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번째 줄: | 15번째 줄: | ||
* 2012년 7월 1일 개편된 행정구역이 적용되었다. | * 2012년 7월 1일 개편된 행정구역이 적용되었다. | ||
# 연성특별시 내호구가 양천구로 개명되었다. | # 연성특별시 내호구가 양천구로 개명되었다. | ||
# 경기도 양주시 양천면 양남리, 동호리 일대가 양천동으로 승격되었으며 잔여지역은 중면과 통합하여 양남읍으로 승격되었다.[* 신설읍이 양주시의 중앙이므로 | # 경기도 양주시 양천면 양남리, 동호리 일대가 양천동으로 승격되었으며 잔여지역은 중면과 통합하여 양남읍으로 승격되었다.[* 신설읍이 양주시의 중앙이므로 중앙읍으로 해야 한다는 의견과 2개의 동으로 승격시켜야 한다는 의견이 있었으나 결국에는 양남읍으로 승격되었다.] | ||
# 목단부 남구 해안동 일부(대안도, 만해도)가 서구 신해동으로 편입되었다.[* 주민들은 도로를 건설해달라고 난리지만 정작 남구는 무관심이었다.] | # 목단부 남구 해안동 일부(대안도, 만해도)가 서구 신해동으로 편입되었다.[* 주민들은 도로를 건설해달라고 난리지만 정작 남구는 무관심이었다.] | ||
# 만해광역시 광평군 이평면이 이평읍으로 승격되었으며 광평읍 만서리(灣西里), 만주리(灣洲里) 일대를 만서면(灣西面)으로 분리하였다. | # 만해광역시 광평군 이평면이 이평읍으로 승격되었으며 광평읍 만서리(灣西里), 만주리(灣洲里) 일대를 만서면(灣西面)으로 분리하였다. |
2019년 8월 10일 (토) 20:23 판
이 문서는 지방자치법 개정에 따른 문주국의 행정구역 개편 현황 및 논란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단순히 행정 구역의 역사를 보고 싶다면 문주국의 행정 구역 문서로 이동하길 바랍니다.
현황
1986년 행정구역 개편
1994년 행정구역 개편
지방자치제도가 시행되었다.
2006년 행정구역 개편
- 2006년도 행정구역 개편에 관련된 <지방자치법 개정안> 이 통과되어 특별부(수도부)는 특별시로 광역부는 광역시로, 특별자치부는 도로 개편되었다.. 다만 목단부가 광역부 폐지를 반대하고 나서자 광역부를 기존과 다른 형태로 유지하고 산하에 자치시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자치군은 설치할 수 있었으나 설치하지 않았다. 광역부(광역시) 최초의 자치군은 1997년에 설치된 만해부(灣海府) 광평군(光平郡)이다.
2012년 행정구역 개편
- 2011년 10월 25일, 국회 본회의에서 2012년도 행정구역 개편에 관련된 <지방자치법 개정안> 이 통과되었다.
- 2012년 7월 1일 개편된 행정구역이 적용되었다.
- 연성특별시 내호구가 양천구로 개명되었다.
- 경기도 양주시 양천면 양남리, 동호리 일대가 양천동으로 승격되었으며 잔여지역은 중면과 통합하여 양남읍으로 승격되었다. 신설읍이 양주시의 중앙이므로 중앙읍으로 해야 한다는 의견과 2개의 동으로 승격시켜야 한다는 의견이 있었으나 결국에는 양남읍으로 승격되었다.
- 목단부 남구 해안동 일부(대안도, 만해도)가 서구 신해동으로 편입되었다. 주민들은 도로를 건설해달라고 난리지만 정작 남구는 무관심이었다.
- 만해광역시 광평군 이평면이 이평읍으로 승격되었으며 광평읍 만서리(灣西里), 만주리(灣洲里) 일대를 만서면(灣西面)으로 분리하였다.
- 2013년 1월 1일부로 능강시가 능강특별자치시로 승격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