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1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8번째 줄: | 8번째 줄: | ||
| 대표사진 = | | 대표사진 = | ||
| 이전투표 날짜 = 2024년 1월 16일 | | 이전투표 날짜 = 2024년 1월 16일 | ||
| 이전투표 = 대영제국 제27대 | | 이전투표 = [[대영제국 제27대 총선]] | ||
| 투표 날짜 = 2024년 2월 | | 투표 날짜 = 2024년 2월 2일 | ||
| 투표명 = 대영제국 제 28대 총선거 | | 투표명 = 대영제국 제 28대 총선거 | ||
| 다음투표 날짜 = 2024년 3월 | | 다음투표 날짜 = 2024년 3월 2일 | ||
| 다음투표 = 대영제국 제29대 총선거 | | 다음투표 = 대영제국 제29대 총선거 | ||
| 투표율 = 0(명) | | 투표율 = 0(명) | ||
17번째 줄: | 17번째 줄: | ||
| 정당1 = {{영국 보수당}} | | 정당1 = {{영국 보수당}} | ||
| 상징색1 = DC241F | | 상징색1 = DC241F | ||
| 비율1 = {{글씨 색|#000| | | 비율1 = {{글씨 색|#000|100%}} | ||
| 지역구1 = {{글씨 색|#000| | | 지역구1 = {{글씨 색|#000|7}} | ||
| 정당2 = {{영국 노동당}} | | 정당2 = {{영국 노동당}} | ||
| 상징색2 = FAA61A | | 상징색2 = FAA61A | ||
| 비율2 = {{글씨 색|#000|0%}} | | 비율2 = {{글씨 색|#000|0%}} | ||
| 지역구2 = {{글씨 색|#000|0}} | | 지역구2 = {{글씨 색|#000|0}} | ||
| 정당3 = | | 정당3 = | ||
| 상징색3 = | | 상징색3 = | ||
| 비율3 = | | 비율3 = | ||
| 지역구3 = | | 지역구3 = | ||
| 정당4 = | | 정당4 = | ||
| 상징색4 = | | 상징색4 = | ||
| 비율4 = | | 비율4 = | ||
| 지역구4 = | | 지역구4 = | ||
| 정당5 = | | 정당5 = | ||
| 상징색5 = | | 상징색5 = | ||
66번째 줄: | 66번째 줄: | ||
||<tablealign=left><tablebordercolor=#003399><tablebgcolor=#fff,#003399><rowbgcolor=#003399> '''{{{#fff 기호}}}''' || {{{#fff 이름}}}''' || '''{{{#fff 정당}}}''' || | ||<tablealign=left><tablebordercolor=#003399><tablebgcolor=#fff,#003399><rowbgcolor=#003399> '''{{{#fff 기호}}}''' || {{{#fff 이름}}}''' || '''{{{#fff 정당}}}''' || | ||
|| 1 || 메이지 || {{영국 보수당}} || | || 1 || 메이지 || {{영국 보수당}} || | ||
=== 에든버러 === | === 에든버러 === | ||
75번째 줄: | 74번째 줄: | ||
||<tablealign=left><tablebordercolor=#003399><tablebgcolor=#fff,#003399><rowbgcolor=#003399> '''{{{#fff 기호}}}''' || {{{#fff 이름}}}''' || '''{{{#fff 정당}}}''' || | ||<tablealign=left><tablebordercolor=#003399><tablebgcolor=#fff,#003399><rowbgcolor=#003399> '''{{{#fff 기호}}}''' || {{{#fff 이름}}}''' || '''{{{#fff 정당}}}''' || | ||
|| 1 || [[홀베크]] || {{영국 보수당}} || | || 1 || [[홀베크]] || {{영국 보수당}} || | ||
|| 2 || 김정션 || {{영국 노동당}} || | |||
=== 카디프 === | === 카디프 === | ||
||<tablealign=left><tablebordercolor=#003399><tablebgcolor=#fff,#003399><rowbgcolor=#003399> '''{{{#fff 기호}}}''' || {{{#fff 이름}}}''' || '''{{{#fff 정당}}}''' || | ||<tablealign=left><tablebordercolor=#003399><tablebgcolor=#fff,#003399><rowbgcolor=#003399> '''{{{#fff 기호}}}''' || {{{#fff 이름}}}''' || '''{{{#fff 정당}}}''' || | ||
|| 1 || [[옵녹]] || {{영국 보수당}} || | || 1 || [[옵녹]] || {{영국 보수당}} || | ||
|| 2 || [[이현식]] || {{영국 노동당}} || | || 2 || [[이현식(대영제국)|이현식]] || {{영국 노동당}} || | ||
=== 더블린 === | === 더블린 === | ||
87번째 줄: | 87번째 줄: | ||
== 선거 전 상황 == | == 선거 전 상황 == | ||
=== [[영국 보수당]] === | === [[영국 보수당]] === | ||
전당대회에서 [[개빈]]과 [[이지은]]의 승부 중 이지은이 승리하며, 다시금 정당을 바로잡고있다. | |||
공천을 기존 당대표 직권으로 하던 방식에서, 당내 경선을 통해 후보자를 선출하는 것으로 공천 방식을 변경하였다. | |||
최근 여론조사에서 노동당과 자유민주당을 크게 앞서고있다. | |||
=== [[영국 노동당]] === | === [[영국 노동당]] === | ||
혁신위원회 출범과 홍보를 통해 당원이 일부 늘어났다. | |||
전당대회에서 이현식이 거북을 누르고 승리하였다. | |||
=== [[영국 자유민주당]] === | === [[영국 자유민주당]] === | ||
[[세르히 카르야킨]]이 당대표로 당선되었다. | |||
=여론조사= | == 여론조사 == | ||
||<tablealign=left><tablebordercolor=#003399><tablebgcolor=#fff,#003399><rowbgcolor=#003399> '''{{{#fff 기호}}}''' || {{{#fff 정당}}}''' || '''{{{#fff 지지도}}}''' || | |||
|| 1 || {{영국 보수당}} || 45.45% || | |||
|| 2 || {{영국 노동당}} || 9.09% || | |||
|| 3 || {{영국 자유민주당}} || 3.03% || | |||
|| 4 || {{무소속}} || 42.42% || | |||
{{인용문|2024년 1월 30일 정당 지지도 여론조사|알쓸가잡 여론조사}} | |||
보수당이 노동당과 자유민주당을 크게 앞서고 있으나, 그에 준할 정도로 무당층이 많음을 알 수 있는 조사이다. | |||
=결과= | =결과= |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3399><tablebgcolor=#fff,#003399><rowbgcolor=#003399> '''{{{#fff 이름}}}''' || '''{{{#fff 정당}}}''' || '''{{{#fff 득표수 (득표율%)}}}''' || '''{{{#fff 지역구}}}''' ||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3399><tablebgcolor=#fff,#003399><rowbgcolor=#003399> '''{{{#fff 이름}}}''' || '''{{{#fff 정당}}}''' || '''{{{#fff 득표수 (득표율%)}}}''' || '''{{{#fff 지역구}}}''' || | ||
|| | || [[모리슨]] || {{영국 보수당}} || 12 (63.2%) || 런던 || | ||
|| | || [[이지은]] || {{영국 보수당}} || 무투표 당선 (100%) || 맨체스터 || | ||
|| | || 메이지 || {{영국 보수당}} || 무투표 당선 (100%) || 요크 || | ||
|| | || [[개빈 윌리엄슨]] || {{영국 보수당}} || 무투표 당선 (100%) || 에든버러 || | ||
|| | || [[홀베크]] || {{영국 보수당}} || 14 (73.7%) || 글래스고 || | ||
|| | || [[옵녹]] || {{영국 보수당}} || 10 (52.6%) || 카디프 || | ||
|| | || [[요들]] || {{영국 보수당}} || 무투표 당선 (100%) || 더블린 || | ||
=여담= | |||
* 포츠머스 조약이 파기되어 민주적이고, 국민 모두가 1인 1표를 행사하는 평등 선거가 자리잡았다. |
2025년 2월 13일 (목) 10:23 기준 최신판
대영제국 제28대 총선거 | ||||||||||||||||||||||||||||||||||||||||
2024년 1월 16일 대영제국 제27대 총선 |
→ | 2024년 2월 2일 대영제국 제 28대 총선거 |
→ | 2024년 3월 2일 대영제국 제29대 총선거 | ||||||||||||||||||||||||||||||||||||
투표율 | 0(명) | |||||||||||||||||||||||||||||||||||||||
선거 결과 | ||||||||||||||||||||||||||||||||||||||||
7석, 석 (100%) | ||||||||||||||||||||||||||||||||||||||||
0석, 석 (0%) |
개요
2024년 2월 3일에 치뤄진 대영제국의 제28대 총선거.
후보 목록
런던
기호 | 이름 | 정당 |
1 | 모리슨 | 영국 보수당 |
2 | 아서 벨푸어 | 영국 노동당 |
맨체스터
기호 | 이름 | 정당 |
1 | 이지은 | 영국 보수당 |
요크
기호 | 이름 | 정당 |
1 | 메이지 | 영국 보수당 |
에든버러
기호 | 이름 | 정당 |
1 | 개빈 윌리엄슨 | 영국 보수당 |
글래스고
기호 | 이름 | 정당 |
1 | 홀베크 | 영국 보수당 |
2 | 김정션 | 영국 노동당 |
카디프
기호 | 이름 | 정당 |
1 | 옵녹 | 영국 보수당 |
2 | 이현식 | 영국 노동당 |
더블린
기호 | 이름 | 정당 |
1 | 요들 | 영국 보수당 |
선거 전 상황
영국 보수당
전당대회에서 개빈과 이지은의 승부 중 이지은이 승리하며, 다시금 정당을 바로잡고있다.
공천을 기존 당대표 직권으로 하던 방식에서, 당내 경선을 통해 후보자를 선출하는 것으로 공천 방식을 변경하였다. 최근 여론조사에서 노동당과 자유민주당을 크게 앞서고있다.
영국 노동당
혁신위원회 출범과 홍보를 통해 당원이 일부 늘어났다.
전당대회에서 이현식이 거북을 누르고 승리하였다.
영국 자유민주당
세르히 카르야킨이 당대표로 당선되었다.
여론조사
기호 | 정당 | 지지도 |
1 | 영국 보수당 | 45.45% |
2 | 영국 노동당 | 9.09% |
3 | 자유민주당 | 3.03% |
4 | 42.42% |
2024년 1월 30일 정당 지지도 여론조사 — 알쓸가잡 여론조사
보수당이 노동당과 자유민주당을 크게 앞서고 있으나, 그에 준할 정도로 무당층이 많음을 알 수 있는 조사이다.
결과
이름 |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지역구 |
모리슨 | 영국 보수당 | 12 (63.2%) | 런던 |
이지은 | 영국 보수당 | 무투표 당선 (100%) | 맨체스터 |
메이지 | 영국 보수당 | 무투표 당선 (100%) | 요크 |
개빈 윌리엄슨 | 영국 보수당 | 무투표 당선 (100%) | 에든버러 |
홀베크 | 영국 보수당 | 14 (73.7%) | 글래스고 |
옵녹 | 영국 보수당 | 10 (52.6%) | 카디프 |
요들 | 영국 보수당 | 무투표 당선 (100%) | 더블린 |
여담
- 포츠머스 조약이 파기되어 민주적이고, 국민 모두가 1인 1표를 행사하는 평등 선거가 자리잡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