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리치아-로도메리아 공화국/역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이하의 내용은 설정상의 내용입니다. 국련 카페에서 아래 내용이 일어났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현실 11월 3일 이전 대 오스트리아 합중국...)
 
1번째 줄: 1번째 줄:
이하의 내용은 설정상의 내용입니다. 국련 카페에서 아래 내용이 일어났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
합의가 필요하여 확정되지 못한 내용은 * 로 표시함
  
현실 11월 3일 이전 대 오스트리아 합중국의 역사를 따름
+
1918년 제1차 세계대전 종전
  
현실 11월 4일 대 오스트리아 합중국 해체
+
1920년 갈리치아-로도메리아 (제1공화국) 독립 선포
현실 11월 5일 지역 내 잔존한 구 오스트리아군 병사들의 주도로 갈리치아-로도메리아 건국위원회 수립
 
현실 11월 6일 헌법 초안 제정, 갈리치아-로도메리아 공산당만을 인정하는 일당제 제헌선거 진행
 
현실 11월 7일 헌법 초안이 제헌인민의회에서 가결 및 공포
 
현실 11월 8일 FAC<ref>Former Austrian Currency, 구 오스트리아 화폐</ref> 회수 시작
 
현실 11월 9일 국내 모든 성인에게 전자시민권 발급 완료
 
현실 11월 10일 인민의회에서 톰 누크 서기장 선출, 톰 누크 서기장의 각 부 장관 임명
 
  
이후 역사는 세계관 내에서 발생하는 사건들의 영향을 받음
+
*1 1939년 9월 나치 독일이 다르큰과 갈리치아-로도메리아에 선전포고
  
==각주==
+
*1 1939년 10월 갈리치아-로도메리아 전 국토 함락
{{각주}}
+
 
 +
*1 1942년 2월 크라쿠프 봉기 발생, 나치 독일에 의한 유혈 진압
 +
 
 +
*1 1944년 9월 초 나치 독일의 대 연합국 강화로 해방 (제2공화국), 초대 대통령 루카스 슈비버거 취임
 +
 
 +
*2 1944년 9월 말 소련의 쿠르존 선 동쪽 지역 요구를 갈리치아-로도메리아 정부가 묵살하나, 다르큰은 수용함
 +
 
 +
*2 1944년 10월 초 소련이 갈리치아-로도메리아에 선전포고
 +
 
 +
*2 1944년 10월 말 렘베르크와 스타니슬라우 함락
 +
 
 +
*2 1944년 12월 혹독한 추위로 인한 양측 군의 손실으로 유의미한 공세가 진행되지 못하는 교착상태 발생
 +
 
 +
*3 1945년 3월 다르큰과 리베르티아의 아측 참전, 교착상태 지속
 +
 
 +
*3 1945년 7월 말 타데우시 쿠르체바 장군의 지휘 아래 '사자자리 대공세' 실행, 갈리치아-로도메리아의 렘베르크와 다르큰의 루츠크 탈환
 +
 
 +
*3 1945년 9월 제1차 세계대전 종전 직후의 국경을 기준으로 하는 평화 조약 체결
 +
 
 +
1946년 전후 혼란으로 인한 초인플레이션 발생
 +
 
 +
1947년 4월 전국적 시위 발생
 +
 
 +
1947년 6월 레그라몬스 세루트 경호실장이 루카스 슈비버거 대통령 시해, 일루수가 누고 부통령 권한대행으로 취임
 +
 
 +
1948년 8월 사회주의자였던 토비아스 트러플와퍼 장군의 쿠데타, 다르큰과 리베르티아에 의해 소련은 개입하지 못함
 +
 
 +
1948년 9월 5일 인민공화국 수립, 토비아스 트러플와퍼 장군 초대 서기장으로 취임
 +
 
 +
1951년 라디오 보급 운동 전개
 +
 
 +
1963년 1월 24일 토비아스 트러플와퍼 초대 서기장 서거, 제2대 서기장 엠 자타르모 취임
 +
 
 +
1968년 텔레비전 보급 운동 전개
 +
 
 +
1972년 11월 21일 타르누프 가스 폭발 사고 발생, 570명 사망
 +
 
 +
1982년 7월 24일 엠 자타르모 제2대 서기장 서거, 안나 마일리 제3대 서기장 취임 (여성 최초)
 +
 
 +
1984년 능력주의 경제개혁 운동 전개
 +
 
 +
1986년 1월 1일 근로기간에 따른 자동승진 폐지
 +
 
 +
1987년 1월 1일 해고제도 재도입
 +
 
 +
1987년 3월 순수 공산주의 추종자들의 전국적 파업과 시위 발생
 +
 
 +
1987년 7월 10일 안나 마일리 서기장이 파업세력을 반동으로 규정, 시위대에 무차별 발포 및 노조자산의 압류 지시
 +
 
 +
1987년 9월 4일 마지막 노조조직이 정부에 투항, 파업 사태 마무리
 +
 
 +
1990년 9월 1일 프로축구 90-91 시즌 개막 (전쟁 이후 최초)
 +
 
 +
1995년 5월 3일 안나 마일리 제3대 서기장 결혼을 사유로 퇴임, 라인하르트 빌헬름 제4대 서기장 취임
 +
 
 +
1997년 1월 1일 국영언론 보도시점 다각화 조치, 국가소유이긴 하나 자율적 운영이 보장되는 3개 언론사로 개편
 +
 
 +
1998년 1월 1일 반정부 발언에 대한 처벌을 규정했던 '정부품위보호법' 폐지, 예술분야 검열 완화
 +
 
 +
2002년 9월 1일 프로축구 2부리그 창설, 승강제 도입
 +
 
 +
2005년 5월 5일 제1회 실물 끝말잇기 대회 개최
 +
 
 +
2010년 6월 기록적인 홍수로 17명 사망 및 수천 명의 이재민 발생
 +
 
 +
2011년 크라카우 아레나 착공
 +
 
 +
2012년 1월 1일 전자신분증 발급 시작, 현금 회수 및 전산화 작업 시작
 +
 
 +
2014년 12월 31일 마지막 현금 거래를 끝으로 모든 경제적 거래 전산화
 +
 
 +
2014년 3월 7일 크라카우 아레나 완공
 +
 
 +
2016년 9월 1일 크라카우 돔 착공
 +
 
 +
2020년 11월 13일 크라카우 돔 완공

2020년 11월 19일 (목) 21:02 판

합의가 필요하여 확정되지 못한 내용은 * 로 표시함

1918년 제1차 세계대전 종전

1920년 갈리치아-로도메리아 (제1공화국) 독립 선포

  • 1 1939년 9월 나치 독일이 다르큰과 갈리치아-로도메리아에 선전포고
  • 1 1939년 10월 갈리치아-로도메리아 전 국토 함락
  • 1 1942년 2월 크라쿠프 봉기 발생, 나치 독일에 의한 유혈 진압
  • 1 1944년 9월 초 나치 독일의 대 연합국 강화로 해방 (제2공화국), 초대 대통령 루카스 슈비버거 취임
  • 2 1944년 9월 말 소련의 쿠르존 선 동쪽 지역 요구를 갈리치아-로도메리아 정부가 묵살하나, 다르큰은 수용함
  • 2 1944년 10월 초 소련이 갈리치아-로도메리아에 선전포고
  • 2 1944년 10월 말 렘베르크와 스타니슬라우 함락
  • 2 1944년 12월 혹독한 추위로 인한 양측 군의 손실으로 유의미한 공세가 진행되지 못하는 교착상태 발생
  • 3 1945년 3월 다르큰과 리베르티아의 아측 참전, 교착상태 지속
  • 3 1945년 7월 말 타데우시 쿠르체바 장군의 지휘 아래 '사자자리 대공세' 실행, 갈리치아-로도메리아의 렘베르크와 다르큰의 루츠크 탈환
  • 3 1945년 9월 제1차 세계대전 종전 직후의 국경을 기준으로 하는 평화 조약 체결

1946년 전후 혼란으로 인한 초인플레이션 발생

1947년 4월 전국적 시위 발생

1947년 6월 레그라몬스 세루트 경호실장이 루카스 슈비버거 대통령 시해, 일루수가 누고 부통령 권한대행으로 취임

1948년 8월 사회주의자였던 토비아스 트러플와퍼 장군의 쿠데타, 다르큰과 리베르티아에 의해 소련은 개입하지 못함

1948년 9월 5일 인민공화국 수립, 토비아스 트러플와퍼 장군 초대 서기장으로 취임

1951년 라디오 보급 운동 전개

1963년 1월 24일 토비아스 트러플와퍼 초대 서기장 서거, 제2대 서기장 엠 자타르모 취임

1968년 텔레비전 보급 운동 전개

1972년 11월 21일 타르누프 가스 폭발 사고 발생, 570명 사망

1982년 7월 24일 엠 자타르모 제2대 서기장 서거, 안나 마일리 제3대 서기장 취임 (여성 최초)

1984년 능력주의 경제개혁 운동 전개

1986년 1월 1일 근로기간에 따른 자동승진 폐지

1987년 1월 1일 해고제도 재도입

1987년 3월 순수 공산주의 추종자들의 전국적 파업과 시위 발생

1987년 7월 10일 안나 마일리 서기장이 파업세력을 반동으로 규정, 시위대에 무차별 발포 및 노조자산의 압류 지시

1987년 9월 4일 마지막 노조조직이 정부에 투항, 파업 사태 마무리

1990년 9월 1일 프로축구 90-91 시즌 개막 (전쟁 이후 최초)

1995년 5월 3일 안나 마일리 제3대 서기장 결혼을 사유로 퇴임, 라인하르트 빌헬름 제4대 서기장 취임

1997년 1월 1일 국영언론 보도시점 다각화 조치, 국가소유이긴 하나 자율적 운영이 보장되는 3개 언론사로 개편

1998년 1월 1일 반정부 발언에 대한 처벌을 규정했던 '정부품위보호법' 폐지, 예술분야 검열 완화

2002년 9월 1일 프로축구 2부리그 창설, 승강제 도입

2005년 5월 5일 제1회 실물 끝말잇기 대회 개최

2010년 6월 기록적인 홍수로 17명 사망 및 수천 명의 이재민 발생

2011년 크라카우 아레나 착공

2012년 1월 1일 전자신분증 발급 시작, 현금 회수 및 전산화 작업 시작

2014년 12월 31일 마지막 현금 거래를 끝으로 모든 경제적 거래 전산화

2014년 3월 7일 크라카우 아레나 완공

2016년 9월 1일 크라카우 돔 착공

2020년 11월 13일 크라카우 돔 완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