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uis123456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
Louis123456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
||
80번째 줄: | 80번째 줄: | ||
==개요== | ==개요== | ||
고려 말기의 명장이자 '''조선을 건국한 조선왕조의 | 고려 말기의 명장이자 '''조선을 건국한 조선왕조의 창업군주로 조선의 초대 국왕''' | ||
묘호는 태조(太祖), 성은 이(李), 초명은 성계(成桂). 즉위 후 개명한 이름은 단(旦). | 묘호는 태조(太祖), 성은 이(李), 초명은 성계(成桂). 즉위 후 개명한 이름은 단(旦). | ||
귀신같은 활솜씨와 지휘력으로 홍건적과 왜구를 연달아 막아내 최영과 함께 구국의 영웅이 되었다. 고려 말 최대 군벌로서 실력을 갖춘 데다가 신흥무인세력들과 급진 신진사대부들의 협력과 지지를 받으며 정계의 주요 인물로 떠오른다. 위화도 회군으로 권력을 장악하고 정적들을 차례로 숙청했으며 마침내 1392년에 고려를 멸망시키고 조선을 개국했다. | 귀신같은 활솜씨와 지휘력으로 홍건적과 왜구를 연달아 막아내 최영과 함께 구국의 영웅이 되었다. 고려 말 최대 군벌로서 실력을 갖춘 데다가 신흥무인세력들과 급진 신진사대부들의 협력과 지지를 받으며 정계의 주요 인물로 떠오른다. 위화도 회군으로 권력을 장악하고 정적들을 차례로 숙청했으며 마침내 1392년에 고려를 멸망시키고 조선을 개국했다. |
2025년 4월 8일 (화) 16:14 판
![]() 조선 국왕 |
[ 펼치기 · 접기 ] |
조선 초대 국왕 태조ㅣ太祖 | |||||||||||||||||||||
---|---|---|---|---|---|---|---|---|---|---|---|---|---|---|---|---|---|---|---|---|---|
출생 | 1335년 11월 4일 | ||||||||||||||||||||
쌍성총관부 화령 | |||||||||||||||||||||
즉위 | 1392년 8월 13일 (56세) | ||||||||||||||||||||
한성부 경복궁 근정전 | |||||||||||||||||||||
사망 | 1426년 6월 27일 (향년 90세) | ||||||||||||||||||||
한성부 경복궁 장안전 | |||||||||||||||||||||
능묘 | 건원릉 (健元陵) | ||||||||||||||||||||
재위기간 | 조선 국왕 | ||||||||||||||||||||
1392년 8월 13일 ~ 1402년 10월 22일 | |||||||||||||||||||||
조선 상왕 | |||||||||||||||||||||
1402년 10월 22일 ~ 1423년 8월 5일 | |||||||||||||||||||||
조선 태상왕 | |||||||||||||||||||||
1423년 8월 5일 ~ 1426년 6월 27일 | |||||||||||||||||||||
[ 펼치기 · 접기 ]
|
왕은 이르노라. 하늘이 많은 백성을 낳아서 군장(君長)을 세워, 이를 길러 서로 살게 하고, 이를 다스려 서로 편안하게 한다. 그러므로, 군도(君道)가 득실(得失)이 있게 되어, 인심(人心)이 복종과 배반함이 있게 되고, 천명(天命)의 떠나가고 머물러 있음이 매였으니, 이것은 이치의 떳떳함이다. |
태조 전위교서 일부 |
개요
고려 말기의 명장이자 조선을 건국한 조선왕조의 창업군주로 조선의 초대 국왕
묘호는 태조(太祖), 성은 이(李), 초명은 성계(成桂). 즉위 후 개명한 이름은 단(旦).
귀신같은 활솜씨와 지휘력으로 홍건적과 왜구를 연달아 막아내 최영과 함께 구국의 영웅이 되었다. 고려 말 최대 군벌로서 실력을 갖춘 데다가 신흥무인세력들과 급진 신진사대부들의 협력과 지지를 받으며 정계의 주요 인물로 떠오른다. 위화도 회군으로 권력을 장악하고 정적들을 차례로 숙청했으며 마침내 1392년에 고려를 멸망시키고 조선을 개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