ! style="background:#003355; color:#FFF" | 설계자
| |
| | 궁내부(宮內府)
| |
| |-
| |
| ! style="background:#003355; color:#FFF" | 용도
| |
| | 국새(國璽)
| |
| |}
| |
| | |
| 대한제국에서 외교문서에만 사용되고 있는 대한국새 다음가는 권위를 가진, 황제 명의의 옥새다. 황제가 직접 관료를 임명할 때 내려주는 임명장과, 훈장서훈 사유를 적은 훈기(勳記)에 찍는 인장이다.
| |
| | |
| =외교=
| |
| | |
| =군대=
| |
| | |
| =황사=
| |
| | |
| =정치=
| |
| ==정치==
| |
| ===정당===
| |
| ==행정==
| |
| | |
| {| class="wikitable" style="float:right; max-width:400px; border:5px solid #003050; text-align:center;"
| |
| |-
| |
| | <div style="margin:-6px -10.5px;">[[파일:대한제국 행정기관.png|2000px|link=]]</div>
| |
| |-
| |
| |}
| |
| | |
| {{문단정리}}
| |
| | |
| =경제=
| |
| =교육=
| |
| | |
| {| class="wikitable" style="float:right; max-width:400px; border:5px solid #003050; text-align:center;"
| |
| |-
| |
| | <div style="margin:-6px -10.5px;">[[파일:대한제국 대학.png|2000px|link=]]</div>
| |
| |-
| |
| |}
| |
| | |
| {{문단정리}}
| |
| | |
| ==신민교육헌장==
| |
| 자세한 내용은 [[신민교육헌장]]을 참고하십시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