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티: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잔글 (낭숟신의 대리인 (토론)의 220539판 편집을 되돌림)
태그: 편집 취소
(사용자 7명의 중간 판 9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6번째 줄: 6번째 줄:
| 색상 = #ff0000
| 색상 = #ff0000
| 글씨색 = #fff
| 글씨색 = #fff
| 최고직위 = SGF 제1~6대 국가 원수
| 최고직위 = SGF 자유국 국가 원수
| 이름 = <big>에스티</big>
| 이름 = <big>에스티</big>
| 기타이름 = Эсти Евгений
| 기타이름 = Эсти Евгений
| 대표사진 = Sgf_Logo2.0.png
| 대표사진 = EstiYevgeny_w.jpg
| 대표사진 크기 = 500px
| 대표사진 크기 = 500px
| 출생일 =  
| 출생일 =  
| 출생지 =  
| 출생지 =  
| 직위1 = 제1-2대 국가 원수
| 직위1 = 제 1-3대 총리
| 재임기간1 = 2020년 6월 18일 ~ 2023년 6월 10일
| 재임기간1 = 2020년 6월 18일 ~ 2023년 6월 10일
| 직위2 = 제3대 국가 원수
| 직위2 = 제 1-2대 최고 인민 회의 의장
| 재임기간2 = 2023년 6월 10일 ~ 2024년 7월 2일
| 재임기간2 = 2023년 6월 10일 ~ 2024년 7월 2일
| 직위3 = 제4대 국가 원수
| 직위3 = 제 1-3대 국가 원수
| 재임기간3 = 2024년 7월 2일 ~ 2024년 11월 29일
| 재임기간3 = 2024년 7월 2일 ~ 2025년 2월 26일
| 직위4 = 제5대 국가 원수
| 직위4 = 제 30대 파디샤
| 재임기간4 = 2024년 11월 29일 ~ 2025년 1월 16일
| 재임기간4 = 2025년 3월 8일 ~ 2025년 5월 4일
| 직위5 = 제6대 국가 원수
| 직위5 = 초대 국가 원수
| 재임기간5 = 2025년 1월 16일 ~ 현재
| 재임기간5 = 2025년 5월 4일 ~  
| 서명 사진 =  
| 서명 사진 =  
| 링크 주소 =  
| 링크 주소 =  
| 링크 설명 =
| 링크 설명 =
| 종교 = 냉전 찬양회
| 본관 =  
| 본관 =  
| 본적 =  
| 본적 =  
31번째 줄: 32번째 줄:
| 부모 =  
| 부모 =  
| 형제자매 =  
| 형제자매 =  
| 병역 = 러시아 제국 육군
| 병역 = 오스트리아 전략군
| 소속 정당 = {{정당박스|'''국가 개발 전선'''|#ff0000|#fff}}
| 소속 정당 = {{정당박스|'''국가 개발 전선'''|#ff0000|#fff}}
| 약력 =  
| 약력 =  
53번째 줄: 54번째 줄:
| 기타8 =
| 기타8 =
}}
}}
{{목차}}


= 개요 =
= 개요 =
58번째 줄: 61번째 줄:


= 약력 =
= 약력 =
{{선거 이력
| 테두리 색상 =#ff0000
| 틀 색상 =#452D83
| 글씨 색상 = #fff
| 연도1 =
| 선거 종류1 =
| 선거구1 =
| 소속 정당1 = {{정당박스|'''국가 개발 전선'''|#ff0000|#fff}}
| 득표율1 =
| 당선 여부1 =
| 비고1 =
| 연도2 =
| 선거 종류2 =
| 선거구2 =
| 소속 정당2 =
| 득표율2 =
| 당선 여부2 =
| 비고2 =
| 연도3 =
| 선거 종류3 =
| 선거구3 =
| 소속 정당3 =
| 득표율3 =
| 당선 여부3 =
| 비고3 =


| 연도4 =
* SGF 국가 원수
| 선거 종류4 =
* 페넨 베르데 외무성 지도자
| 선거구4 =
* 국가 개발 전선 총서기
| 소속 정당4 =
* 폴애성 연방 입법 지도자
| 득표율4 =
* 소비에트 공산당 부서기
| 당선 여부4 =
* 러시아 제국군 육군 이등병
| 비고4 =
* 아일랜드 내무부 장관
 
* 시스라이타니아 총리
| 연도5 =
* SGF 국방군 지도자
| 선거 종류5 =
*
| 선거구5 =
2022.6.18, SGF 제국 2대 총리(~12.10)<br/>
| 소속 정당5 =
2022.12.10, SGF 제국 3대 총리(~6.10)<br/>
| 득표율5 =
2023.6.10, SGF 인민 공화국 1대 최고 인민 회의 의장(~11
| 당선 여부5 =
16)<br/>
| 비고5 =
2023.6.10, 공산당 당서기(~5.1.17)<br/>
 
2023.11.16, SGF 인민 공화국 2대 최고 인민 회의 의장(~7.2)<br/>
| 연도6 =
2024.5.16, 노보로시야 3대 서기장<br/>
| 선거 종류6 =
2024.7.2, SGF 자유국 1대 국가 원수(~11.29)<br/>
| 선거구6 =
2024.11.29, SGF 자유국 2대 국가 원수(~1.17)<br/>
| 소속 정당6 =
2025.1.17, SGF 자유국 3대 국가 원수(~2.26)<br/>
| 득표율6 =
2025.1.17, 국가개발전선 당서기<br/>
| 당선 여부6 =
2025.1.18, 페넨설라 베르데 당서기<br/>
| 비고6 =
2025.1.18, 폴애성 연방 입법 지도자(~1.20)<br/>
 
2025.1.18, SGF 자유국 2대 국방군 원수<br/>
| 연도7 =
2025.1.19, 러시아 제국 육군 입대(~2.5)<br/>
| 선거 종류7 =
2025.1.21, 페넨설라 베르데 외무 지도자<br/>
| 선거구7 =
2025.1.26, 아일랜드 내무부 장관(~2.5)<br/>
| 소속 정당7 =
2025.1.27,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시스라이타니아 총리<br/>
| 득표율7 =
2025.1.28, 하노이국 1대 대통령<br/>
| 당선 여부7 =
2025.1.28, 긴급 체포, SGF 자유국 권한 대행 페넨 베르데, 국가 개발 전선 권한 대행 박찬대, 하노이 권한 대행 탐험트 지목<br/>
| 비고7 =
2025.1.30, 벨기에 브뤼셀 지역구 국회의원 당선(~2.5)<br/>
 
2025.1.31,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비례대표 지역구 국회의원 당선(~2.5)<br/>
| 연도8 =
2025.2.5, 벨기에 국회 의장으로 선출(~2.5)<br/>
| 선거 종류8 =
2025.2.6, 탄누 투바 2대 총리 당선(~2.18)</br>
| 선거구8 =
2025.2.12, 오스트리아 합중국 삼중제국 2대 사관청장(~2.17)</br>
| 소속 정당8 =
2025.2.12, 유바시리 초대 치안대신(~2.15)</br>
| 득표율8 =
2025.2.12, 아이슬란드 초대 내무부 장관</br>
| 당선 여부8 =
2025.2.12, 중화제국 황태자(~2.13)</br>
| 비고8 =
2025.2.12, 오스트리아 합중국군 전략감</br>
 
2025.2.13, 대한제국 5대 내각총리대신</br>
| 연도9 =
2025.2.13, 민주협화당 초대 당중앙위원장</br>
| 선거 종류9 =
2025.2.14, 튀르키예 초대 부통령(~2.26)</br>
| 선거구9 =
2025.2.15, 카스티야 초대 부총통</br>
| 소속 정당9 =
2025.2.19, 페넌 베르데 2대 총리 당선</br>
| 득표율9 =
2025.2.20, EL 민주 공화국 임시 국가 원수</br>
| 당선 여부9 =
2025.2.21, 김아론제국 초대 친위대장</br>
| 비고9 =
2025.2.26, 황 2대 내각총리대신(~2.26)</br>
 
2025.2.26, 민주혁명당 초대 당수(~2.26)</br>
| 연도10 =
2025.2.26, 동키예프 연방시 초대 시위원장</br>
| 선거 종류10 =
2025.2.26, SGF 연방 국가 지도 위원회 의장</br>
| 선거구10 =
2025.2.26, SGF 연방 2.26 참사 발생과 멸망<br>
| 소속 정당10 =
2025.3.1, 항공철도국 초대 국무총리</br>
| 득표율10 =
2025.3.5, USSE 초대 국방부 장관</br>
| 당선 여부10 =
2025.3.8, 오스만 제국 제 30대 파디샤</br>
| 비고10 =
2025.4.26, 디스코드 지사로 임시 이동, 파디샤 권한 대행 오토, 칼리파 권한 대행 네온, 룸 카이세리 권한 개행 시영 지목<br>
 
2025.4.27, 국가 오스마니아당 당수<br>
| 연도11 =
2025.4.27, 대한민국 국정원<br>
| 선거 종류11 =
2025.4.27, 대한민국 국민 저항권 공세 평의회 초대 의장<br>
| 선거구11 =
2025.4.27, 대한민국 제 1사단 1중대 소장<br>
| 소속 정당11 =
2025.4.28, 뉴펀들랜드 초대 국회의원<br>
| 득표율11 =
2025.4.30, 인도네시아 합중 공화국 초대 대통령<br>
| 당선 여부11 =
2025.4.30, 래브라다 훈련병<br>
| 비고11 =
2025.5.1, 독일 제국 초대 총리(~5.4)<br>
 
2025.5.3, 스위스 연방 제네바 상원의원<br>
| 연도12 =
2025.5.4, 대만 제 2제국 초대
| 선거 종류12 =
| 선거구12 =
| 소속 정당12 =
| 득표율12 =
| 당선 여부12 =
| 비고12 =
 
| 연도13 =
| 선거 종류13 =
| 선거구13 =
| 소속 정당13 =
| 득표율13 =
| 당선 여부13 =
| 비고13 =
 
| 연도14 =
| 선거 종류14 =
| 선거구14 =
| 소속 정당14 =
| 득표율14 =
| 당선 여부14 =
| 비고14 =
 
| 연도15 =
| 선거 종류15 =
| 선거구15 =
| 소속 정당15 =
| 득표율15 =
| 당선 여부15 =
| 비고15 =
 
| 연도16 =
| 선거 종류16 =
| 선거구16 =
| 소속 정당16 =
| 득표율16 =
| 당선 여부16 =
| 비고16 =
 
| 연도17 =
| 선거 종류17 =
| 선거구17 =
| 소속 정당17 =
| 득표율17 =
| 당선 여부17 =
| 비고17 =
 
| 연도18 =
| 선거 종류18 =
| 선거구18 =
| 소속 정당18 =
| 득표율18 =
| 당선 여부18 =
| 비고18 =
 
| 연도19 =
| 선거 종류19 =
| 선거구19 =
| 소속 정당19 =
| 득표율19 =
| 당선 여부19 =
| 비고19 =
 
| 연도20 =
| 선거 종류20 =
| 선거구20 =
| 소속 정당20 =
| 득표율20 =
| 당선 여부20 =
| 비고20 =
}}

2025년 7월 11일 (금) 16:42 판

SGF 자유국 국가 원수
에스티
Эсти Евгений
EstiYevgeny w.jpg
재임기간
제 1-3대 총리
2020년 6월 18일 ~ 2023년 6월 10일
재임기간
제 1-2대 최고 인민 회의 의장
2023년 6월 10일 ~ 2024년 7월 2일
재임기간
제 1-3대 국가 원수
2024년 7월 2일 ~ 2025년 2월 26일
재임기간
제 30대 파디샤
2025년 3월 8일 ~ 2025년 5월 4일
재임기간
초대 국가 원수
2025년 5월 4일 ~
[ 펼치기 · 접기 ]
병역
오스트리아 전략군
종교
냉전 찬양회
소속 정당
국가 개발 전선
약칭
S

개요

에스티(ㅔ스티)SGF 자유국의 건국자이자 정치인이다.

약력

  • SGF 국가 원수
  • 페넨 베르데 외무성 지도자
  • 국가 개발 전선 총서기
  • 폴애성 연방 입법 지도자
  • 소비에트 공산당 부서기
  • 러시아 제국군 육군 이등병
  • 아일랜드 내무부 장관
  • 시스라이타니아 총리
  • SGF 국방군 지도자

2022.6.18, SGF 제국 2대 총리(~12.10)
2022.12.10, SGF 제국 3대 총리(~6.10)
2023.6.10, SGF 인민 공화국 1대 최고 인민 회의 의장(~11 16)
2023.6.10, 공산당 당서기(~5.1.17)
2023.11.16, SGF 인민 공화국 2대 최고 인민 회의 의장(~7.2)
2024.5.16, 노보로시야 3대 서기장
2024.7.2, SGF 자유국 1대 국가 원수(~11.29)
2024.11.29, SGF 자유국 2대 국가 원수(~1.17)
2025.1.17, SGF 자유국 3대 국가 원수(~2.26)
2025.1.17, 국가개발전선 당서기
2025.1.18, 페넨설라 베르데 당서기
2025.1.18, 폴애성 연방 입법 지도자(~1.20)
2025.1.18, SGF 자유국 2대 국방군 원수
2025.1.19, 러시아 제국 육군 입대(~2.5)
2025.1.21, 페넨설라 베르데 외무 지도자
2025.1.26, 아일랜드 내무부 장관(~2.5)
2025.1.27,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시스라이타니아 총리
2025.1.28, 하노이국 1대 대통령
2025.1.28, 긴급 체포, SGF 자유국 권한 대행 페넨 베르데, 국가 개발 전선 권한 대행 박찬대, 하노이 권한 대행 탐험트 지목
2025.1.30, 벨기에 브뤼셀 지역구 국회의원 당선(~2.5)
2025.1.31,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비례대표 지역구 국회의원 당선(~2.5)
2025.2.5, 벨기에 국회 의장으로 선출(~2.5)
2025.2.6, 탄누 투바 2대 총리 당선(~2.18)
2025.2.12, 오스트리아 합중국 삼중제국 2대 사관청장(~2.17)
2025.2.12, 유바시리 초대 치안대신(~2.15)
2025.2.12, 아이슬란드 초대 내무부 장관
2025.2.12, 중화제국 황태자(~2.13)
2025.2.12, 오스트리아 합중국군 전략감
2025.2.13, 대한제국 5대 내각총리대신
2025.2.13, 민주협화당 초대 당중앙위원장
2025.2.14, 튀르키예 초대 부통령(~2.26)
2025.2.15, 카스티야 초대 부총통
2025.2.19, 페넌 베르데 2대 총리 당선
2025.2.20, EL 민주 공화국 임시 국가 원수
2025.2.21, 김아론제국 초대 친위대장
2025.2.26, 황 2대 내각총리대신(~2.26)
2025.2.26, 민주혁명당 초대 당수(~2.26)
2025.2.26, 동키예프 연방시 초대 시위원장
2025.2.26, SGF 연방 국가 지도 위원회 의장
2025.2.26, SGF 연방 2.26 참사 발생과 멸망
2025.3.1, 항공철도국 초대 국무총리
2025.3.5, USSE 초대 국방부 장관
2025.3.8, 오스만 제국 제 30대 파디샤
2025.4.26, 디스코드 지사로 임시 이동, 파디샤 권한 대행 오토, 칼리파 권한 대행 네온, 룸 카이세리 권한 개행 시영 지목
2025.4.27, 국가 오스마니아당 당수
2025.4.27, 대한민국 국정원
2025.4.27, 대한민국 국민 저항권 공세 평의회 초대 의장
2025.4.27, 대한민국 제 1사단 1중대 소장
2025.4.28, 뉴펀들랜드 초대 국회의원
2025.4.30, 인도네시아 합중 공화국 초대 대통령
2025.4.30, 래브라다 훈련병
2025.5.1, 독일 제국 초대 총리(~5.4)
2025.5.3, 스위스 연방 제네바 상원의원
2025.5.4, 대만 제 2제국 초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