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대 통일 대한민국 국회: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 국회의원 == ||<-5><bgcolor=#EEEEEE><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제6대 통일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 결과[br](재적 300석)'''|| ||<bgcolor=#18...)
 
 
1번째 줄: 1번째 줄:
== 국회의원 ==
== 국회의원 ==
||<-5><bgcolor=#EEEEEE><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제6대 통일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 결과[br](재적 300석)'''||
||<-5><bgcolor=#EEEEEE><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제1대 통일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 결과[br](재적 400석)'''||
||<bgcolor=#1870B9><width=20%><:>[[더불어민주당|{{{#FFFFFF 더불어민주당}}}]]||<bgcolor=#C01920><width=20%><:>[[새누리당|{{{#FFFFFF 새누리당}}}]]||<bgcolor=#006241><width=20%><:>[[국민의당|{{{#FFFFFF 국민의당}}}]]||<bgcolor=#FFCC00><width=20%><:>[[정의당|{{{#000000 정의당}}}]]||<bgcolor=#808080><width=20%><:>[[무소속|{{{#FFFFFF 무소속}}}]]||
||<bgcolor=#1870B9><width=20%><:>{{{#FFFFFF 통합민주당}}}||<bgcolor=#C01920><width=20%><:>{{{#FFFFFF 새한국당}}}||<bgcolor=#99004C><width=20%><:>{{{#FFFFFF 통일국민당 }}}||<bgcolor=#22741C><width=20%><:>{{{#FFFFFF 자유공화당}}}||<bgcolor=#808080><width=20%><:>{{{#FFFFFF 무소속}}}||
||<:>123석||<:>122석||<:>38석||<:>6석||<:>11석||
||<:>187석||<:>123석||<:>38석||<:>29석||<:>23석||
 
 
||<-8><bgcolor=#EEEEEE><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차기 총선 직전 의석수[br](재적 400석)'''||
||<bgcolor=#1870B9><width=20%><:>{{{#FFFFFF 통합민주당}}}||<bgcolor=#C01920><width=20%><:>{{{#FFFFFF 새한국당}}}||<bgcolor=#99004C><width=20%><:>{{{#FFFFFF 통일국민당 }}}||<bgcolor=#22741C><width=20%><:>{{{#FFFFFF 자유공화당}}}||<bgcolor=#808080><:>{{{#FFFFFF 무소속}}}||
||<:>191석||<:>125석||<:>43석||<:>31석||<:>10석||
 
==구성==
이북 지역 : '''지역구 73 비례 27'''
이남 지역 : '''지역구 237 비례 63'''
 
==결과==
최초로 이북 지역의 주민들이 투표에 참여한 선거이자 이남 지역의 유력 정치인들이 모두 사라진 상태에서의 총선이었는데, 그 결과는 DJ 계열과 친노 계열의 합작으로 생겨난 [[통합민주당]]이 압승했다. 이북 기반으로 탄생한 정당인 통일국민당이 이북에서 확보한 의석수인 36석과 단 1석 차이가 나는 등 대부분의 지역에서 선전했다. 통합민주당 [[정원일]] 대표는 [http://koreanews.com/gktk3422gfj 통일 대한민국 시대를 여는 역사적인 승리]라고 자평했다.
 
===분석===
 
==과정==
 




||<-8><bgcolor=#EEEEEE><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2020년 1월 3일 현재 의석 현황[br](재적 300석)'''||
||<bgcolor=#1870B9><width=25%><:>[[더불어민주당|{{{#FFFFFF 더불어민주당}}}]]||<bgcolor=#C01920><width=25%><:>[[자유한국당|{{{#FFFFFF 자유한국당}}}]]||<bgcolor=#00B4B4><width=25%><:>[[바른미래당|{{{#FFFFFF 바른미래당}}}]]||<bgcolor=#FFCC00><width=25%><:>[[정의당|{{{#000000 정의당}}}]]||
||<:>1석||<:>2석||<:>3석||<:>5석||
||<bgcolor=#43B02A><:>[[민주평화당|{{{#FFFFFF 민주평화당}}}]]||<bgcolor=#495549><:>[[우리공화당|{{{#FFFFFF 우리공화당}}}]]||<bgcolor=#EE5927><:>[[민중당(2017년)|{{{#FFFFFF 민중당}}}]]||<bgcolor=#808080><:>[[무소속|{{{#FFFFFF 무소속}}}]]||
||<:>1석||<:>2석||<:>1석||<:>25석||


[[분류:드림 유니버스]]
[[분류:드림 유니버스]]

2020년 1월 6일 (월) 17:32 기준 최신판

국회의원

제1대 통일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 결과
(재적 400석)
통합민주당새한국당통일국민당 자유공화당무소속
187석123석38석29석23석


차기 총선 직전 의석수
(재적 400석)
통합민주당새한국당통일국민당 자유공화당무소속
191석125석43석31석10석

구성

이북 지역 : 지역구 73 비례 27 이남 지역 : 지역구 237 비례 63

결과

최초로 이북 지역의 주민들이 투표에 참여한 선거이자 이남 지역의 유력 정치인들이 모두 사라진 상태에서의 총선이었는데, 그 결과는 DJ 계열과 친노 계열의 합작으로 생겨난 통합민주당이 압승했다. 이북 기반으로 탄생한 정당인 통일국민당이 이북에서 확보한 의석수인 36석과 단 1석 차이가 나는 등 대부분의 지역에서 선전했다. 통합민주당 정원일 대표는 통일 대한민국 시대를 여는 역사적인 승리라고 자평했다.

분석

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