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2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1번째 줄: |
1번째 줄: |
| {{틀:이냥}}
| | #넘겨주기 [[이지은]] |
| | |
| ||<width=100><#000000><-999> {{{+2 {{{#ffffff '''가상국가 대영제국'''}}}}}} ||
| |
| ||<table align=right><table width=400><-999> [[파일:냥뇽녕냥1.jpg]]||
| |
| ||<width=100><#000139><-999> {{{+2 {{{#FFFFFF '''𝐋𝐞𝐞𝐍𝐲𝐚𝐧𝐠'''}}}}}} ||
| |
| ||<-3><#000139> {{{#ffffff '''이름'''}}} || '''이냥''' [br] {{{-1 ''𝗟𝗲𝗲𝗡𝘆𝗮𝗻𝗴''}}} ||
| |
| ||<-3><#000139> {{{#ffffff '''출생년도'''}}} || '''2022 / 07 / 22''' [br] {{{-1 ''18세''}}} ||
| |
| ||<-3><#000139> {{{#ffffff '''신체'''}}} || 163cm / 48kg ||
| |
| ||<-3><#000139> {{{#ffffff '''직업'''}}} || x ||
| |
| ||<-3><#000139> {{{#ffffff '''정당'''}}} || 무소속 ||
| |
| ||<-3><#000139> {{{#ffffff '''경력'''}}} || '''전 대영제국 총리'''
| |
| '''전 대영제국 고등법원장'''
| |
| '''전 대영제국 하원의장'''
| |
| 전 대영제국 하원의원
| |
| 전 대영제국 헌법재판소장
| |
| 전 대영제국 법무부 장관
| |
| 전 대영제국 재무부 장관
| |
| 전 대영제국 사회부 장관
| |
| 전 대영제국 내무부 장관
| |
| 전 대영제국 외무부 장관
| |
| ||
| |
| ||<bgcolor=#000139><|3><:>{{{#white '''기타 정보'''}}}||<width=25%><bgcolor=#000139><:>{{{#white '''경제적 직위'''}}}||<-2> (구) 상류층 ||
| |
| ||<bgcolor=#000139><:>{{{#white '''서명'''}}}||<-2> [[파일:이냥싸인.png]] ||
| |
| ||<bgcolor=#000139><:>{{{#white '''서훈'''}}}||<-2> 대영제국 훈장
| |
| 테티스 욱일대수자 훈장 ||
| |
| ||<-3><#000139> {{{#ffffff '''의원 선수'''}}} || 5 (서민원) ||
| |
| ||<-3><#000139> {{{#ffffff '''의원 대수'''}}} || 17, 20, 22, 23, 25 ||
| |
| | |
| | |
| [[분류:대영제국]] | |
| | |
| 시작 전, 해당 문서는 PC에서 가장 편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 |
| | |
| 문서의 오류와 질의 등에 대하여, 무허가 수정이 아닌 [[https://open.kakao.com/me/LeeNyang|이냥 오픈프로필]]로 질의 혹은 오류 제보 부탁드립니다.
| |
| | |
| == 개요 ==
| |
| 영국의 62대 총리이자 20, 22대 고등법원장을 역임한 인물
| |
| | |
| == 생애 ==
| |
| 자세한 내용은 [[이냥/생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
| | |
| ===총리 재임 시절===
| |
| 자세한 내용은 [[이냥 내각]]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
| | |
| ====최단임 여성 총리가 되다====
| |
| [[파일:이냥총리 사임.mp4]]
| |
| | |
| 2023년 4월 13일, 취임 4일만에 불명예스러운 일로 총리직에서 사퇴를 선언하면서 영국 역사상 최단 기간 재임한 여성 총리가 되었다. 이로써 영국은 공교롭게도 최장수 재임을 바라보는 [[어니스트 1세|국왕]]이 처음 임명한 총리가 '''최단기 재임 여성 총리'''가 되는 현상을 보이고 말았다.
| |
| | |
| 이냥 총리는 더이상 버티기 어렵다. 라며 향후 영국 내각들의 계획만을 남겨둔 채로 다우닝가를 떠났다.
| |
| | |
| ==각종 타이틀==
| |
| *[[안철수|윤석열]]과 함께 최초의 부부 총리 [* 이 기록은 [[청설모]]와 가장 먼저 했으나, 공식 기록으론 윤석열]
| |
| *[[안철수|윤석열]]과 함께 최초의 부부 고등법원장 겸 헌법재판소장
| |
| *영국 역사상 최초의 현직 정치인 신분 왕실 보좌관 [* 확실하진 않으나, [[루이스]]의 언급으론 최초라고 하는 듯]
| |
| *영국 역사상 6번째 여성 총리 [* 아이든, 테레사 메이 등 여성 총리가 많았다.]
| |
| *영국 역사상 2번째 여성 고등법원장 [* 최초의 여성 고등법원장은 리즈 트러스]
| |
| *초대 헌법재판소장이자 최초의 여성 헌법재판소장
| |
| *최단임 여성 총리 (4일)
| |
| *최단임 총리 영부인 (5일)
| |
| | |
| ==주변 인물과의 관계==
| |
| [[지미 카터]]: 가장 가까우면서도 가장 먼 친구. 정치적 동료이나, 정치적으로 적이기도 하다. 5월 14일 이후, 공식적으로 결별을 택했다.
| |
| | |
| [[길버트]]: 동료였던 적은 없으나, 개인적으로 매우 존경하는 인물이다. 구설수가 몇 있긴하나, 신경 안쓰는 듯 하다.
| |
| | |
| [[청설모]]: 가장 편한 사람이다. 가장 말 트기도 쉽다. 그리고, 가장 괴롭히기 좋다.
| |
| | |
| [[Gavin Williamson|개빈 윌리엄슨]]: 가끔 적인지 아군인지 구별도 안가지만 그래도 사람 자체는 호감형이다. 정지도 자주 먹이지만 불호라고 보진 않는다.
| |
| | |
| [[스사1]]: 비밀 없이 터놓고 이야기하기 좋다. 정치적으로도, 인간적으로도 호감만 남은 사람.
| |
| | |
| [[테레사 메이(대영제국)|테레사 메이]]: 처음 정계입문부터 사이가 가까웠고 오랫동안 친했으나 2023년 5월에 메이의 비밀정치조직 결성을 폭로하자 두 사람의 사이가 급격하게 악화되어 현재는 대화 조차도 안나눈다.
| |
| | |
| ==여담==
| |
| '''4선 의원'''이다. 물론, 그 유명한 사퇴러쉬로 의원 경력은 짧다. [* 본인 스스로도 잘 알고 있고, 최근에 들어서는 많이 고쳐져 사퇴러쉬를 하지 않는다. ] [* 이 부분이 반 이냥계에겐 가장 큰 타격 거리]
| |
| | |
| 행정부와 입법부, 운영부, 사법부의 최고자리까지 오른 인물로 왕실 경험도 있어 여러 자리에 고루 앉아도 멘탈 문제[* 사퇴 문제와 같이 현재는 많이 고쳐졌다.]를 제외하면 문제 없이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 |
| | |
| ===사임 관련 여담===
| |
| [[파일:양상추총리.jpg|450px]] [[파일:양상추한테짐ㅋ.jpg|390px]]
| |
| {{인용문|사임 선언 당시 한 언론사의 생방송 장면과 다우닝가 앞에서 기뻐하는 영국 시민의 모습}}
| |
| 임기 전부터, 그간 사퇴러쉬를 보여준 그녀가 오래 총리직에 재임할 것이라고 생각한 여론은 드물었다.
| |
| 이에 영국의 BBC와 일부 언론에선 양배추를 언급하며, 유통기한 10일 양배추보다 오래 갈 것인가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
| |
| | |
| 아니나 다를까, 4일만에 사임한 이냥 총리는 양배추 총리로 불리며 온갖 조롱을 당하고 말았다. --양배추보다도 못했다.--
| |
| | |
| == 소속 정당 ==
| |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3399><tablebgcolor=#fff,#003399><rowbgcolor=#003399> '''{{{#fff 소속}}}''' || '''{{{#fff 기간}}}''' || '''{{{#fff 비고}}}''' ||
| |
| || {{정당박스|'''보수민주당'''|#61BFD4|#fff}} || 2022.8 || 정계 입문 ||
| |
| || {{정당박스|'''무소속'''|#9A9A9A|#fff}} || 2022.8 || 탈당 [* 당시 많은 비난을 받았으나, 정작 보수민주당원들은 이후 지미카터의 보수선진연대 사건으로 다수가 탈당을 임했다.] ||
| |
| || {{정당박스|'''진보당'''|#EF426F|#fff}} || 2022.9 || 창당 ||
| |
| || {{정당박스|'''노동당'''|#d2001a|#fff}} || 2022.9 || 합당 ||
| |
| || {{정당박스|'''선진민주당'''|#d2001a|#fff}} || 2022.9 || 합당 ||
| |
| || {{정당박스|'''무소속'''|#9A9A9A|#fff}} || 2022.9 || 휴식기 [* 아이든과 라인코리아 양쪽에서 찢겨가듯이 분쟁이 있어 고래싸움에 새우등 터진 것 마냥, 휴식을 가졌다.] ||
| |
| || {{정당박스|'''영국신당'''|#009900|#fff}} || 2022.10 || 입당 ||
| |
| || {{정당박스|'''사회민주당'''|#00247D|#fff}} || 2022.11 || 당명변경 ||
| |
| || {{정당박스|'''무소속'''|#9A9A9A|#fff}} || 2022.11 || 정당해산 [* 대조선국으로 변경] ||
| |
| || {{정당박스|'''개화저장소'''|#FF0000|#fff}} || 2023.2 || 입당 ||
| |
| || {{정당박스|'''영국 보수당'''|#00AFEF|#fff}} || 2023.4 || 당명변경 ||
| |
| || {{정당박스|'''무소속'''|#9A9A9A|#fff}} || 2023.4 || 출당 [* 62대 총리에서 사퇴] ||
| |
| || {{정당박스|'''영국 보수당'''|#00AFEF|#fff}} || 2023.5 || 복당 ||
| |
| || {{정당박스|'''무소속'''|#9A9A9A|#fff}} || 2023.5 || 탈당[* 노동당 내각 임명] ||
| |
| | |
| == 선거 이력 ==
| |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4ea2><rowbgcolor=#004ea2> {{{#ffffff 연도}}} || {{{#ffffff 선거 종류}}} || {{{#ffffff 소속 정당}}} || {{{#ffffff 득표수 (득표율)}}} || {{{#ffffff 당선 여부}}} || {{{#ffffff 지역구}}} || {{{#ffffff 비고}}} ||
| |
| || 2[br]0[br]2[br]2 || [[영국 17대 총선]] || {{정당박스|'''보수민주당'''|#61BFD4|#fff}} || 19 (55.8%) || '''당선''' || '''벨파스트''' || '''초선''' ||
| |
| || 2[br]0[br]2[br]2 || [[영국 19대 총선]] || {{정당박스|'''영국신당'''|#009900|#fff}} || 14(43.75%) || '''낙선''' || '''런던''' || '''-''' ||
| |
| || 2[br]0[br]2[br]2 || [[영국 20대 총선]] || {{정당박스|'''사회민주당'''|#00247D|#fff}} || 21(47.72%) || '''당선''' || '''카디프''' || '''2선''' ||
| |
| || 2[br]0[br]2[br]2 || [[영국 20대 보궐선거]] || {{정당박스|'''사회민주당'''|#00247D|#fff}} || 13(65%) || '''당선''' || '''리버풀''' || '''-''' ||
| |
| || 2[br]0[br]2[br]3 || [[영국 22대 총선]] || {{정당박스|'''개화저장소'''|#FF0000|#fff}} || 단일후보(100%) || '''당선''' || '''맨체스터''' || '''3선''' ||
| |
| || 2[br]0[br]2[br]3 || [[대영제국 제23대 총선거|영국 23대 총선]] || {{정당박스|'''영국 보수당'''|#00AFEF|#fff}} || 단일후보(100%) || '''당선''' || '''맨체스터''' || '''4선''' ||
| |
| || 2[br]0[br]2[br]3 || [[대영제국 제25대 총선|영국 25대 총선]] || {{정당박스|'''무소속'''|#808080|#fff}} || 20 (64.5%) || '''당선''' || '''요크''' || '''5선'''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