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간스크 인민 공화국: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4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onlyinclude>{{알림 상자
⚖️가국 활동 중단⚖️
|색 = #000000
아무나 선착순으로 문서 편집하세요.선착순 1명이 저작권을 묵시적으로 이양받습니다
|배경색=#FFFFFF
|테두리색=#000000
|제목색=#0A0A0A
|제목= 문서는 [[루간스크 인민 공화국]]의 공식 문서입니다.
|본문= 이 문서는 루간스크 인민 공화국의 공식 설정으로, 무단 편집시 반달 행위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단순 맞춤법 교정이라도 꼭 관계자에게 물어봐 주십시오.
|왼쪽 그림 = COA LPR oct 2014.svg
|왼쪽 그림 크기 = 500픽셀
}}
||<table align=right><table width=400><bgcolor=#B40404><-4><:>{{{#white {{{+1 '''루간스크 인민공화국'''}}}[br]{{{+1 '''Луганская народная республика'''}}}[br]{{{+1 '''People's Republic of Lugansk'''}}}}}}||
||<:><-4>[[파일:Nouveau drapeau Lougansk.svg|width=200]] ||
||<-4><:><#B40404>'''{{{#white 국기}}}''' ||
||<:><-4>[[파일:COA LPR oct 2014.svg|width=200]] ||
||<-4><:><#B40404>'''{{{#white 국장}}}''' ||
||||<width=35%><bgcolor=#B40404><:>{{{#white '''국호'''}}}||<-2><width=65%> 루간스크 인민공화국 ||
||<bgcolor=#B40404><|4><:>{{{#white '''상징'''}}}||<width=25%><bgcolor=#B40404><:>{{{#white '''국가'''}}}||<-2> 전진하고 또 전진 ||
||<bgcolor=#B40404><:>{{{#white '''국화'''}}}||<-2> 해바라기 ||
||<bgcolor=#B40404><:>{{{#white '''국조'''}}}||<-2> 참수리 ||
||<bgcolor=#B40404><:>{{{#white '''표어'''}}}||<-2> 민중이여 가자! ||
||<bgcolor=#B40404><|2><:>{{{#white '''자연환경'''}}}||<bgcolor=#B40404><:>{{{#white '''면적(영토)'''}}}||<-2> 26,684km² ||
||<bgcolor=#B40404><:>{{{#white '''영토'''}}}||<-2> [[파일:Luhansk in Ukraine.svg]] ||
||<bgcolor=#B40404><|3><:>{{{#white '''인문환경'''}}}||<bgcolor=#B40404><:>{{{#white '''인구'''}}}||<-2> 1,221,000 명 ||
||<bgcolor=#B40404><:>{{{#white '''인구밀도'''}}}||<-2> 98 명/km2 ||
||<bgcolor=#B40404><:>{{{#white '''공용 언어'''}}}||<-2> 러시아어 ||
||<bgcolor=#B40404><|4><:>{{{#white '''정치'''}}}||<bgcolor=#B40404><:>{{{#white '''국체'''}}}||<-2> 공산주의 ||
||<bgcolor=#B40404><:>{{{#white '''정부형태'''}}}||<-2> 공화제(과두정),일당제,단일국가 ||
||<bgcolor=#B40404><:>{{{#white '''중앙위원회 상임위원장'''}}}||<-2> 카르나도 트크느 ||
||<bgcolor=#B40404><:>{{{#white '''국가주석'''}}}||<-2> 미상 ||
||<bgcolor=#B40404><|5><:>{{{#white '''경제'''}}}||<bgcolor=#B40404><:>{{{#white '''GDP'''}}}||<-2> $522 billion ||
||<bgcolor=#B40404><:>{{{#white '''1인당 GDP'''}}}||<-2> $미상 ||
||<bgcolor=#B40404><:>{{{#white '''GDP(PPP)'''}}}||<-2> $522 billion ||
||<bgcolor=#B40404><:>{{{#white '''1인당 GDP(PPP)'''}}}||<-2> $미상 ||
||<bgcolor=#B40404><:>{{{#white '''공식 화폐'''}}}||<-2> 파피어 마르크 ||
||<-4><#B40404> {{{#FFFFFF '''단위'''}}} ||
||<-2><#B40404> {{{#FFFFFF '''법정연호'''}}} ||<-2> 서력기원 ||
Copyrightⓒ카르나도 트크느 All rights reserved.
[📠공지사항:전자정부는 현재 제작중 입니다.📠]
==개요==
2020년 루간스크 인민 공화국을 모티브로 한 가상국가 이다.
==역사==
2014년 루한스크 반란 와중에, 2014년 4월 27일 우크라이나 친러 시위대 수백명이 루한스크 중심가에 모여 '루간스크 인민 공화국 주권 선언서'를 채택ㆍ발표하면서 독립을 선포한 공화국이다.[1] 그 전신(前身)인 루간스크 의회 공화국의 수립운동은 4월 초 실패로 끝났던 바 있다.


우크라이나 과도정부 당국의 경찰 정보에 의하면, 5월 10일(주민투표 하루 전)에 우크라이나군은 루한스크주 영역의 50%의 통제권을 장악하고 있다.[2] 역으로 말하면, 루간스크 인민 공화국이 루한스크 주 영역의 절반을 통제하고 있는 상태이다.
저요
 
서쪽의 도네츠크 인민 공화국과 함께 5월 11일에 분리독립 관련 찬반 투표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81%의 유권자가 참여, 잠정집계 결과 96.2%가 찬성하였다. 12일, 도네츠크와 함께 우크라이나로부터의 독립을 공식 선포하였다.[3] 또한 루간스크 당국자는 러시아 연방의 일부가 되거나, 한편으로 도네츠크와 연합하여 노보로시야를 형성하려는 희망을 밝혔다.[4] 동년 5월 24일에 도네츠크 인민 공화국과 함께 노보로시야 연방국이라는 국가 연합을 결성했다.(국가연합 그 자체는 국가가 아니다.)
 
5월 28일, 분리주의 지도자 발레리 볼로토프는 러시아 연방법을 기본으로 한 자체적 법률 체계의 도입을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올리가르히들이 쓴" 우크라이나의 법률은 부적절하기 때문이라고 한다.[5] 인민공화국 총리 바실리 니키틴은 루간스크 공화국 최고회의 총선거를 9월에 실시할 것이라고 언명(言明)했다.[6]
 
2014년 9월 현재 이 공화국은 미승인국인 남오세티야만이 승인하고 있다. 우크라이나 당국은 루간스크 인민 공화국을 "테러 조직"으로 정의(定義)하고 있다.[7] 루한스크 이북 지역은 우크라이나어 사용자가 많은 곳으로, 우크라이나 당국과 지역 자경대가 장악하고 있다.[8] 7월 우크라이나군의 반격으로 루한스크주 영역의 거의 대부분을 잃고 주역의 절반 이하를 장악하고 있으나, 우크라이나 당국은 주 인구의 64.4%(150만여 명)가 루간스크 인민 공화국의 통제 하에 있는 것으로 파악한다. 그것은 반군이 루한스크, 알체우스크, 크라스노돈 등 도시가 집중되고 인구가 밀집한 주의 남부 지역에서 지지를 얻고 있기 때문이다.
2020년 다시 총공격을 해서 다시 땅을 되찾았다.
결국 우크라이나는 독립을 인정하고 모든 전투 중 이던 군을 철수 시켰다.
==정치==
루칸스크 공산당 중앙위원회 상임위원장이 사실상 최고권력자이다.중앙위원회는 최고권력통치기구 이며
위원(10명),위원장(1명),상임위원장(1명)으로 구성된다.
상임위원장은 중앙위원회 위원들이 선출한다.
국가주석은 국가원수 역할을 한다.(국가주석은 명예직 이고 상징적 지위)
==경제==

2025년 3월 9일 (일) 18:16 기준 최신판

⚖️가국 활동 중단⚖️ 아무나 선착순으로 본 문서 편집하세요.선착순 1명이 저작권을 묵시적으로 이양받습니다

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