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군(대한제국):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1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분류:일몰의 잔광]] [[분류:대한제국]]
[[분류:일몰의 잔광]] [[분류:대한제국]]


{| class="wikitable" style="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width:100%; text-align:center; color:#000; border:2px solid #1b0e64;"
|-
! colspan="6" style="background:linear-gradient(to right, #0d0730 , #1b0e64 20%, #1b0e64 80%, #0d0730); color:#ffd400;" | [[파일:대한제국 경각부 문장.svg|55px]]<br>'''대한제국 운영위원회 보호 문서'''
|-
|}


{{도시 정보 양식
{{도시 정보 양식
| 테두리색 = #003153
| 테두리색 = #003585
| 범례색 = #0047ab
| 범례색 = #ff6600
| 범례 글씨색 =#fff
| 범례 글씨색 = #fff
| 국기 = 이응준_태극기.png
| 국기 = 이응준_태극기.png
| 국가 = [[카카오톡 가상국가 대한제국|대한제국]]
| 국가 = [[카카오톡 가상국가 대한제국|대한제국]]
| 지위 = 군(郡)
| 지위 = 군(郡)
| 로고 = 화성군 로고.svg
| 로고 = 화성군 로고.svg
| 로고 크기 = 80px
| 로고 크기 = 100px
| 로고 비율 = 33%
| 로고 비율 = 35%
| 도시명 = <big>화성군</big>
| 도시명 = <big>화성군</big>
| 원어명 = 華城郡<br>Hwaseong County
| 원어명 = 華城郡<br>Hwaseong County
| 지도 =  
| 지도 =  
| 전경 = 화성시청.webp
| 전경 = 화성시청.webp
| 소재지명 = 군청 소재지
| 소재지명 = 군청 소재지
| 소재지 = [[카카오톡 가상국가 대한제국|화성군청로 ]] 199
| 소재지 =[[화성군(대한제국)|화성군청로 ]] 199
| 상위 행정구역 = 경기도  
| 상위 행정구역 = 경기도  
| 하위 행정구역 = 3읍<ref>오산읍,남양읍,태안읍</ref>13면<ref>송산,서신,마도,우정,향남,팔탄,양감,정남,봉담,비봉,매송,안용,반월,</ref>
| 하위 행정구역 =3읍<ref>오산읍,남양읍,태안읍</ref>13면<ref>송산,서신,마도,우정,향남,팔탄,양감,정남,봉담,비봉,매송,안용,반월,</ref>
| 면적 = 135.36km²
| 면적 =  
| 인구 = 234,537명
| 인구 = 222,357명
| 인구 밀도 =  
| 인구 밀도 =  
| 대표명1=군수(郡守)
| 대표명1 = 군수(郡守)
| 대표1 =
| 대표1 = 芮剛煥
| 대표소속정당1 =  
| 대표소속정당1 = {{정당박스|'''대한민족청년단'''|#234794|#fff}}
| 대표명2 =  
| 대표명2 =
| 대표2 =  
| 대표2 =
| 대표소속정당2 =  
| 대표소속정당2 =
| 대표명3 =
| 대표명3 =
| 대표3 =
| 대표3 =
35번째 줄: 41번째 줄:
| 대표4 =
| 대표4 =
| 대표소속정당4 =  
| 대표소속정당4 =  
| 의회명 =
 
| 의회 정당수 =  
| 의회명 = 군의회<br>(10석)
| 정당1 =  
| 의회 정당수 = 1
| 의석수1 =  
| 정당1 = {{정당박스|'''무소속'''|#c7c8c8|#fff}}
| 의석수1 = 10
| 정당2 =  
| 정당2 =  
| 의석수2 =  
| 의석수2 =  
| 정당3 =  
| 정당3 =
| 의석수3 =  
| 의석수3 =
| 정당4 =  
| 정당4 =
| 의석수4 =  
| 의석수4 =
| 정당5 =  
| 정당5 =
| 의석수5 =  
| 의석수5 =
| 정당6 =
| 정당6 =
| 의석수6 =
| 의석수6 =
57번째 줄: 64번째 줄:
| 정당10 =
| 정당10 =
| 의석수10 =  
| 의석수10 =  
| GDP =
 
| 의원명1 =
| 목록 수1 =
| 의원정당1-1 =
| 의원수1-1 =
| 의원정당1-2 =
| 의원수1-2 =
| 의원정당1-3 =
| 의원수1-3 =
| 의원정당1-4 =
| 의원수1-4 =
| 의원정당1-5 =
| 의원수1-5 =
| 의원정당1-6 =
| 의원수1-6 =
| 의원정당1-7 =
| 의원수1-7 =
| 의원정당1-8 =
| 의원수1-8 =
 
| 의원명2 =
| 목록 수2 =
| 의원정당2-1 =
| 의원수2-1 =
| 의원정당2-2 =
| 의원수2-2 =
| 의원정당2-3 =
| 의원수2-3 =
| 의원정당2-4 =
| 의원수2-4 =
| 의원정당2-5 =
| 의원수2-5 =
| 의원정당2-6 =
| 의원수2-6 =
| 의원정당2-7 =
| 의원수2-7 =
| 의원정당2-8 =
| 의원수2-8 =
 
| GDP =  
| 1인당 GDP =
| 1인당 GDP =
| 상징 이름1 =  
| 상징 이름1 =  
| 상징1 =  
| 상징1 =  
| 상징 이름2 =  
| 상징 이름2 = 슬로건
| 상징2 =  
| 상징2 = '''국가경제의 일축!'''
| 상징 이름3 =  
| 상징 이름3 =
| 상징3 =  
| 상징3 =
| 전화번호 =  
| 전화번호 =
| 지역번호 =  
| 지역번호 =
| IATA 도시 코드 =  
| IATA 도시 코드 =
| ISO 3166-2 =  
| ISO 3166-2 =
| 링크 =
| 링크 =
}}
}}
==개요==
화성군은 대한제국 경기도에 위치한 도시로 경기도 최대 '''농업'''도시이다.
==역사==
1949년3월6일 본래 수원군이 수원부와 화성군으로 분리승격되고 그해 5월8일 중의원에서 관선군수를 선출하면서 본격적인 역사가 시작된다.
<br>
<br>•'''1949년5월8일''' 관선1기 김용석 군수취임및 행정적으로 완전히 수원과 분리<br>
•'''1949년5월11일''' 수원부 반월면을 화성군으로 편입<br>
•'''1949년5월29일''' 수원부 오산면을 화성군으로 편입및 오산읍으로 승격
<br>•'''1949년8월18일''' 태안면 화산리와 안용리를 안용면으로 분리승격<ref>2읍15면</ref>
<br>•'''1949년12월7일''' 기존 군청을  오산읍으로 이전(현 군청)
<br>•'''1949년12월19일''' 김용석 군수 지휘아래 서부 농업증흥계획 실시.
<br>•'''1949년12월31일''' 경부선 병점역 리모델링 착공(군청예산으로 진행)
<br>•'''1950년1월7일''' (구)오산면사무소역를 화성군청역으로 명칭변경
<br>•'''1950년2월1일''' 오산읍 사무소 화재사건 발생
<br>•'''1950년3월11일''' 구봉산 군수추락사건 발생 김용석 군수 긴급이송
<br>•'''1950년3월12일''' 김용석 군수 복귀
==교육==
여타 도시들보다 부족한 교육으로 청소년 인구가 9만명이지만 학교는 초등학교는 갈담,갈천,고정,기안,남양,병점,태안등이 있고 중학교는 삼괴,남양,안용,서신등등이 있고 고등학교는 화성,남양,남양농업고만 있다. 그래서 그런지 병점초등학교는 한 학년당 2300명이 있는 포화 상태이다>


||<-2><tablealign=right><tablewidth=400><tablebordercolor=#004098><bgcolor=#ffffff>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대한국]]의 광역시 ||
==경제===
||<-2><tablebordercolor=#004098><bgcolor=#fff> [[파일:부산광역시 휘장.svg|25px]]
경제의 대부분을 농업과 제조업에 의지하며 삼성,대우,금성등의 제조공장이 위치하고있다.
{{{+2 {{{#000 '''부산광역시'''}}}}}} [br] {{{#000 釜山廣域市 }}} [br] {{{#000 Busan Metropolitan City }}} ||
||<-2> [[파일:부산광역시 지도.png]] ||
||<-2><width=130><colbgcolor=#004098><colcolor=#fff><bgcolor=#004098> [[부산광역시청|{{{#fff '''시청 소재지'''}}}]] ||<-2> 연제구 중앙대로 1001 ||
||<-2><bgcolor=#004098> {{{#fff '''하위 행정구역'''}}} ||<-2> 15구 1군 ||
||<-2><bgcolor=#004098> {{{#fff '''면적'''}}} ||<-2> 771.3㎢ ||
||<-2><bgcolor=#004098> {{{#fff '''인구'''}}} ||<-2> 3,302,210명 ||
||<-2><bgcolor=#004098> {{{#fff '''인구 밀도'''}}} ||<-2> 4,281.36명/㎢ ||
||<-2><bgcolor=#004098> {{{#fff '''GDP'''}}} ||<-2> ||
||<-2><bgcolor=#004098> {{{#fff '''1인당 GDP'''}}} ||<-2> ||
||<-2><bgcolor=#004098> {{{#fff '''[[부산광역시장|시장]]'''}}} ||<width=100> [[새누리당]] || 류호영 {{{-2 (초선)}}} ||
||<|2><width=65><bgcolor=#004098> [[부산광역시 부시장|{{{#fff '''부시장'''}}}]] ||<colbgcolor=#E5007F><colcolor=#fff><width=65><bgcolor=#004098> {{{#fff '''행정'''}}} ||<|2><width=100> 무소속 || ||
||<bgcolor=#004098> {{{#fff '''경제'''}}} || ||
||<|3><-2><bgcolor=#004098> {{{#fff '''시의회'''}}} || [[새누리당]] || 33석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width=100> [[민주진보당]] || 12석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width=100> {{국민공화당}} || 2석 ||
||<-2><bgcolor=#004098> {{{#fff '''교육감'''}}} || 보수 || 1 {{{-2 (초선)}}} ||
||<|2><-2><bgcolor=#004098> {{{#fff '''국회의원'''}}} || 새누리당 || 16석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width=100> [[민주진보당]] || 16석 ||
||<|2><-2><bgcolor=#004098> {{{#fff '''구청장·군수'''}}} || 새누리당 || 13석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width=100> [[민주진보당]] || 3석 ||
||<|5><width=65><bgcolor=#004098> {{{#fff '''상징'''}}} ||<width=65><bgcolor=#004098> {{{#fff '''시화'''}}} ||<-2> 동백꽃 ||
||<bgcolor=#004098> {{{#fff '''시목'''}}} ||<-2> 동백나무 ||
||<bgcolor=#004098> {{{#fff '''시조'''}}} ||<-2> 갈매기 ||
||<bgcolor=#004098> {{{#fff '''시어'''}}} ||<-2> 고등어 ||
||<bgcolor=#004098> {{{#fff '''시가'''}}} ||<-2> 부산찬가 ||
||<-2><bgcolor=#004098> [[지역번호|{{{#fff '''지역번호'''}}}]] ||<-2> '''051''' ||
||<-2><bgcolor=#004098> {{{#fff '''[[IATA|{{{#fff IATA}}}]] 도시 코드'''}}} ||<-2> '''PUS''' ||
||<-2><bgcolor=#004098> [[ISO 3166-2|{{{#fff '''ISO 3166-2'''}}}]] ||<-2> '''KR-26''' ||
 
||<tablewidth=300><tablebordercolor=#004098> [[파일:부산광역시 위치.svg|width=100%]] ||
||<bgcolor=#004098> {{{#FFFFFF '''부산광역시의 위치'''}}} ||
 
[목차]
== 개요 ==
'''''웃음이 묻어나는 부산!'''''
 
대한국 동남쪽에 위치한 광역시. 대한국 제3의 도시로, 북쪽으로는 경상남도 양산시와 울산광역시 울주군, 서쪽으로 경상남도 창원시, 김해시와 접하고 있다.
 
대한국에서 서울특별시, 평양광역시 다음으로 큰 규모를 자랑하는 제3의 도시이자 평양광역시와 함께 최초의 광역시(직할시)로, 9개의 광역시 중 2번째로 인구가 많은 광역자치단체이기도 하다. 광역자치단체 전체로 범위를 넓히면 경기도, 서울특별시, 평양광역시, 경상남도, 평안남도, 평안북도, 경상북도 다음으로 8번째로 인구가 많은 광역자치단체다.
 
또한, 수도권, 평양권 다음으로 큰 광역권인 부울경과 부산·울산권의 중추도시이며, 국내 최대 무역항이자 세계 5위권 규모의 환적량을 자랑하는 부산항을 보유하고 있어, 바로 옆에 존재하는 국내 최대 공업도시 중 하나인 울산광역시와 함께 대한민국 수출입 경제에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도시이다.
 
== 역사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4098><bgcolor=#004098> {{{#fff '''시기'''}}} ||<bgcolor=#004098> {{{#fff '''당시 행정구역'''}}} ||
|| 삼국시대(8세기) || 양주 동래군 ||
|| 신라(10세기) || 경상도 동래군 ||
|| 고려시대 || 경상도 울주군, 양주군 ||
|| 조선시대]](16세기) || 경상도 동래도호부 ||
|| 1906년 || 경상도 동래부, 기장군, 양산군, 김해군, 웅천군 ||
|| 일제강점기 || 경상남도 부산부, 동래군, 김해군,  양산군, |창원군 ||
|| 1949년 || 경상남도 부산시, 동래군, 양산군, 김해군,|창원군 ||
|| 1963년 || '''부산직할시(釜山直轄市)''' 승격, 경상남도 동래군 ||
|| 1973년 || 동래군 폐지 ||
|| 1995년 || 부산직할시를 '''부산광역시(釜山廣域市)'''로 개칭, 부산광역시 산하 기장군 설치 ||
 
==각주==
==각주==

2025년 7월 8일 (화) 09:35 기준 최신판


대한제국 경각부 문장.svg
대한제국 운영위원회 보호 문서
이응준 태극기.png 대한제국의 군(郡)
화성군 로고.svg 화성군
華城郡
Hwaseong County
화성시청.webp
국가
이응준 태극기.png 대한제국
군청 소재지
화성군청로 199
상위 행정구역
경기도
하위 행정구역
3읍[1]13면[2]
인구
222,357명
군수(郡守)
대한민족청년단 芮剛煥
군의회
(10석)
무소속 10석
슬로건
국가경제의 일축!

개요

화성군은 대한제국 경기도에 위치한 도시로 경기도 최대 농업도시이다.

역사

1949년3월6일 본래 수원군이 수원부와 화성군으로 분리승격되고 그해 5월8일 중의원에서 관선군수를 선출하면서 본격적인 역사가 시작된다.

1949년5월8일 관선1기 김용석 군수취임및 행정적으로 완전히 수원과 분리
1949년5월11일 수원부 반월면을 화성군으로 편입
1949년5월29일 수원부 오산면을 화성군으로 편입및 오산읍으로 승격
1949년8월18일 태안면 화산리와 안용리를 안용면으로 분리승격[3]
1949년12월7일 기존 군청을 오산읍으로 이전(현 군청)
1949년12월19일 김용석 군수 지휘아래 서부 농업증흥계획 실시.
1949년12월31일 경부선 병점역 리모델링 착공(군청예산으로 진행)
1950년1월7일 (구)오산면사무소역를 화성군청역으로 명칭변경
1950년2월1일 오산읍 사무소 화재사건 발생
1950년3월11일 구봉산 군수추락사건 발생 김용석 군수 긴급이송
1950년3월12일 김용석 군수 복귀

교육

여타 도시들보다 부족한 교육으로 청소년 인구가 9만명이지만 학교는 초등학교는 갈담,갈천,고정,기안,남양,병점,태안등이 있고 중학교는 삼괴,남양,안용,서신등등이 있고 고등학교는 화성,남양,남양농업고만 있다. 그래서 그런지 병점초등학교는 한 학년당 2300명이 있는 포화 상태이다>

경제=

경제의 대부분을 농업과 제조업에 의지하며 삼성,대우,금성등의 제조공장이 위치하고있다.

각주

  1. 오산읍,남양읍,태안읍
  2. 송산,서신,마도,우정,향남,팔탄,양감,정남,봉담,비봉,매송,안용,반월,
  3. 2읍15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