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12번째 줄: |
12번째 줄: |
|
| |
|
| == 개요 == | | == 개요 == |
| 문주국의 추존왕이자 문주국 임시정부의 태왕이다. 고씨는 일본제국의 감시를 받기에 광명왕의 후손이자 순종의 외증손자인 강문영이 즉위하였다. 임시정부의 정부수반이였으므로 태왕은 아니었으며 후에 선조에 의해 추존되었으며 논란속에서 예종이 추존왕임을 확정하였다. | | 문주국의 추존왕이자 문주국 임시정부의 태왕이다. 고씨는 일본제국의 감시를 받기에 공선왕의 후손이자 순종의 외증손자인 강문영이 즉위하였다. 임시정부의 국가원수이자 정부수반이였으므로 태왕은 아니었다. 후에 선조에 의해 추존되었으며 논란속에서 경종이 추존왕임을 확실시하였다. |
|
| |
|
| {{틀:역대 문주국 태왕}} | | {{틀:역대 문주국 태왕}} |
2020년 1월 28일 (화) 00:37 기준 최신판
문주국의 추존왕 莊宗 宣義太王 장종 선의태왕 |
묘호 | 장종(莊宗) |
시호 | 선의태왕(宣義太王) |
연호 | 광복(光復) |
성씨 | 강(康) |
휘 | 문영(文映) |
출생 | 평성 |
사망 | 중화민국 충칭 |
왕자 | 강승원 |
능묘 | |
생몰 기간 |
개요
문주국의 추존왕이자 문주국 임시정부의 태왕이다. 고씨는 일본제국의 감시를 받기에 공선왕의 후손이자 순종의 외증손자인 강문영이 즉위하였다. 임시정부의 국가원수이자 정부수반이였으므로 태왕은 아니었다. 후에 선조에 의해 추존되었으며 논란속에서 경종이 추존왕임을 확실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