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사국/군사: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13번째 줄: 13번째 줄:
||<table align=right><table width=400><tablebordercolor=#000><rowbgcolor=#000><#000><-99><:>{{{#white {{{+1 '''평사국 국가군'''}}}}}}||
||<table align=right><table width=400><tablebordercolor=#000><rowbgcolor=#000><#000><-99><:>{{{#white {{{+1 '''평사국 국가군'''}}}}}}||
||<:><-3> [[파일:평사국 행정기.jpeg|width=350]] ||
||<:><-3> [[파일:평사국 행정기.jpeg|width=350]] ||
||<bgcolor=#FFFFFF><:>{{{#black '''기관명'''}}}||<-2> [[평사국/군사|평사국 국가군]](Pingsa Nation Military force) ||
||<bgcolor=#FFFFFF><:>{{{#black '''기관명'''}}}||<-2> [[평사국/군사|평사 국가군]](Pingsa Nation Military force) ||
||<bgcolor=#FFFFFF><:>{{{#black '''수반'''}}}||<-2> 군주 [[세청아]], 재상 [[공석]], 국방장관 [[공석]], 총참모장 [[공석]] ||
||<bgcolor=#FFFFFF><:>{{{#black '''수반'''}}}||<-2> 국왕 [[세청아]], 총리 [[다논]], 국방장관 [[공석]], 총참모장 [[공석]] ||
||<bgcolor=#FFFFFF><:>{{{#000000 '''산하기관'''}}}||<-2> [[평사국 육군]], [[평사국 해군]], [[평사국 공군]] ||
||<bgcolor=#FFFFFF><:>{{{#000000 '''산하기관'''}}}||<-2> [[왕립 평사국군]], [[난주 공국군]], [[성주 공국군]] ||
||<bgcolor=#FFFFFF><:>{{{#000000 '''설립 시기'''}}}||<-2> 1946/7/30 ||
||<bgcolor=#FFFFFF><:>{{{#000000 '''설립 시기'''}}}||<-2> 1946/7/30 ||


21번째 줄: 21번째 줄:


==개요==
==개요==
평사국군은 명목상으로 평사국, 난주 공국, 성주 공국의 연합된 군대이며, 각 군의 총사령관은 국왕이 맡는다.
또한, 평시 지휘는 총리가 행한다.
평사국군은 왕립 평사국군, 난주 공국군, 성주 공국군으로 구성된다.(명목상)
왕립 평사국군은 아래와 같다.
왕립 기갑척탄병 연대
왕립 해병여단
왕립 기갑연대
왕립 공수여단
제 21 ’최정석' 보병여단
제 101 ‘세씨’ 자동차화 보병여단
제 154 ‘귀족원’ 기계화 보병여단
제 23 ‘류세훈’ 보병여단
제 206 ‘시민원’ 혼성 기계화 보병여단
제 45 ‘세청아'기갑연대
제 47 ‘세연영’기갑연대
난주 공국군은 아래와 같다.
공작 해병연대(제 3 해병연대)
공작 보병여단(제 22 ‘오셀롯’ 보병여단)
성주 공국군은 아래와 같다.
공작 강하엽병연대(제 8 공수연대)
공작 기갑연대(제 49 ‘더베리몬드 3세’ 기갑연대)
== 상급사령부/지휘부/기관 ==
[[평사국/총참모부|총참모부]]
[[국방안보성]]
[[평사국/육군 총사령부|육군 총사령부]]
[[평사국/해군 총사령부|해군 총사령부]]
[[평사국/공군 총사령부|공군 총사령부]]
=== 기타 사령부 ===
[[예비군사령부]]
[[해병사령부]]
[[야전군 지휘부]]
== 육군 ==
[[평사국/육군 총사령부]]
ㄴ[[야전군 지휘부]]
ㄴ[[예비군사령부]]
집단군(1,500,000)
ㄴ야전군(200,000)
ㄴ군단(80,000)
ㄴ사단(15,000)
ㄴ여단(5000)
ㄴ연대(2500)
ㄴ대대(1000)
ㄴ중대(250)
ㄴ소대(50)
ㄴ분대(15)


[[분류:태평도 프로젝트]]
[[분류:태평도 프로젝트]]

2019년 5월 5일 (일) 23:58 기준 최신판

#!wiki style="border-width:5px 1px 1px;border-style:solid;border-color:crimson gray gray;padding:12px"
{{{+1 이 문서는 태평도 프로젝트의 공식 문서입니다.}}}[br][br]태평도 프로젝트 추진위원회 위원 이외의 편집을 금지합니다.

행정구역+

평사국 국가군
평사국 행정기.jpeg
기관명평사 국가군(Pingsa Nation Military force)
수반국왕 세청아, 총리 다논, 국방장관 공석, 총참모장 공석
산하기관왕립 평사국군, 난주 공국군, 성주 공국군
설립 시기1946/7/30

개요

평사국군은 명목상으로 평사국, 난주 공국, 성주 공국의 연합된 군대이며, 각 군의 총사령관은 국왕이 맡는다. 또한, 평시 지휘는 총리가 행한다.

평사국군은 왕립 평사국군, 난주 공국군, 성주 공국군으로 구성된다.(명목상)

왕립 평사국군은 아래와 같다.

왕립 기갑척탄병 연대 왕립 해병여단 왕립 기갑연대 왕립 공수여단

제 21 ’최정석' 보병여단 제 101 ‘세씨’ 자동차화 보병여단 제 154 ‘귀족원’ 기계화 보병여단 제 23 ‘류세훈’ 보병여단 제 206 ‘시민원’ 혼성 기계화 보병여단 제 45 ‘세청아'기갑연대 제 47 ‘세연영’기갑연대

난주 공국군은 아래와 같다.

공작 해병연대(제 3 해병연대) 공작 보병여단(제 22 ‘오셀롯’ 보병여단)

성주 공국군은 아래와 같다.

공작 강하엽병연대(제 8 공수연대) 공작 기갑연대(제 49 ‘더베리몬드 3세’ 기갑연대)

상급사령부/지휘부/기관

총참모부 국방안보성 육군 총사령부 해군 총사령부 공군 총사령부

기타 사령부

예비군사령부 해병사령부 야전군 지휘부

육군

평사국/육군 총사령부야전군 지휘부예비군사령부

집단군(1,500,000) ㄴ야전군(200,000) ㄴ군단(80,000) ㄴ사단(15,000) ㄴ여단(5000) ㄴ연대(2500) ㄴ대대(1000) ㄴ중대(250) ㄴ소대(50) ㄴ분대(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