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7번째 줄: | 7번째 줄: | ||
== 철도교통 == | == 철도교통 == | ||
[[마라우타 인민연방]]의 국제 철도는 [[ | [[마라우타 인민연방]]의 국제 철도는 [[인도]], [[중국]]이 연결된 철도가 있다. [[마라우타 인민연방]]-인도의 철도 경우 [[오르만주]]의 강토크와 인도 북동부에 위치한 서뱅골주의 다르질링(darjeeling)을 거쳐 인도로 이동한다. 인도 다르질링 지역은 과거 [[네팔주]]와 [[부탄주]] 그리고 [[오르만주]]를 잇는 교통의 요충지 역할을 하고 있었으나 현재는 지리적 여건상 마라우타 인민연방의 중심에 있는 [[오르만주]]가 새로운 교통의 요충지로 발전하고 있다. | ||
[[파일:마라우타_연방국_티벳_철도_노선도.jpg|가운데|섬네일|600px|[[대현그룹]] 건설 마라우타 티벳 철도 노선도]] | |||
마라우타 인민연방과 중국과 연결된 철도의 경우 [[대현그룹]]이 2012년에 [[https://cafe.naver.com/maraout/8847 사업]]을 시작하였다. 중국 꺼얼무(格尔木)지역에서 [[티베트]] 낙추(나그출 지구 니마도 나그추시)지역은 고속철도 구간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최대 시속 250km까지 이동 가능하다. 낙추로 연결된 국내 지선은 참도([[티베트주]] 참도지구 뎅첸도 참도시), [[라싸특별자치시|티베트주]], 닝치([[티베트주]] 닝치지구 마이링도 닝치시), 마르캄([[티베트주]] 참도지구 차그야브도 마르캄시)과 연결된 티베트주를 이어주는 유일한 철도선로가 있으며 '''참도-마르캄선'''이라 한다. 참도-마르캄선은 일반 복선 전철로 최대 시속 160km로 운영 가능하다. 아리, 시가체, 라싸를 연결하는 '''아리-라싸선'''은 현재 건설 계획에 잡혀만 있다. |
2019년 3월 7일 (목) 20:34 판
![]() |
주의!!! 이 문서는 마라우타 인민연방 관련 공식 문서입니다. 이 문서는 마라우타 인민연방이 제작한 마라우타 인민연방 관련 공식 문서이기 때문에 함부로 편집을 시도하시면 반달행위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가능하면 토론 기능을 이용해주시길 바라며, 오류 및 오타 교정이라도 꼭 수정여부를 마라우타 인민연방에게 물어봐주십시오. 본 문서는 가상국가와 관계된 것으로 현실과는 무관하며, 일부 내용이 현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 |
마라우타 인민연방 교통은 크게 자동차, 우마차를 포함한 육상교통, 기차를 포함한 철도교통, 배를 포함한 해상교통, 비행기를 포함한 항공교통으로 나뉜다. 마라우타 인민연방 교통기본법에 규정하고 있으며, 마라우타 인민연방의 교통 행정은 국토교통부에서 담당한다. 마라우타 인민연방은 지리 특성상 고지대에 위치하고 고립된 위치에 있어 상대적으로 육상이나 해상교통 대신에 항공교통이 발달한 국가 중 하나이다. 대표적인 항공사는 에어 마라우타이다.
육상교통
마라우타 인민연방은 도로 통행시 우측 통행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운전자석은 좌측에 위치해있다. 마라우타 인민연방은 아시안 하이웨이의 일부 노선에 걸쳐 있다. 고속도로를 제외한 일반 도로 여건은 좋지 않으나 최근에 인민의 사회당과 정무원의 지시로 도로 현대화 사업을 진행하면서 도로 여건을 개선하는 사업을 진행 중이다. 도로는 크게 고속도로, 국도, 지방도로 나뉘며 지방도를 제외한 국토교통부 산하의 도로교통국이 시설을 포함한 총체적 관리를 담당하고 있다. 지방도는 각 지방의 행정구역에서 관리를 담당하고 있다.
철도교통
마라우타 인민연방의 국제 철도는 인도, 중국이 연결된 철도가 있다. 마라우타 인민연방-인도의 철도 경우 오르만주의 강토크와 인도 북동부에 위치한 서뱅골주의 다르질링(darjeeling)을 거쳐 인도로 이동한다. 인도 다르질링 지역은 과거 네팔주와 부탄주 그리고 오르만주를 잇는 교통의 요충지 역할을 하고 있었으나 현재는 지리적 여건상 마라우타 인민연방의 중심에 있는 오르만주가 새로운 교통의 요충지로 발전하고 있다.

마라우타 인민연방과 중국과 연결된 철도의 경우 대현그룹이 2012년에 [1]을 시작하였다. 중국 꺼얼무(格尔木)지역에서 티베트 낙추(나그출 지구 니마도 나그추시)지역은 고속철도 구간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최대 시속 250km까지 이동 가능하다. 낙추로 연결된 국내 지선은 참도(티베트주 참도지구 뎅첸도 참도시), 티베트주, 닝치(티베트주 닝치지구 마이링도 닝치시), 마르캄(티베트주 참도지구 차그야브도 마르캄시)과 연결된 티베트주를 이어주는 유일한 철도선로가 있으며 참도-마르캄선이라 한다. 참도-마르캄선은 일반 복선 전철로 최대 시속 160km로 운영 가능하다. 아리, 시가체, 라싸를 연결하는 아리-라싸선은 현재 건설 계획에 잡혀만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