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71번째 줄: | 71번째 줄: | ||
| 링크 = | | 링크 = | ||
}} | }} | ||
||<-2><tablealign=right><tablewidth=400><tablebordercolor=#004098><bgcolor=#ffffff>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대한국]]의 광역시 || | |||
||<-2><tablebordercolor=#004098><bgcolor=#fff> [[파일:부산광역시 휘장.svg|25px]] | |||
{{{+2 {{{#000 '''부산광역시'''}}}}}} [br] {{{#000 釜山廣域市 }}} [br] {{{#000 Busan Metropolitan City }}} || | |||
||<-2> [[파일:부산광역시 지도.png]] || | |||
||<-2><width=130><colbgcolor=#004098><colcolor=#fff><bgcolor=#004098> [[부산광역시청|{{{#fff '''시청 소재지'''}}}]] ||<-2> 연제구 중앙대로 1001 || | |||
||<-2><bgcolor=#004098> {{{#fff '''하위 행정구역'''}}} ||<-2> 15구 1군 || | |||
||<-2><bgcolor=#004098> {{{#fff '''면적'''}}} ||<-2> 771.3㎢ || | |||
||<-2><bgcolor=#004098> {{{#fff '''인구'''}}} ||<-2> 3,302,210명 || | |||
||<-2><bgcolor=#004098> {{{#fff '''인구 밀도'''}}} ||<-2> 4,281.36명/㎢ || | |||
||<-2><bgcolor=#004098> {{{#fff '''GDP'''}}} ||<-2> || | |||
||<-2><bgcolor=#004098> {{{#fff '''1인당 GDP'''}}} ||<-2> || | |||
||<-2><bgcolor=#004098> {{{#fff '''[[부산광역시장|시장]]'''}}} ||<width=100> [[새누리당]] || 류호영 {{{-2 (초선)}}} || | |||
||<|2><width=65><bgcolor=#004098> [[부산광역시 부시장|{{{#fff '''부시장'''}}}]] ||<colbgcolor=#E5007F><colcolor=#fff><width=65><bgcolor=#004098> {{{#fff '''행정'''}}} ||<|2><width=100> 무소속 || || | |||
||<bgcolor=#004098> {{{#fff '''경제'''}}} || || | |||
||<|3><-2><bgcolor=#004098> {{{#fff '''시의회'''}}} || [[새누리당]] || 33석 ||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width=100> [[민주진보당]] || 12석 ||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width=100> {{국민공화당}} || 2석 || | |||
||<-2><bgcolor=#004098> {{{#fff '''교육감'''}}} || 보수 || 1 {{{-2 (초선)}}} || | |||
||<|2><-2><bgcolor=#004098> {{{#fff '''국회의원'''}}} || 새누리당 || 16석 ||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width=100> [[민주진보당]] || 16석 || | |||
||<|2><-2><bgcolor=#004098> {{{#fff '''구청장·군수'''}}} || 새누리당 || 13석 ||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width=100> [[민주진보당]] || 3석 || | |||
||<|5><width=65><bgcolor=#004098> {{{#fff '''상징'''}}} ||<width=65><bgcolor=#004098> {{{#fff '''시화'''}}} ||<-2> 동백꽃 || | |||
||<bgcolor=#004098> {{{#fff '''시목'''}}} ||<-2> 동백나무 || | |||
||<bgcolor=#004098> {{{#fff '''시조'''}}} ||<-2> 갈매기 || | |||
||<bgcolor=#004098> {{{#fff '''시어'''}}} ||<-2> 고등어 || | |||
||<bgcolor=#004098> {{{#fff '''시가'''}}} ||<-2> 부산찬가 || | |||
||<-2><bgcolor=#004098> [[지역번호|{{{#fff '''지역번호'''}}}]] ||<-2> '''051''' || | |||
||<-2><bgcolor=#004098> {{{#fff '''[[IATA|{{{#fff IATA}}}]] 도시 코드'''}}} ||<-2> '''PUS''' || | |||
||<-2><bgcolor=#004098> [[ISO 3166-2|{{{#fff '''ISO 3166-2'''}}}]] ||<-2> '''KR-26''' || | |||
||<tablewidth=300><tablebordercolor=#004098> [[파일:부산광역시 위치.svg|width=100%]] || | |||
||<bgcolor=#004098> {{{#FFFFFF '''부산광역시의 위치'''}}} || | |||
[목차] | |||
== 개요 == | |||
'''''웃음이 묻어나는 부산!''''' | |||
대한국 동남쪽에 위치한 광역시. 대한국 제3의 도시로, 북쪽으로는 경상남도 양산시와 울산광역시 울주군, 서쪽으로 경상남도 창원시, 김해시와 접하고 있다. | |||
대한국에서 서울특별시, 평양광역시 다음으로 큰 규모를 자랑하는 제3의 도시이자 평양광역시와 함께 최초의 광역시(직할시)로, 9개의 광역시 중 2번째로 인구가 많은 광역자치단체이기도 하다. 광역자치단체 전체로 범위를 넓히면 경기도, 서울특별시, 평양광역시, 경상남도, 평안남도, 평안북도, 경상북도 다음으로 8번째로 인구가 많은 광역자치단체다. | |||
또한, 수도권, 평양권 다음으로 큰 광역권인 부울경과 부산·울산권의 중추도시이며, 국내 최대 무역항이자 세계 5위권 규모의 환적량을 자랑하는 부산항을 보유하고 있어, 바로 옆에 존재하는 국내 최대 공업도시 중 하나인 울산광역시와 함께 대한민국 수출입 경제에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도시이다. | |||
== 역사 == |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4098><bgcolor=#004098> {{{#fff '''시기'''}}} ||<bgcolor=#004098> {{{#fff '''당시 행정구역'''}}} || | |||
|| 삼국시대(8세기) || 양주 동래군 || | |||
|| 신라(10세기) || 경상도 동래군 || | |||
|| 고려시대 || 경상도 울주군, 양주군 || | |||
|| 조선시대]](16세기) || 경상도 동래도호부 || | |||
|| 1906년 || 경상도 동래부, 기장군, 양산군, 김해군, 웅천군 || | |||
|| 일제강점기 || 경상남도 부산부, 동래군, 김해군, 양산군, |창원군 || | |||
|| 1949년 || 경상남도 부산시, 동래군, 양산군, 김해군,|창원군 || | |||
|| 1963년 || '''부산직할시(釜山直轄市)''' 승격, 경상남도 동래군 || | |||
|| 1973년 || 동래군 폐지 || | |||
|| 1995년 || 부산직할시를 '''부산광역시(釜山廣域市)'''로 개칭, 부산광역시 산하 기장군 설치 || | |||
==각주== | ==각주== |
2025년 4월 20일 (일) 10:17 판
![]() | ||||||
| ||||||
![]() | ||||||
화성군청로 199 | ||||||
경기도 | ||||||
3읍[1]13면[2] | ||||||
135.36km² | ||||||
234,537명 | ||||||
부산광역시 釜山廣域市 Busan Metropolitan City | |||
![]() | |||
시청 소재지 | 연제구 중앙대로 1001 | ||
하위 행정구역 | 15구 1군 | ||
면적 | 771.3㎢ | ||
인구 | 3,302,210명 | ||
인구 밀도 | 4,281.36명/㎢ | ||
GDP | |||
1인당 GDP | |||
시장 | 새누리당 | 류호영 (초선) | |
부시장 | 행정 | 무소속 | |
경제 | |||
시의회 | 새누리당 | 33석 | |
민주진보당 | 12석 | ||
국민공화당 | 2석 | ||
교육감 | 보수 | 1 (초선) | |
국회의원 | 새누리당 | 16석 | |
민주진보당 | 16석 | ||
구청장·군수 | 새누리당 | 13석 | |
민주진보당 | 3석 | ||
상징 | 시화 | 동백꽃 | |
시목 | 동백나무 | ||
시조 | 갈매기 | ||
시어 | 고등어 | ||
시가 | 부산찬가 | ||
지역번호 | 051 | ||
IATA 도시 코드 | PUS | ||
ISO 3166-2 | KR-26 |
부산광역시의 위치 |
개요
웃음이 묻어나는 부산!
대한국 동남쪽에 위치한 광역시. 대한국 제3의 도시로, 북쪽으로는 경상남도 양산시와 울산광역시 울주군, 서쪽으로 경상남도 창원시, 김해시와 접하고 있다.
대한국에서 서울특별시, 평양광역시 다음으로 큰 규모를 자랑하는 제3의 도시이자 평양광역시와 함께 최초의 광역시(직할시)로, 9개의 광역시 중 2번째로 인구가 많은 광역자치단체이기도 하다. 광역자치단체 전체로 범위를 넓히면 경기도, 서울특별시, 평양광역시, 경상남도, 평안남도, 평안북도, 경상북도 다음으로 8번째로 인구가 많은 광역자치단체다.
또한, 수도권, 평양권 다음으로 큰 광역권인 부울경과 부산·울산권의 중추도시이며, 국내 최대 무역항이자 세계 5위권 규모의 환적량을 자랑하는 부산항을 보유하고 있어, 바로 옆에 존재하는 국내 최대 공업도시 중 하나인 울산광역시와 함께 대한민국 수출입 경제에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도시이다.
역사
시기 | 당시 행정구역 |
삼국시대(8세기) | 양주 동래군 |
신라(10세기) | 경상도 동래군 |
고려시대 | 경상도 울주군, 양주군 |
조선시대]](16세기) | 경상도 동래도호부 |
1906년 | 경상도 동래부, 기장군, 양산군, 김해군, 웅천군 |
일제강점기 | 경상남도 부산부, 동래군, 김해군, 양산군, |창원군 |
1949년 | 경상남도 부산시, 동래군, 양산군, 김해군,|창원군 |
1963년 | 부산직할시(釜山直轄市) 승격, 경상남도 동래군 |
1973년 | 동래군 폐지 |
1995년 | 부산직할시를 부산광역시(釜山廣域市)로 개칭, 부산광역시 산하 기장군 설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