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경제국 황립군: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7번째 줄: 17번째 줄:
[[대경제국 총리대신]] [[문재인(대경제국)|문재인]](사실상)
[[대경제국 총리대신]] [[문재인(대경제국)|문재인]](사실상)
|국방장관 = [[대경제국 국방부 대신]] [[정경두]]  
|국방장관 = [[대경제국 국방부 대신]] [[정경두]]  
|합참의장 = [[대경제국 황립총참모장]] 박한기  
|합참의장 = [[대경제국 황립합동참모의장]] 박한기  
|예산 =  44조 9152억<br/> 376억 4,895만 달러
|예산 =  44조 9152억<br/> 376억 4,895만 달러
|GDP 대비 = 3.5% (2018)
|GDP 대비 = 3.5% (2018)
31번째 줄: 31번째 줄:
[[대경제국]]의 군(軍)이다.
[[대경제국]]의 군(軍)이다.
==상세==
==상세==
[[대경제국]]의 정규군(正規軍)으로 육군, 해군, 공군의 3군체제이다. 해군에는 해병대를 두고, 황립군의 통수권자는 헌법과 법률에 따라 [[대경제국 황제]]에게 있다.[* [[대경제국 헌법|헌법]] 제10조 1항 - 황제 폐하는 제1장 총강에 따라 대경제국의 국가원수이시고 이외 '''대경제국 황립군의 총통수권자'''이시며 대경제국 황실의 수장이시다.] [[대경제국]]의 [[대경제국 지리|영토]]와 [[경국인|국민]], 재산을 수호하는 임무가 있다. [[대경민국]] 시절 발달된 [[대경제국 황립공군|공군]]과 [[대경제국 황립해군|해군]]을 통해 동북아시아에서 제해권·제공권을 움켜쥐고 있다. 허나 [[대경제국 황립육군|육군]]의 역량이 [[순지]]와 [[만주(대경제국)|만주]] 북부에 위치한 [[러시아 연방(대경제국)|러시아 연방]]과 [[대경해협]]을 경계로 하고 있는 남부의 [[일본국 (킹덤 오브 킹덤)|일본]]에 비해 너무 약한게 흠이며, 이때문에 러시아 연방으로부터 잦은 [[러시아의 대경 군사 도발사|군사적 도발]]을 받고 있다. 기계화 사단은 어느 정도 갖추었으나, 병력 면에서 국경 수비 역량을 겨우 채우는 실정(實情)인지라 틈만 나면 러시아가 군사 도발을 할 수 있는 여건을 제공한다.
초기 [[대경민국]] 시절의 군인 [[대경민국 국군]](大敬民國 國軍)은 [[주경미군]]의 공조 하에 군비를 확장하고 있었다. 게다가 그 당시에는 [[박정희(대경제국)|박정희]] 군사정권 집권기여서 군에 대한 비중이 높았던 시기이기도 해서 [[미국(킹덤 오브 킹덤)|미국]]의 공조, 군사정부 집권, 호전되어 가는 경제 상황이 겹쳐 군비 확장에 초점을 맞출 수 있게 됐다. 그 중 미군과 [[대경민국]] 군 참모들의 협력으로 생긴 [[청룡계획]]에 따라 군비 확장은 50%가 해군으로, 30%가 공군, 20%가 육군으로 들어갔다. [* 허나 박정희를 비롯한 군사정권 설립의 주도 세력이 '''육군'''이었고 박정희가 육군 부문 군비 확장안을 ''유예''시키자 [[김재규]]의 박정희 [[10.26 사태|암살 계획]]을 '''지원'''하는가 하면, 후일 등장하는 신군부의 주축 세력으로 들어갔을 정도로 박정희 군사정부 말기에 박정희에 대한 신임이 땅에 떨어지는 원인이 된다.] 하지만 친미파로서 미국의 세력권 하에 있던 대경민국은 제2제정이 복고되자 [[김영삼(대경제국)|김영삼]]과 [[김대중(대경제국)|김대중]]을 비롯한 중립외교정책을 추구하던 정치인들이 [[대경제국 내각|내각]]을 주도하면서 '중립외교정책'을 시행함에 따라 대경제국과 미국의 군사적 협력은 잠정 중단된다.[* 한편 [[김영삼 내각(대경제국)|김영삼 내각]]이 주경미군에 대한 철수를 미국에 요구하고 미국도 [[대경제국]]에 대한 전략적 위치의 역할이 상실됐다 판단하여 [[주경미군]]의 완전철수를 실시한다. 이후 주경미군은 [[주일미군(킹덤 오브 킹덤)|주일미군]]으로 인적합병이 된다.]
[[대경제국]]은 문민통제에 대한 트라우마가 많았는데, 정체(政體)가 [[5.16 군사 쿠데타 (대경제국)|갈아 엎어지는가 하면]] [[대경제국 제1제국|제1제국]] 시기에 일어났던 [[제2차 경일전쟁]]때도 군의 항명 사태가 끊임없이 일어났다. 이후 제2제정 복벽이 단행되고 대경제국은 철저한 문민통제정책을 실행, [[하나회(대경제국)|하나회]]라는 군인들의 정치단체를 해산시키고 문민 사무관들을 군의 여러 보직에 임명하여 군을 감시했다.[* 하지만 이러한 과도한 문민통제가 '''전시'''에는 무척 위험할 수 있다. 자세한 건 아래 비판 문서에서 확인.]
황립군의 군사력 순위는 세계 11위로--육군이 다 갉아먹는다.-- 10위권에 근접한 준수한 군사력을 가지고 있다. 해군력만 치면 세계 2위, 공군력은 세계 9위이며 육군력은 세계 10위~9위를 오르락 내리락하고 있다.
==이름==
==이름==
정식 명칭은  '''대경제국 황립군(大敬帝國 皇立軍)'''으로 불리며 이 표제어를 통해서도 이 문서에 들어갈 수 있다. 별칭으로 대경제국을 뺀 '황립군(皇立軍)'을 쓰거나 국군(國軍)이란 표현도 쓴다.
==수뇌부==
==수뇌부==
{| class="wikitable"   
|-
!직책명 !! 황립군통수권자[br]皇立軍 統帥權者 !! 총리대신[br]總理大臣 !! 국방부대신[br]國防部大臣 !! 황립합동참모의장[br]皇立合同參謀議長 !! 황립육군참모총장[br]皇立陸軍參謀總長 !! 황립해군참모총장[br]皇立海軍參謀總長
|-
| 초상화 || [[파일:전황제 이원.png|125px]] || [[파일:문재인 총리대신(대경제국).jpg|125px]] || [[파일:정경두.png|125px]] || [[파일:박한기.png|125px]] || [[파일:서욱.png|125px]] || [[파일:심승섭.png|125px]]
|-
| 이름 || [[전황제 이원|이원]] || [[문재인(대경제국)|문재인]] || [[정경두]] || [[박한기]] || [[서욱]] || [[심승섭]]
|-
| 취임일 || 2017년 10월 25일 || 2017년 5월 12일 || 2018년 9월 21일 || 2018년 10월 11일 || 2019년 4월 16일 || 2018년 7월 19일
|}
{| class="wikitable"   
|-
!직책명 !! 황립공군참모총장[br]皇立空軍參謀總長 !! 호국위원장 겸 호국경[br]護國委員長 兼 護國卿 !! 지상작전사령관[br]地上作戰司令官 !! 제2작전사령관[br]第二作戰司令官 !! 국방부정무차관[br]國防部政務次官 !! 황립군총무부장[br]皇立軍總務府長
|-
| 초상화 || [[파일:원인철.png|125px]] || [[파일:배연소.png|125px]] || [[파일:남영신.png|125px]] || [[파일:황인권.jpg|125px]] || [[파일:박재민.jpg|125px]] || [[파일:김수남.png|125px]]
|-
| 이름 || [[원인철]] || [[배연소]] || [[남영신]] || [[황인권]] || [[박재민]] || [[김수남]]
|-
| 취임일 || 2019년 4월 16일 || 2019년 5월 8일 || 2019년 4월 16일 || 2018년 10월 5일 || 2019년 5월 23일 || 2019년 6월 10일
|}
※2019년 12월 기준
==급여==
==급여==
==교육 · 훈련==
==교육 · 훈련==
41번째 줄: 67번째 줄:
==특징==
==특징==
==비판==
==비판==
===취약한 육군===
1993년 이후로 [[미국(킹덤 오브 킹덤)|미국]]과의 군사 협력을 끝낸 [[대경제국 내각|행정부]]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과의 군사적 유대 관계를 증진하는 한편, 그동안 약했던 육군에 대한 투자 비용을 계속 대규모 확장했지만 '''모병제'''로 인한 인적자원 부족, 육군에 대한 인지도 하락, 육군 영내 부실한 생활환경 의혹, 육군과 해군에 대한 차별 대우 등의 문제가 겹쳐 육군 증강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상하게 일본은 열도로 이루어진 국가이지만 육군이 발달되있고 오히려 [[대경제국]]은 반도와 대륙에 걸친 국경이 엄청 긴 나라인데도 불구하고 해군이 발달되있다. 이는 수차례 말했지만 미국의 군사 계획의 영향도 있었지만 복벽 초기 행정부의 안일한 군사정책에서 중요한 원인을 찾을 수 있다. [[노태우 내각(대경제국)|노태우 내각]]이 [[김영삼 내각(대경제국)|김영삼 내각]]으로 교체되고 '''문민행정부'''라는 슬로건을 내세운 김영삼 내각은 군은 재끼고 내정(경제, 사회, 문화 전반)에 집중한다. 행정부는 단순하게도 '중국은 [[천안문 혁명|혁명]]으로 민주화가 진행 중에 있고, 러시아는 [[소비에트사회주의공화국연방(킹덤 오브 킹덤)|소련]]의 붕괴로 잦은 혼란이 있어 육지에서는 감히 대경제국과 적대적인 국가가 없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오로지 해군과 공군에만 투자했다.--푸틴: ?--[* 이렇게 어이 없는 군사 정책을 실시하면서도 주경미군을 미국으로의 철수를 요구한 김영삼 내각은 전형적인 내정형 내각이었다. 군사적으로 보면 한심한 작태가 아닐 수 없었다.] 그래도 김영삼 내각 후반기에 다시금 육군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며, 전문가들을 내각에 기용해 육군에 대한 발전을 논의했--지만 [[대경제국 주가 폭락 사태|주식 폭락 위기]]--고 [[국민회의 내각(대경제국)|2]][[노무현 내각(대경제국)|번]]의 진보정당의 집권기에 육군의 군비 확장을 본격적으로 실시하기도 했으나, 현재의 상황만 봐도 그 결과가 어떠했는지 알 수 있다.
==사건사고==
==사건사고==
==참전 경력==
==참전 경력==

2020년 1월 11일 (토) 00:30 판

군기.png
대경제국 황립군
大敬帝國 皇立軍
대경제국군
대경제국 황립육군대경제국 황립해군대경제국 황립공군
대경제국 황립군

Korea Empire Armed Forces
大敬帝國 皇立軍

군기.png
창립일 1987년 10월 1일
국적 대경제국
편제 육군: 195,000명
해군: 70,486명 해군: 60,246명, 해병대: 10,240명
공군: 65,550명
총합: 331,036명(2018년)
충원방식 모병제
상비군 331,036명 (2018년)
예비군 약 1,500,000명 (2018년)
지휘체계
명령체계 대경제국 국방부
대경제국 황립총참모본부
본부 청경특별자유시
통수권자 대경제국 황제 전황제 이원(명목상)

대경제국 총리대신 문재인(사실상)

국방장관 대경제국 국방부 대신 정경두
합참의장 대경제국 황립합동참모의장 박한기
군사비
예산 44조 9152억
376억 4,895만 달러
GDP 대비 3.5% (2018)
정부재정 대비 1.9% (2018)
방위산업
국내 공급 주요 공급 업체의 목록
해외 공급 주요 공급 국가의 목록
함께 읽기

개요

대경제국의 군(軍)이다.

상세

대경제국의 정규군(正規軍)으로 육군, 해군, 공군의 3군체제이다. 해군에는 해병대를 두고, 황립군의 통수권자는 헌법과 법률에 따라 대경제국 황제에게 있다. 헌법 제10조 1항 - 황제 폐하는 제1장 총강에 따라 대경제국의 국가원수이시고 이외 대경제국 황립군의 총통수권자이시며 대경제국 황실의 수장이시다. 대경제국영토국민, 재산을 수호하는 임무가 있다. 대경민국 시절 발달된 공군해군을 통해 동북아시아에서 제해권·제공권을 움켜쥐고 있다. 허나 육군의 역량이 순지만주 북부에 위치한 러시아 연방대경해협을 경계로 하고 있는 남부의 일본에 비해 너무 약한게 흠이며, 이때문에 러시아 연방으로부터 잦은 군사적 도발을 받고 있다. 기계화 사단은 어느 정도 갖추었으나, 병력 면에서 국경 수비 역량을 겨우 채우는 실정(實情)인지라 틈만 나면 러시아가 군사 도발을 할 수 있는 여건을 제공한다. 초기 대경민국 시절의 군인 대경민국 국군(大敬民國 國軍)은 주경미군의 공조 하에 군비를 확장하고 있었다. 게다가 그 당시에는 박정희 군사정권 집권기여서 군에 대한 비중이 높았던 시기이기도 해서 미국의 공조, 군사정부 집권, 호전되어 가는 경제 상황이 겹쳐 군비 확장에 초점을 맞출 수 있게 됐다. 그 중 미군과 대경민국 군 참모들의 협력으로 생긴 청룡계획에 따라 군비 확장은 50%가 해군으로, 30%가 공군, 20%가 육군으로 들어갔다. 허나 박정희를 비롯한 군사정권 설립의 주도 세력이 육군이었고 박정희가 육군 부문 군비 확장안을 유예시키자 김재규의 박정희 암살 계획지원하는가 하면, 후일 등장하는 신군부의 주축 세력으로 들어갔을 정도로 박정희 군사정부 말기에 박정희에 대한 신임이 땅에 떨어지는 원인이 된다. 하지만 친미파로서 미국의 세력권 하에 있던 대경민국은 제2제정이 복고되자 김영삼김대중을 비롯한 중립외교정책을 추구하던 정치인들이 내각을 주도하면서 '중립외교정책'을 시행함에 따라 대경제국과 미국의 군사적 협력은 잠정 중단된다. 한편 김영삼 내각이 주경미군에 대한 철수를 미국에 요구하고 미국도 대경제국에 대한 전략적 위치의 역할이 상실됐다 판단하여 주경미군의 완전철수를 실시한다. 이후 주경미군은 주일미군으로 인적합병이 된다. 대경제국은 문민통제에 대한 트라우마가 많았는데, 정체(政體)가 갈아 엎어지는가 하면 제1제국 시기에 일어났던 제2차 경일전쟁때도 군의 항명 사태가 끊임없이 일어났다. 이후 제2제정 복벽이 단행되고 대경제국은 철저한 문민통제정책을 실행, 하나회라는 군인들의 정치단체를 해산시키고 문민 사무관들을 군의 여러 보직에 임명하여 군을 감시했다. 하지만 이러한 과도한 문민통제가 전시에는 무척 위험할 수 있다. 자세한 건 아래 비판 문서에서 확인. 황립군의 군사력 순위는 세계 11위로육군이 다 갉아먹는다. 10위권에 근접한 준수한 군사력을 가지고 있다. 해군력만 치면 세계 2위, 공군력은 세계 9위이며 육군력은 세계 10위~9위를 오르락 내리락하고 있다.

이름

정식 명칭은 대경제국 황립군(大敬帝國 皇立軍)으로 불리며 이 표제어를 통해서도 이 문서에 들어갈 수 있다. 별칭으로 대경제국을 뺀 '황립군(皇立軍)'을 쓰거나 국군(國軍)이란 표현도 쓴다.

수뇌부

직책명 황립군통수권자
皇立軍 統帥權者
총리대신
總理大臣
국방부대신
國防部大臣
황립합동참모의장
皇立合同參謀議長
황립육군참모총장
皇立陸軍參謀總長
황립해군참모총장
皇立海軍參謀總長
초상화 전황제 이원.png 문재인 총리대신(대경제국).jpg 정경두.png 박한기.png 서욱.png 심승섭.png
이름 이원 문재인 정경두 박한기 서욱 심승섭
취임일 2017년 10월 25일 2017년 5월 12일 2018년 9월 21일 2018년 10월 11일 2019년 4월 16일 2018년 7월 19일
직책명 황립공군참모총장
皇立空軍參謀總長
호국위원장 겸 호국경
護國委員長 兼 護國卿
지상작전사령관
地上作戰司令官
제2작전사령관
第二作戰司令官
국방부정무차관
國防部政務次官
황립군총무부장
皇立軍總務府長
초상화 원인철.png 배연소.png 남영신.png 황인권.jpg 박재민.jpg 김수남.png
이름 원인철 배연소 남영신 황인권 박재민 김수남
취임일 2019년 4월 16일 2019년 5월 8일 2019년 4월 16일 2018년 10월 5일 2019년 5월 23일 2019년 6월 10일

※2019년 12월 기준

급여

교육 · 훈련

정년

인적 자원

역사

특징

비판

취약한 육군

1993년 이후로 미국과의 군사 협력을 끝낸 행정부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과의 군사적 유대 관계를 증진하는 한편, 그동안 약했던 육군에 대한 투자 비용을 계속 대규모 확장했지만 모병제로 인한 인적자원 부족, 육군에 대한 인지도 하락, 육군 영내 부실한 생활환경 의혹, 육군과 해군에 대한 차별 대우 등의 문제가 겹쳐 육군 증강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상하게 일본은 열도로 이루어진 국가이지만 육군이 발달되있고 오히려 대경제국은 반도와 대륙에 걸친 국경이 엄청 긴 나라인데도 불구하고 해군이 발달되있다. 이는 수차례 말했지만 미국의 군사 계획의 영향도 있었지만 복벽 초기 행정부의 안일한 군사정책에서 중요한 원인을 찾을 수 있다. 노태우 내각김영삼 내각으로 교체되고 문민행정부라는 슬로건을 내세운 김영삼 내각은 군은 재끼고 내정(경제, 사회, 문화 전반)에 집중한다. 행정부는 단순하게도 '중국은 혁명으로 민주화가 진행 중에 있고, 러시아는 소련의 붕괴로 잦은 혼란이 있어 육지에서는 감히 대경제국과 적대적인 국가가 없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오로지 해군과 공군에만 투자했다.푸틴: ? 이렇게 어이 없는 군사 정책을 실시하면서도 주경미군을 미국으로의 철수를 요구한 김영삼 내각은 전형적인 내정형 내각이었다. 군사적으로 보면 한심한 작태가 아닐 수 없었다. 그래도 김영삼 내각 후반기에 다시금 육군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며, 전문가들을 내각에 기용해 육군에 대한 발전을 논의했지만 주식 폭락 위기2의 진보정당의 집권기에 육군의 군비 확장을 본격적으로 실시하기도 했으나, 현재의 상황만 봐도 그 결과가 어떠했는지 알 수 있다.

사건사고

참전 경력

군대 문화

예산

인물

편제

운용 장비

주특기

기타

각주

둘러보기

대경제국 문장.png
대경제국
大敬帝國
Empire of Korea
대경제국의 역사대경제국의 문화대경제국의 정치대경제국의 경제대경제국의 사회대경제국의 교육대경제국의 군대
대경제국의 지리대경제국의 교통대경제국의 관광대경제국의 행정구역대경제국의 기업대경제국의 황실대경제국의 외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