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강(의친왕):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class="wikitable" style="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width:100%; text-align:center; color:#000; border:2px solid #1b0e64;"
|-
! colspan="6" style="background:linear-gradient(to right, #0d0730 , #1b0e64 20%, #1b0e64 80%, #0d0730); color:#ffd400;" | [[파일:대한제국 경각부 문장.svg|55px]]<br>'''대한제국 운영위원회 보호 문서'''
|-
|}
|| '''카카오톡 가상국가인 대한제국의 세계관 공식 문서입니다. 문서편집,반달등을 전부 금합니다.'''||
|| '''카카오톡 가상국가인 대한제국의 세계관 공식 문서입니다. 문서편집,반달등을 전부 금합니다.'''||


{{정치인 문서 양식
{{틀:대한제국 황제}}
| 끝색 = #003153
| 틀 중간색 = #003153
| 테두리색 = #003153
| 틀 글씨색 = #f0c234
| 색상 = #003153
| 글씨색 = #f0c234
| 최고직위 = 대한제국 제 3대 황제
| 이름 = <big>이강</big>
| 기타이름 = 李堈ㅣLee Kang
| 대표사진 = 의친왕.jpg
| 대표사진 크기 = 500px
| 출생일 = 1877년 3월 30일
| 출생지 = [[대한제국|한성부 순화방 범숙의궁]]
| 직위1 = 조선국 의화군
| 재임기간1 = 1891년(고종 30년) ~ 1900년(광무 4년)
| 직위2 = 대한제국 의친왕
| 재임기간2 = 1900년(광무 4년) ~ 1948년 8월 15일
| 직위3 = 대한제국 황제
| 재임기간3 = 1948년 8월 15일 ~ 1955년 8월 16일 (휘성 7년)
| 서명 사진 =
| 링크 주소 =
| 링크 설명 =
| 본관 = 전주 이씨
| 본적 = [[대한제국|전라도 전주시]]
| 원적 =
| 부모 = 부황 고종 태황제(이형) , 적모 명성태황후 민씨, 생모 귀인 장씨
| 형제자매 = 4남 1녀중 3남
| 배우자 = 정실 의친왕비
| 자녀 = [[이우]],[[이건]]
| 학력 = 오하이오 웨슬리언 대학교
| 병역 = 대한제국 육군 부장 전역
| 약칭 = 황제 폐하
| 연호 = 강명(强明)
| 자 = 사강(士岡)
| 왕작 = 의친왕(義親王)
| 기타2 명칭 = 호
| 기타2 = 만오(晩悟)
| 기타3 명칭 =
| 기타3 =
| 기타4 명칭 =
| 기타4 =
| 기타5 명칭 =
| 기타5 =
| 기타6 명칭 =
| 기타6 =
| 기타7 명칭 =
| 기타7 =
| 기타8 명칭 =
| 기타8 =
}}


{{목차}}
[[분류:대한제국인]]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left; border: 2px solid #E8CB2D; float: right; max-width: 420px; font-size: 10.5pt;"
|-
! colspan="2" style="font-size: 10.5pt; color: #b22222; background: 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09C00, #E8CB2D 20%, #E8CB2D 80%, #C09C00)" | 대한제국 제 3대 황제<br>{{글씨 크기|14.4|이강}}<br>경조 휘황제 | 慶祖 煇皇帝
|-
! colspan="2" | <div style="margin: -5px -9px">[[파일:의친왕.jpg]]</div>
|-
! rowspan="2" style="width: 100px; background: #E8CB2D; color: #b22222;" | 출생
| 1877년 3월 30일
|-
| 한성부 순화방 범숙의궁<br>(現 한성부 종로구 효자동·궁정동 일대)
|-
! rowspan="2" style="width: 100px; background: #E8CB2D; color: #b22222;" | 서거<ref>逝去</ref>
| 1955년 8월 16일 (향년 78세)
|-
| 한성부 종로구 북부 안국동별궁<br>(現 한성부 종로구 율곡로3길 4)
|-
! style="width: 100px; background: #E8CB2D; color: #b22222;" | 묘소
| 재릉(再陵)
|-
! rowspan="2" style="background: #E8CB2D; color: #b22222;" | 재임기간
| style="background: #F5F5F5;" | 대한제국 의친왕
|-
| [[1900년]] [[8월 17일]] ~ [[1910년]] [[8월 29일]]
|-
! rowspan="2" style="background: #E8CB2D; color: #b22222;" | 재임기간
| style="background: #F5F5F5;" | 대한제국 제 4대 황제
|-
| [[1948년]] [[8월 15일]] ~ [[1955년]] [[8월 16일]]
|-
| colspan="2" | <div class="mw-customtoggle-yoonjm" style="margin-left: -2.5px; margin-right: auto; padding: 6px -1px 11px; padding-left: 7px; width: 100%; text-align:center; background-color: none;"><div style="margin: -2px 0px;">'''[ 펼치기 · 접기 ]'''</div></div>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yoonjm" style="background: 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 width: 100%; text-align: center;">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 none; margin: 0px -15px 0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 text-align: center;">
{| style="margin-left: -2px; margin-right: -15px; margin-bottom: -13px; margin-top: -1px; width: calc(100% + 5px); font-size: 10.5pt; text-align: left;"
! style="width: 100px; background: #E8CB2D; color: #b22222;" | 본관
| 전주 이씨
|-
! style="width: 100px; background: #E8CB2D; color: #b22222;" | 부모
| 부황 고종 태황제<br>모친 귀인 장씨
|-
! style="width: 100px; background: #E8CB2D; color: #b22222;" | 형제자매
| <sup>부황</sup> 기준 9남 4녀 중 5남<br><sup>모친</sup> 기준 외아들
|-
! rowspan="1" style="width: 100px; background: #E8CB2D; color: #b22222;" | 배우자
| 유준휘황후(維晙輝皇后)
|-
! style="width: 100px; background: #E8CB2D; color: #b22222;" | 자녀
| --장남 이건--<br>차남 [[이우]]<br>5남 이수길<br>6남 이곤<br>7남 이해청<br>8남 이현<br>9남 이갑<br>10남 이석<br>2녀 이해원<br>5녀 이해경<br>8녀 이현<br>외 10명
|-
! style="width: 100px; background: #E8CB2D; color: #b22222;" | 연호
| 광복(光復)
|-
! style="width: 100px; background: #E8CB2D; color: #b22222;" | 묘호
| 경조(慶祖)
|-
! style="width: 100px; background: #E8CB2D; color: #b22222;" | 시호
| 문정무의충덕홍황제(文正武毅忠德弘皇帝)
|-
! style="width: 100px; background: #E8CB2D; color: #b22222;" | 존호
| 계운중흥건통홍도정극광덕성열고황제<br>
(啓運中興建統弘道正極光德盛烈高皇帝)<br>
개기조업소인찬화경륜신지지성흠명성제<br>
(開基肇業昭仁贊化經綸神智至誠欽明聖帝)<br>
어우수통순덕후재예철현람건도곤용경화만방<br>
(御宇垂統純德厚載睿哲玄覽乾道坤容景化萬方)<br>
배천제성흠약호궁영창홍기숙목유신존엄지고<br>
(配天齊聖欽若昊穹永昌洪基肅穆惟新尊嚴至高)
|-
! style="width: 100px; background: #E8CB2D; color: #b22222;" | 휘
| 강(堈)
|-
! style="width: 100px; background: #E8CB2D; color: #b22222;" | 아명
| 평길(平吉)
|-
! style="width: 100px; background: #E8CB2D; color: #b22222;" | 호
| 만오(晩悟)
|-
! style="width: 100px; background: #E8CB2D; color: #b22222;" | 작호
| 조선: 의화군(義和君)<br>'''대한제국: 의친왕(義親王)'''<ref>1910년때까지의 작호</ref>
|-
! style="width: 100px; background: #E8CB2D; color: #b22222;" | 종교
| 유교 <sub>(성리학)</sub> → 가톨릭 <sub>(세례명: 비오, Pius)</sub>
|-
|}</div></div>
|}


{{문단정리}}
{{문단정리}}


= 개요 =  
= 개요 =  


고종의 차남이자, 고종의 아들들 그리고 나아가 대한제국 황족 출신 독립운동가이다.
고종의 차남이자, 고종의 아들들 그리고 나아가 대한제국 황족 출신 독립운동가이며, 대한제국 제 3대 황제이다.

2025년 6월 25일 (수) 22:34 기준 최신판

대한제국 경각부 문장.svg
대한제국 운영위원회 보호 문서
카카오톡 가상국가인 대한제국의 세계관 공식 문서입니다. 문서편집,반달등을 전부 금합니다.
대한제국 진한 이화문.png
대한제국 황제
[ 펼치기 · 접기 ]
대한제국 제 3대 황제
이강
경조 휘황제 | 慶祖 煇皇帝
의친왕.jpg
출생 1877년 3월 30일
한성부 순화방 범숙의궁
(現 한성부 종로구 효자동·궁정동 일대)
서거[1] 1955년 8월 16일 (향년 78세)
한성부 종로구 북부 안국동별궁
(現 한성부 종로구 율곡로3길 4)
묘소 재릉(再陵)
재임기간 대한제국 의친왕
1900년 8월 17일 ~ 1910년 8월 29일
재임기간 대한제국 제 4대 황제
1948년 8월 15일 ~ 1955년 8월 16일
[ 펼치기 · 접기 ]
본관 전주 이씨
부모 부황 고종 태황제
모친 귀인 장씨
형제자매 부황 기준 9남 4녀 중 5남
모친 기준 외아들
배우자 유준휘황후(維晙輝皇后)
자녀 장남 이건
차남 이우
5남 이수길
6남 이곤
7남 이해청
8남 이현
9남 이갑
10남 이석
2녀 이해원
5녀 이해경
8녀 이현
외 10명
연호 광복(光復)
묘호 경조(慶祖)
시호 문정무의충덕홍황제(文正武毅忠德弘皇帝)
존호 계운중흥건통홍도정극광덕성열고황제

(啓運中興建統弘道正極光德盛烈高皇帝)
개기조업소인찬화경륜신지지성흠명성제
(開基肇業昭仁贊化經綸神智至誠欽明聖帝)
어우수통순덕후재예철현람건도곤용경화만방
(御宇垂統純德厚載睿哲玄覽乾道坤容景化萬方)
배천제성흠약호궁영창홍기숙목유신존엄지고
(配天齊聖欽若昊穹永昌洪基肅穆惟新尊嚴至高)

강(堈)
아명 평길(平吉)
만오(晩悟)
작호 조선: 의화군(義和君)
대한제국: 의친왕(義親王)[2]
종교 유교 (성리학) → 가톨릭 (세례명: 비오, Pius)


개요

고종의 차남이자, 고종의 아들들 그리고 나아가 대한제국 황족 출신 독립운동가이며, 대한제국 제 3대 황제이다.

  1. 逝去
  2. 1910년때까지의 작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