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리핀(공동세계관 3채널):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onlyinclude>{{알림 상자
{{3채널 필리핀 공식 문서}}
|색 = #CE1126
|배경색 = #ffffff
|제목색 = #CE1126
|제목 = 본 문서는 [[가상국제연합 공동세계관 제 3채널]] 필리핀 공화국의 공식 문서입니다.
|본문 = 필리핀 공화국 법률에 의거하지 아니하고 무단으로 수정 및 추가하면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오타 또는 수정 요청은 직접 하지 마시고 관계자에게 문의 주세요
|왼쪽 그림 = Coat_of_arms_of_the_Philippines.svg
|왼쪽 그림 크기 = 350픽셀
}}</onlyinclude>


||||||<#0038A8><table align=right><table width=400><tablebordercolor=#0038A8><table align=right><:> {{{#white {{{+3 '''필리핀 공화국'''}}}[br]{{{+1 Republika ng Pilipinas[br]Republic of the Philippines }}}}}} ||
||||||<#0038A8><table align=right><table width=400><tablebordercolor=#0038A8><table align=right><:> {{{#white {{{+3 '''필리핀 공화국'''}}}[br]{{{+1 Republika ng Pilipinas[br]Republic of the Philippines }}}}}} ||
15번째 줄: 6번째 줄:
||||||<#0038A8><:>  {{{#white {{{ 상징 }}}}}} ||||
||||||<#0038A8><:>  {{{#white {{{ 상징 }}}}}} ||||
||||<#CE1126><:> {{{#white {{{ 표어 }}}}}} || 하느님, 사람들, 자연들, 그리고 우리 조국 ||
||||<#CE1126><:> {{{#white {{{ 표어 }}}}}} || 하느님, 사람들, 자연들, 그리고 우리 조국 ||
||||<#CE1126><:> {{{#white {{{ 국가 }}}}}} || 선택된 땅 ||
||||<#CE1126><:> {{{#white {{{ 국가 }}}}}} || [[필리핀의 국가|선택된 땅]] ||
||||<#CE1126><:> {{{#white {{{ 국화 }}}}}} || 삼파귀타 ||
||||<#CE1126><:> {{{#white {{{ 국화 }}}}}} || 삼파귀타 ||
||||||<#0038A8><:> {{{#white {{{ 역사 }}}}}} ||
||||||<#0038A8><:> {{{#white {{{ 역사 }}}}}} ||
||||||<:> 스페인으로부터 독립 선언 1898년 6월 12일
||||||<:> 스페인으로부터 독립 선언 1898년 6월 12일
필리핀 제1공화국 수립 1899년 1월 21일
[[필리핀 제1공화국(공동세계관 3채널)|필리핀 제1공화국]] 수립 1899년 1월 21일
필리핀 제도 도민정부 수립 1901년 7월 4일
필리핀 제도 도민정부 수립 1901년 7월 4일
필리핀 자치령 수립 1935년 5월 14일
[[필리핀 연방(공동세계관 3채널)|필리핀 자치령]] 1935년 5월 14일
필리핀 제2공화국 수립 1943년 10월 14일
[[필리핀 제2공화국(공동세계관 3채널)|필리핀 제2공화국]] 수립 1943년 10월 14일
필리핀 자치령 재수립 1945년 8월 15일
필리핀 자치령 재수립 1945년 8월 15일
필리핀 제3공화국 수립 1946년 7월 4일
[[필리핀 제3공화국(공동세계관 3채널)|필리핀 제3공화국]] 수립 1946년 7월 4일
필리핀 제4공화국 수립 1965년 12월 30일
[[필리핀 제4공화국(공동세계관 3채널)|필리핀 제4공화국]] 수립 1965년 12월 30일
필리핀 제5공화국 수립 1986년 2월 25일 ||
필리핀 제5공화국 수립 1986년 2월 25일 ||
||||||<:> [[파일:Philippines_on_the_globe_(Southeast_Asia_centered).svg]] ||
||||||<:> [[파일:Philippines_on_the_globe_(Southeast_Asia_centered).svg]] ||
||||||<#0038A8><:> {{{#white {{{ 지리 }}}}}} ||
||||||<#0038A8><:> {{{#white {{{ 지리 }}}}}} ||
||||<#CE1126><:> {{{#white {{{ 수도 }}}}}} || 마닐라 ||
||||<#CE1126><:> {{{#white {{{ 수도 }}}}}} || [[마닐라(공동세계관 3채널)|마닐라]] ||
||||<#CE1126><:> {{{#white {{{ 면적 }}}}}} || 343,448 km2/세계 ?위(?위권 이내) ||
||||<#CE1126><:> {{{#white {{{ 면적 }}}}}} || 343,448 km2/세계 ?위(?위권 이내) ||
||||<#CE1126><:> {{{#white {{{ 내수면 비율 }}}}}} || 0.6% ||
||||<#CE1126><:> {{{#white {{{ 내수면 비율 }}}}}} || 0.6% ||
44번째 줄: 35번째 줄:
||||<#CE1126><:> {{{#white {{{ 종교 }}}}}} || 국교 없음(정교분리)
||||<#CE1126><:> {{{#white {{{ 종교 }}}}}} || 국교 없음(정교분리)
기독교 92%(천주교 80%, 기타 개신교 12%), 이슬람교 5.57% ||
기독교 92%(천주교 80%, 기타 개신교 12%), 이슬람교 5.57% ||
||||<#CE1126><:> {{{#white {{{ 군대 }}}}}} || 필리핀군 ||
||||<#CE1126><:> {{{#white {{{ 군대 }}}}}} || [[필리핀군(공동세계관 3채널)|필리핀군]] ||
||||||<#0038A8><:> {{{#white {{{ 하위 행정구역 }}}}}} ||
||||||<#0038A8><:> {{{#white {{{ 하위 행정구역 }}}}}} ||
||||<#CE1126><:> {{{#white {{{ 지방 }}}}}} || 메트로 마닐라, 17개 지방, 1개 행정구, 1개 자치구 ||
||||<#CE1126><:> {{{#white {{{ 지방 }}}}}} || 메트로 마닐라, 17개 지방, 1개 행정구, 1개 자치구 ||
52번째 줄: 43번째 줄:
||||<#CE1126><:> {{{#white {{{ 정치 체제 }}}}}} || 공화국, 양원제, 대통령중심제 ||
||||<#CE1126><:> {{{#white {{{ 정치 체제 }}}}}} || 공화국, 양원제, 대통령중심제 ||
||<#CE1126><|4> {{{#white {{{ 정부요인 }}}}}} ||<#CE1126> {{{#white {{{ 대통령(국가원수) }}}}}} || 로드리고 두테르테 ||
||<#CE1126><|4> {{{#white {{{ 정부요인 }}}}}} ||<#CE1126> {{{#white {{{ 대통령(국가원수) }}}}}} || 로드리고 두테르테 ||
||<#CE1126><:> {{{#white {{{ 부총통 }}}}}} || 레니 로브레도 ||
||<#CE1126><:> {{{#white {{{ 부통령 }}}}}} || 레니 로브레도 ||
||<#CE1126><:> {{{#white {{{ 입법원장 }}}}}} || 아킬리노 피멘텔 3세 ||
||<#CE1126><:> {{{#white {{{ 상원의장 }}}}}} || 아킬리노 피멘텔 3세 ||
||<#CE1126><:> {{{#white {{{ 부입법원장 }}}}}} || 판탈레온 알바레스 ||
||<#CE1126><:> {{{#white {{{ 하원의장 }}}}}} || 판탈레온 알바레스 ||
||||<#CE1126><:> {{{#white {{{ 여당 }}}}}} || 민주당(필리핀) ||
||||<#CE1126><:> {{{#white {{{ 여당 }}}}}} || 민주당(필리핀) ||
||||||<#0038A8><:> {{{#white {{{ 경제 }}}}}} ||
||||||<#0038A8><:> {{{#white {{{ 경제 }}}}}} ||
||<#CE1126><|2> {{{#white {{{ 명목 GDP }}}}}}
||<#CE1126><|2> {{{#white {{{ 명목 GDP }}}}}}
||<#CE1126><:> {{{#white {{{ 전체 GDP }}}}}} || $$3,297억 1,600만 ||
||<#CE1126><:> {{{#white {{{ 전체 GDP }}}}}} || $3,297억 1,600만 ||
||<#CE1126><:> {{{#white {{{ 1인당 GDP }}}}}} || $3,280 ||
||<#CE1126><:> {{{#white {{{ 1인당 GDP }}}}}} || $3,280 ||
||<#CE1126><|2> {{{#white {{{ GDP(PPP) }}}}}}
||<#CE1126><|2> {{{#white {{{ GDP(PPP) }}}}}}
68번째 줄: 59번째 줄:
||||<#CE1126><:> {{{#white {{{ 외환보유액 }}}}}} || $812억 ||
||||<#CE1126><:> {{{#white {{{ 외환보유액 }}}}}} || $812억 ||
||<#CE1126><|2> {{{#white {{{ 화폐 }}}}}}
||<#CE1126><|2> {{{#white {{{ 화폐 }}}}}}
||<#CE1126><:> {{{#white {{{ 공식 화폐 }}}}}} || 필리핀 페소 ||
||<#CE1126><:> {{{#white {{{ 공식 화폐 }}}}}} || [[필리핀 페소(공동세계관 3채널)|필리핀 페소]] ||
||<#CE1126><:> {{{#white {{{ ISO 4217 }}}}}} || PHP ||
||<#CE1126><:> {{{#white {{{ ISO 4217 }}}}}} || PHP ||
||||||<#0038A8><:> {{{#white {{{ 단위 }}}}}} ||
||||||<#0038A8><:> {{{#white {{{ 단위 }}}}}} ||
||||<#CE1126><:> {{{#white {{{ 법정연호 }}}}}} || 중화민국(中華民國) ||
||||<#CE1126><:> {{{#white {{{ 법정연호 }}}}}} || 서력기원 ||
||||<#CE1126><:> {{{#white {{{ 시간대 }}}}}} || (UTC +8) ||
||||<#CE1126><:> {{{#white {{{ 시간대 }}}}}} || (UTC +8) ||
||||<#CE1126><:> {{{#white {{{ 도량형 }}}}}} || SI 단위 ||
||||<#CE1126><:> {{{#white {{{ 도량형 }}}}}} || SI 단위 ||
109번째 줄: 100번째 줄:


==== 가사 ====
==== 가사 ====
||<tablealign=center><#EEEEEE> [[필리핀어]] ||<#EEEEEE> [[한국어]] ||<#EEEEEE> [[영어]] ||<#EEEEEE> [[스페인어]] ||
{| class="wikitable"
|| Bayang magiliw,
|-
Perlas ng Silanganan.
! 필리핀어
! 영어
! 한국어
|-
|
Bayang magiliw,
Perlas ng silanganan,
Alab ng puso
Alab ng puso
Sa Dibdib mo'y buhay. ||<#EEEEEE> 사랑스러운 땅이여,
Sa dibdib mo’y buhay.
동방의 진주여,
 
마음의 열정은,
Lupang hinirang,
너의 가슴에 오래도록 살아 있다네. || Land of the morning
Duyan ka ng magiting,
Sa manlulupig
Di ka pasisiil.
 
Sa dagat at bundok,
Sa simoy at sa langit mong bughaw,
May dilag ang tula
At awit sa paglayang minamahal.
 
Ang kislap ng watawat mo’y
Tagumpay na nagniningning;
Ang bituin at araw niya,
Kailan pa ma’y di magdidilim.
 
Lupa ng araw, ng luwalhati’t pagsinta,
Buhay ay langit sa piling mo;
Aming ligaya na ‘pag may mang-aapi,
Ang mamatay nang dahil sa ‘yo.
|
Land of the morning
Child of the sun returning
Child of the sun returning
With fervor burning
With fervor burning
Thee do our souls adore. ||<#EEEEEE> Tierra adorada
Thee do our souls adore.
Hija del sol de Oriente,
 
Su fuego ardiente
Land dear and holy
En ti latiendo está. ||
||<#EEEEEE> Lupang Hinirang,
Duyan ka ng magiting,
Sa manlulupig
Di ka pasisiil || 선택된 땅이여,
너는 용감의 요람이네.
정복자로부터
당신은 항복하지 않을것이다. ||<#EEEEEE> Land dear and holy
Cradle of noble heroes
Cradle of noble heroes
Ne’er shall invaders
Ne’er shall invaders
Trample thy sacred shores. || Patria de amores!
Trample thy sacred shores.
Del heroísmo cuna,
 
Los invasores
Ever within thy skies and through thy clouds
No te hallarán jamás. ||
|| Sa dagat at bundok,
Sa simoy at sa langit mong bughaw,
May dilag ang tula
At awit sa paglayang minamahal. ||<#EEEEEE> 바다와 산을 넘어,
공기와 푸른 하늘을 넘어,
사랑스러운 자유 속에서
시와 노래의 훌륭함을 찾으리라. || Ever within thy skies and through thy clouds
And o’er thy hills and seas
And o’er thy hills and seas
Do we behold the radiance
Do we behold the radiance feel the throb
feel the throb
Of glorious liberty.
Of glorious liberty. ||<#EEEEEE> En tu azul cielo, en tus auras,
 
En tus montes y en tu mar
Thy banner dear to all our heartsIts sun and stars alight
Esplende y late el poema
De tu amada libertad. ||
||<#EEEEEE> Ang kislap ng watawat mo'y
Tagumpay na nagniningning,
Ang bituin at araw nya'y
Kailan pa ma'y di magdidilim. || 깃발의 불꽃은
승리를 빛나게 하네.
그대의 별과 해는 희미하지만
영원할 것이네. ||<#EEEEEE> Thy banner dear to all our hearts
Its sun and stars alight
Oh, never shall its shining fields
Oh, never shall its shining fields
Be dimmed by tyrants might! || Tu pabellón, que en las lides
Be dimmed by tyrants might!
La victoria iluminó,
 
No verá nunca apagados
Beautiful land of love, o land of light
Sus estrellas y su sol. ||
|| Lupa ng araw, ng luwalhati't pagsinta,
Buhay ay langit sa piling mo;
Aming ligaya, na pag may mang-aapi
Ang mamatay nang dahil sa iyo. ||<#EEEEEE> 영광과 애정, 태양의 나라여,
그대 품안에 천국이 있다네
그대를 위협하는 사람이 있으면
이 목숨 기꺼이 너에게 바치리라. || Beautiful land of love, o land of light
In thine embrace ’tis rapture to lie
In thine embrace ’tis rapture to lie
But it is glory ever, when thou art wronged
But it is glory ever, when thou art wronged
For us thy sons to suffer and die. ||<#EEEEEE> Tierra de dichas, del sol y amores,
For us thy sons to suffer and die.
En tu regazo dulce es vivir.
|
Es una gloria para tus hijos,
사랑스러운 땅이여,
Cuando te ofenden, por ti morir. ||
동방의 진주여,
마음속의 열정은,
그대 가슴에 오래도록 살아 있으리.
 
선택받은 땅이여,
그대, 용감의 요람이여.
정복자 앞에서
그대는 항복하지 않으리.
 
바다와 산을 넘어,
공기와 푸른 하늘을 넘어,
사랑스러운 자유 속에서
시와 노래의 훌륭함을 찾으리라.
 
불타오르는 깃발은
승리를 빛나게 하고.
그대의 별과 태양은 희미하지만
영원하리라.
 
영광스럽고 사랑스러운 태양의 나라여,
그대 품 안에 천국이 있네
누군가 그대를 위협할 때,
이 목숨 기꺼이 그대에게 바치리라.
|}


=== 국화 ===
=== 국화 ===
207번째 줄: 212번째 줄:
==각주==
==각주==
{{각주}}
{{각주}}
[[분류:필리핀(3채널)]]

2020년 11월 30일 (월) 20:43 기준 최신판

Coat of arms of the Philippines.svg 본 문서는 가상국제연합 공동세계관 제 3채널 필리핀 공화국의 공식 문서입니다.
필리핀 공화국 법률에 의거하지 아니하고 무단으로 수정 및 추가하면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오타 또는 수정 요청은 직접 하지 마시고 관계자에게 문의 주세요

필리핀 공화국
Republika ng Pilipinas
Republic of the Philippines
Flag of the Philippines.svgCoat of arms of the Philippines.svg
국기 국장
  상징
표어 하느님, 사람들, 자연들, 그리고 우리 조국
국가 선택된 땅
국화 삼파귀타
역사
스페인으로부터 독립 선언 1898년 6월 12일
필리핀 제1공화국 수립 1899년 1월 21일
필리핀 제도 도민정부 수립 1901년 7월 4일
필리핀 자치령 1935년 5월 14일
필리핀 제2공화국 수립 1943년 10월 14일
필리핀 자치령 재수립 1945년 8월 15일
필리핀 제3공화국 수립 1946년 7월 4일
필리핀 제4공화국 수립 1965년 12월 30일
필리핀 제5공화국 수립 1986년 2월 25일
Philippines on the globe (Southeast Asia centered).svg
지리
수도 마닐라
면적 343,448 km2/세계 ?위(?위권 이내)
내수면 비율 0.6%
인문 환경
인구
총인구 102,672,300명
민족구성 비사야족 33.8%, 타갈로그족 27.7%, 일로카노족 9.8%, 비콜라노족 6.8%, 모로족 5.1%, 카팜팡안족 3.1%, 이고로트족 1.7%, 팡가시난족 1.4%, 중국인 1.2%, 삼보앙가족 1.1%, 기타 8.3%
인구밀도 295명/km2/세계 32위
출산율 2.99명
언어
공용어 필리핀어(타갈로그어), 영어
국민어 스페인어
공용 문자 로마자
종교 국교 없음(정교분리)
기독교 92%(천주교 80%, 기타 개신교 12%), 이슬람교 5.57%
군대 필리핀군
하위 행정구역
지방 메트로 마닐라, 17개 지방, 1개 행정구, 1개 자치구
81개 주
마을(바랑가이) 41,995개 바랑가이
정치
정치 체제 공화국, 양원제, 대통령중심제
정부요인 대통령(국가원수) 로드리고 두테르테
부통령 레니 로브레도
상원의장 아킬리노 피멘텔 3세
하원의장 판탈레온 알바레스
여당 민주당(필리핀)
경제
명목 GDP
전체 GDP $3,297억 1,600만
1인당 GDP $3,280
GDP(PPP)
전체 PPP $8,117억
1인당 PPP $8,223
수출입액
수출액 $582억
수입액 $981억
외환보유액 $812억
화폐
공식 화폐 필리핀 페소
ISO 4217 PHP
단위
법정연호 서력기원
시간대 (UTC +8)
도량형 SI 단위
  ccTLD
.ph
  국가 코드
608, PHL, PH
  국제 전화 코드
+63
Coat of arms of the Philippines.svg

개요

필리핀 공화국, 이하 필리핀은 동남아시아에 위치한 루손 섬, 비사야스 제도, 민다나오 섬을 통치하는 동남아시아의 공화국이다.

상징

국호

국호인 Pilipinas(필리피나스)/Philippines(필리핀)은 펠리페 2세로부터 나왔다.

필리핀을 처음으로 찾은 유럽인인 스페인인 루이 로페스 데 비얄로보스(Ruy López de Villalobos)는 멕시코에서 출항하여 태평양을 건너 오늘날 필리핀 루손 섬에 도달했는데, 당시 스페인의 왕세자였던 펠리페 2세를 기려 이 지역의 이름을 펠리피나스(Felipinas)라고 붙였고, 이것이 필리핀 일대의 섬 전체를 이르는 말로 발전했다.

펠리페라는 이름은 영어로 필립(Philip)이라고 쓰므로 영어로는 Philippines라 부르게 되었고 한국어에서도 영어 이름을 따라 '필리핀'이라 하게 되었다. 한자로는 주로 비율빈(比律賓)

국기

Flag of the Philippines.svg
△ 필리핀의 국기

국기에서 푸른색은 이상, 붉은색은 용기, 흰색은 화합, 3개의 작은 별은 필리핀의 3대 섬[1]을 상징하며 거대한 8갈래의 햇살 무늬는 최초로 스페인에 대항한 8개 주[2]를 상징한다.

평시와 전시(戰時)의 국기가 다르다. 파란색 부분이 위로 향한 상태가 평시이며, 아래 사진과 같이 빨간색 부분이 위로 향한다면 전시를 의미한다. 계엄령이 선포될 경우에는 전시상태로 국기가 바뀐다.

국가

파일:Lupang Hinirang instrumental.ogg

가사

필리핀어 영어 한국어

Bayang magiliw, Perlas ng silanganan, Alab ng puso Sa dibdib mo’y buhay.

Lupang hinirang, Duyan ka ng magiting, Sa manlulupig Di ka pasisiil.

Sa dagat at bundok, Sa simoy at sa langit mong bughaw, May dilag ang tula At awit sa paglayang minamahal.

Ang kislap ng watawat mo’y Tagumpay na nagniningning; Ang bituin at araw niya, Kailan pa ma’y di magdidilim.

Lupa ng araw, ng luwalhati’t pagsinta, Buhay ay langit sa piling mo; Aming ligaya na ‘pag may mang-aapi, Ang mamatay nang dahil sa ‘yo.

Land of the morning Child of the sun returning With fervor burning Thee do our souls adore.

Land dear and holy Cradle of noble heroes Ne’er shall invaders Trample thy sacred shores.

Ever within thy skies and through thy clouds And o’er thy hills and seas Do we behold the radiance feel the throb Of glorious liberty.

Thy banner dear to all our heartsIts sun and stars alight Oh, never shall its shining fields Be dimmed by tyrants might!

Beautiful land of love, o land of light In thine embrace ’tis rapture to lie But it is glory ever, when thou art wronged For us thy sons to suffer and die.

사랑스러운 땅이여, 동방의 진주여, 마음속의 열정은, 그대 가슴에 오래도록 살아 있으리.

선택받은 땅이여, 그대, 용감의 요람이여. 정복자 앞에서 그대는 항복하지 않으리.

바다와 산을 넘어, 공기와 푸른 하늘을 넘어, 사랑스러운 자유 속에서 시와 노래의 훌륭함을 찾으리라.

불타오르는 깃발은 승리를 빛나게 하고. 그대의 별과 태양은 희미하지만 영원하리라.

영광스럽고 사랑스러운 태양의 나라여, 그대 품 안에 천국이 있네 누군가 그대를 위협할 때, 이 목숨 기꺼이 그대에게 바치리라.

국화

필리핀의 국화.jpg
△ 필리핀의 국화(삼파귀타)

필리핀의 국화는 삼파귀타(Sampaguita)이다.

국장

Coat of arms of the Philippines.svg
△ 필리핀의 국장

필리핀의 국장은 1946년에 제정되었다.

방패 가운데에는 하얀색 원 안에 금색 태양이 그려져 있으며 방패 상단에는 하얀색 바탕에 3개의 금색 별이 그려져 있다. 3개의 별은 필리핀의 주요 섬인 루손 섬, 비사야 제도, 민다나오 섬을 뜻하며 8개의 햇살은 최초로 스페인에 반기를 든 8개 주[3]를 뜻한다.

방패 하단 왼쪽에는 파란색 바탕에 독수리가 그려져 있으며 하단 오른쪽에는 빨간색 바탕에 금색 사자가 그려져 있다. 독수리와 사자는 각각 미국과 스페인을 뜻하며 식민 통치를 받았던 필리핀의 과거를 뜻한다. 방패 아래쪽에 있는 리본에는 필리핀의 공식 명칭인 "필리핀 공화국"("REPUBLIKA NG PILIPINAS")이 필리핀어로 쓰여져 있다.

역사

선사시대
선식민지 시대
스페인의 식민통치
미국과 스페인의 전쟁
필리핀 제1공화국
필리핀 연방
필리핀 제2공화국
필리핀 제3공화국
필리핀 제4공화국
필리핀 제5공화국

각주

  1. 루손, 비사야 제도, 민다나오
  2. 누에바에시하, 라구나, 마닐라, 바탕가스, 불라칸, 카비테, 딸락, 팜팡가
  3. 마닐라, 카비테 주, 불라칸 주, 팜팡가 주, 누에바에시하 주, 타를라크 주, 라구나 주, 바탕가스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