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라비시카 연방 공화국"의 두 판 사이의 차이

1번째 줄: 1번째 줄:
 +
||<table align=right><table width=400><bgcolor=#000000><-4><:>{{{#white {{{+1 '''시라비시카 연방공화국'''}}}[br]{{{+1 '''Federal Republic of Shirabisaka'''}}}}}}||
 +
||<:><-4>[[파일:시리바시카.png|width=200]]||
 +
||<-4><:><#FFE400>'''{{{#white 국기}}}''' ||
 +
||<:><-4>[[파일:시라비시카 국장.png|width=200]] ||
 +
||<-4><:><#CF142B>'''{{{#white 국장}}}''' ||
 +
||||<width=35%><bgcolor=#000000><:>{{{#white '''국호'''}}}||<-2><width=65%> 시라비시카 연방공화국 [br] Federal Republic of Shirabisaka ||
 +
||<bgcolor=#CF142B><|4><:>{{{#white '''상징'''}}}||<width=25%><bgcolor=#CF142B><:>{{{#white '''국가'''}}}||<-2> 국민을 위하여 ||
 +
||<bgcolor=#FFE400><:>{{{#Black '''국화'''}}}||<-2> 장미 ||
 +
||<bgcolor=#000000><:>{{{#white '''국조'''}}}||<-2> 독수리 ||
 +
||<bgcolor=#CF142B><:>{{{#white '''표어'''}}}||<-2> '''모든 주권은 국민에게''' ||
 +
||<bgcolor=#CF142B><|1><:>{{{#white '''자연환경'''}}}||<bgcolor=#000000><:>{{{#white '''면적(영토)'''}}}||<-2> 2,486,330km² ||
 +
||<bgcolor=#CF142B><|3><:>{{{#white '''인문환경'''}}}||<bgcolor=#FFE400><:>{{{#Black '''인구'''}}}||<-2>  21,244,036명 ||
 +
||<bgcolor=#CF142B><:>{{{#white '''인구밀도'''}}}||<-2> 25km²  ||
 +
||<bgcolor=#000000><:>{{{#white '''공용 언어'''}}}||<-2> 공용 언어 ||
 +
||<bgcolor=#CF142B><|4><:>{{{#white '''정치'''}}}||<bgcolor=#CF142B><:>{{{#white '''국체'''}}}||<-2> 입헌군주제 ||
 +
||<bgcolor=#CF142B><:>{{{#white '''정부형태'''}}}||<-2>  공화제,연방제,이원집정부제,양원제||
 +
||<bgcolor=#CF142B><:>{{{#white '''대통령'''}}}||<-2> 제임스 소프타르 ||
 +
||<bgcolor=#CF142B><:>{{{#white '''총리'''}}}||<-2> 마티엘 존슨 {{{#Green 민주당}}} ||
 +
||<bgcolor=#CF142B><|5><:>{{{#white '''경제'''}}}||<bgcolor=#CF142B><:>{{{#white '''GDP'''}}}||<-2> $1,144,383,000,000 ||
 +
||<bgcolor=#CF142B><:>{{{#white '''1인당 GDP'''}}}||<-2> $53,868 ||
 +
||<bgcolor=#CF142B><:>{{{#white '''총 PPP'''}}}||<-2> $1,179,352,000,000 ||
 +
||<bgcolor=#CF142B><:>{{{#white '''1인당 PPP'''}}}||<-2> $55,514 ||
 +
||<bgcolor=#CF142B><:>{{{#white '''공식 화폐'''}}}||<-2> 시라 ||
  
||||<table bordercolor=#000000><tablealign=right><#FFE400><-2> {{{+2 {{{#black '''시라비시카 연방 공화국 [br] Shirabishika Federal Republic'''}}}}}} ||
 
||||<#FFE400> {{{#black 국기}}} ||
 
|||| [[파일:시리바시카.png|width=300]] ||
 
||||<#FFE400> {{{#black 국장}}} ||
 
|||| [[파일:정부.png|width=300]] ||
 
||<#FFE400> {{{#black 면적}}} || 5,000,000 km² ||
 
||<#FFE400> {{{#black 설정상 인구}}} || 218,093,679명 ||
 
||<#FFE400> {{{#black 수도}}} ||  [[시라비아코 도]] ||
 
||<#FFE400> {{{#black 공용어}}} || 영어 ||
 
||<#FFE400> {{{#black 국가}}} || 민주혁명가 ||
 
||<#FFE400> {{{#black 정치체제}}} || 사회민주주의 ||
 
||<#FFE400> {{{#black  대통령}}} || 존 그리즐리 {{{#Orange (민주연합당)}}} ||
 
||<#FFE400> {{{#black 총리}}} || 라키 제리코  {{{#green (민주당)}}}  ||
 
||<#FFE400> {{{#black 통화}}} || 시라($)(1시라=1000원) ||
 
||<#FFE400> {{{#black GDP}}} || 13,554,958,337,208$ ||
 
||<#FFE400> {{{#black 1인당 GDP }}} || 62,152$ ||
 
||<#FFE400> {{{#black 주소}}} || (폐쇄) ||
 
  
  
 
== 개요 ==
 
== 개요 ==
네이션즈 前 연재자, 現 가상국제연합 연재자가 연재하는 국가입니다.
 
  
== 시라비시카란?  ==
+
||<table align=center><bgcolor=#f7f7f7> <center><div style="margin: -4px -9px">[[파일:라카니오_전경.jpg.jpg|800px]]</div><div style="margin: -5px -9px"></center> ||
|||| [[파일:지역명.png]] |||
+
||<table width=500><table bordercolor=#FF0000><#FFD800> {{{#000000 시라비시카의 대표도시 라카니오의 전경}}} ||
네이션스의 시라비시카의 지도
 
  
'''네이션즈에서 유일한 선임연재국'''
+
시라비시카는 3관 북유럽에 있는 스칸디나비아의 강국이며 약칭은 영문 약칭은 FRS 영문 전체는 Federal Republic of Syrabifika로 표기한다.  
 
 
시라비시카는 네이션스에 존재하는 1인가국으로서 네이션즈내의 '''유일한 선임연재국'''입니다.  
 
  
 
== 시라비시카의 역사 ==
 
== 시라비시카의 역사 ==
시라비시카는 1765년 독립전쟁을 통해 건국한 나라로 당시 국호는 "신성 시라비시카 제국"으로 시작하여 전체군주제의 국가로 출범하였지만 1830년 최초의 민주화 운동인 "시라비시카 민주항쟁"으로 국호를 '시라비시카 제국'으로 개정하고 소수인들에게 투표권을 주는등 여러 파격적인 행보를 보였지만 2번의 경제공황과 1970년 민주정부 몰락으로 인한 전체주의 정부가 들어서게 되면서 1995년까지 "시라비시카 인민 공화국"이라는 암흑기가 시작되었으며 인민공화국의 내전으로 인한 붕괴때까지 공포정치를 하면서 여러 민주화 운동인들이 탄압받기도 하였습니다.
+
(블로그에 작성되어있으나 추후 삽입예정)
 
 
이후 시라비시카가 민주화 된 이후 전후복귀를 빠르게 진행하고 여러 개혁개방을 통해서 시라비시카 경제가 빠른속도로 발전하게됩니다. 이후 시라비시카는 2012년 총리선거때 네이션스 대명국을 반대하는 성향의 "레니 카르타노"가 권력을 잡으면서 대명국과 대립시대가 펼쳐졌으며 이로 인해 시라비시카 경제가 잠시동안 침체기에 빠졌으며 이후 현 대통령인 "앨리스 마가트로이드"가 집권하면서 대명국과 대립관계가 해소되어가는 분위기를 보이고 있으며 무모한 정책또한 파기하면서 다시 경제가 빠른 성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후 공영방송 장악사태가 터졌고 이로인해 앨리스 대통령이 탄핵되며 조기선거가 치러졌고 이후 사쿠라 메구미 정권이 세워졌습니다. 이후 메구미 정권동안 여러 일이 있었지만 그중에서도 대명과의 관계개선과 랑군전쟁위기가 이 일로 생기게 되었습니다.
 
  
 
== 시라비시카의 정치 ==
 
== 시라비시카의 정치 ==
 
[[파일:시라비시카 의회 .jpg|섬네일]]
 
[[파일:시라비시카 의회 .jpg|섬네일]]
시라비시카는 상원 250석 하원 700석으로 구성된 연방의회를 입법부로 칭하면서 대표적인 양원제 국가입니다.  
+
시라비시카는 상원 300석 하원 800석으로 구성된 연방의회를 입법부로 칭하면서 대표적인 양원제 국가이다. 하원은 주로 예산심사,정부 감시,인사청문회,인사추천권,법률안 제의권을 가지며 시라비시카 총리는 하원에서 단독 불신임을 할수 있지만 대통령의 경우 상원의 최종 결정을 무조건적으로 따르고 상원은 인사동의권과 대법관 지명권 탄핵권을 가지며 법률안의 경우 하원이 이를 번복하고 2/3이상의 동의를 받으면 처리되지만 대법관 지명권 그리고 인사동의권 탄핵권의 경우 하원이 상원의 의사를 번복할수 없도록 되어있습니다.
 +
 
 +
상원은 지역별로 다르나 대부분 인구가 많은 지역은 소선거구제 인구가 적은지역은 중선거구제로 선출하고 일부는 불구속 명부제에 입각한 지역별 비례대표로 뽑는지역도 있습니다.  
  
 
=== 시라비시카의 현재 의회구성과 원내정당 ===
 
=== 시라비시카의 현재 의회구성과 원내정당 ===
47번째 줄: 49번째 줄:
 
==== 시라비시카 주요정당 설정====
 
==== 시라비시카 주요정당 설정====
 
  * [[민주연합당(시라비시카)|민주연합당]]
 
  * [[민주연합당(시라비시카)|민주연합당]]
  * [[보수당]]
+
  * [[보수당(시라비시카)|보수당]]
  * [[민중의소리]]
+
  * [[사회노동당(시라비시카)|사회노동당]]
  * [[민주당]]
+
  * [[민주당(시라비시카)|민주당]]
* [[녹색당]]
 
* [[시라비시카 공산당]]
 
  
 
==== 시라비시카의 대통령과 총리 ====
 
==== 시라비시카의 대통령과 총리 ====
57번째 줄: 57번째 줄:
 
  * [[시라비시카의 총리]]
 
  * [[시라비시카의 총리]]
  
==== 시라비시카의 청년정치참여율 ====
+
시라비시카는 2026년전까지만 했어도 총리의 권한이 컸으나 2026년 개헌이후부터 다시 대통령의 권한이 강해졌으며 2026년 이후부터는 사실상 대통령중심제로 굴러가고 있습니다.  
'''2018년기준 시라비시카 청년정치참여율 78.7%'''
 
시라비시카는 종교를 뺀 나머지에서 워낙 진보적이여서 그런지 20세부터 정치를 시작하는 정치인이 많아지게 되었고 2016년 '소이트냐 벡터' 총리를 시작으로 40세 이하의 정치인들이 정권을 잡는등 상당히 청년정치가 많이 발전되어 있는 모습입니다.
 
 
 
==== 시라비시카의 진보정권이 자주 나오는 이유 ====
 
'''높은 청년 정치참여율''',''' 역사적인 배경으로 인한 전체주의 배척'''
 
시라비시카는 현재 '''범 진보계'''인 소이트냐 총리를 포함하여 6명의 지도자와 진보정당이 과반을 차지하는 상황이 자주연출되는데
 
그 이유는 청년정치참여율이 예상보다 높은것은 물론 시라비시카의 독재와 여러 학살로 인한 민심의 변화와 높은 소통율,공약 이행율이 높다는 점덕에
 
진보정권이 계속해서 유지될수밖에 없습니다.  
 
 
 
 
 
  
== 선임연재국 ==
+
(추가설명 예정)
  
시라비시카는 네이션즈에서 현재 중앙국을 제외하고 네이션즈에서 유일한 '''민간 선임연재국'''입니다. 2018년 4월부터 현재까지 반년동안 네이션즈와 함께한 존재로 여러 네이션즈에서 주축이 되는 연재자가 많지만 대명국,대성국,시라비시카를 극히 일부를 제외하고 대부분 자신의 국가를 바꿔연재하고 있지만 이 일부를 제외하곤 대부분 선임연재자 기준 6개월에 미달하여 현재까진 시라비시카를 제외하곤 선임연재국이 없습니다.
 
  
 
== 시라비시카의 문화 ==
 
== 시라비시카의 문화 ==
80번째 줄: 69번째 줄:
 
== 시라비시카의 교육 ==
 
== 시라비시카의 교육 ==
 
시라비시카는 2010년대까지는 사립유치원까지 허용되는 사립교육의 성지였으나 '''2008년 라카니오 사립유치원 연대 대량 비리논란'''으로 사립학원에 대한 문제가 수면위로 올라오면서 시민들이 사립유치원의 회계시스템을 원하는 여러 평화시위를 진행하였고 이후 들어온 존 그리즐리 정권에 의해 유치원 회계시스템 도입 의무화가 진행되었지만 유치원 교사들의 복수성 폭행등 문제가 붉어지자 결국 강제 공영화를 진행하였고 5년만에 국.공영화 되었고 이에 탄력받아 초,중,고가 2015년 공영화를 시작하였고 2019년 7월 공영화 선언을 시작하면서 시라비시카 교육체계는 대부분 주나 나라가 관리하게되었습니다.  
 
시라비시카는 2010년대까지는 사립유치원까지 허용되는 사립교육의 성지였으나 '''2008년 라카니오 사립유치원 연대 대량 비리논란'''으로 사립학원에 대한 문제가 수면위로 올라오면서 시민들이 사립유치원의 회계시스템을 원하는 여러 평화시위를 진행하였고 이후 들어온 존 그리즐리 정권에 의해 유치원 회계시스템 도입 의무화가 진행되었지만 유치원 교사들의 복수성 폭행등 문제가 붉어지자 결국 강제 공영화를 진행하였고 5년만에 국.공영화 되었고 이에 탄력받아 초,중,고가 2015년 공영화를 시작하였고 2019년 7월 공영화 선언을 시작하면서 시라비시카 교육체계는 대부분 주나 나라가 관리하게되었습니다.  
 
=== 시라비시카 교육부 ===
 
시라비시카 교육부는 대통령 직속기관으로 시라비시카 연방의 교육기관을 총괄하는 기관으로 정보감사원과 동일한 대우를 받습니다.
 
 
=== 시라비시카 교육감제 ===
 
 
시라비시카는 연방공화국으로서 각 주별로 교육감을 직선제로 뽑으며 그 교육감의 선출하에 각 시와 도의 교육장을 임명합니다.
 
  
 
==시라비시카의 군사력==
 
==시라비시카의 군사력==
https://cafe.naver.com/nationz/2146 (멤버공개이니 가급적 가입을 권장합니다)
+
스칸디나비아 3국 (핀란드-노르웨이-스웨덴 3국) OTL이며 지리적 특성상 주요 육군 병력은 러시아 지역에 주둔하며 북해를 총괄하는 관문적 역할을 하여 해군력도 IMC내에서 최전방적인 역할을 하고있습니다.
 
 
'''미국의 절반정도의 군사력, 하지만 무시못하는 동맹국 숫자'''
 
 
 
현재 시라비시카는 현실 미국의 군사력으로 진행하려했으나 현실성때문에 미국의 절반의 군사력으로 삭감한 설정을 현재 군설정으로 운용중입니다. 하지만 네이션즈내에서 사실상 군사력으론 1,2위권이지만 시라비시카는 대성,라오지아,테즈메니아,아틀란틱 연방,오세아연방,모라타니등 현재 네이션즈에서 동맹국으로선 최다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네이션즈 UN군은 시라비시카가 건들지도 않을분더러 시라비시카가 격파할수 없는 '''유일'''한 군사단체입니다.  
 
 
 
 
 
{{네이션스}}
 
 
 
[[분류:네이션즈 세계관]]
 

2020년 12월 19일 (토) 20:40 판

시라비시카 연방공화국
Federal Republic of Shirabisaka
시리바시카.png
국기
시라비시카 국장.png
국장
국호시라비시카 연방공화국
Federal Republic of Shirabisaka
상징국가국민을 위하여
국화장미
국조독수리
표어모든 주권은 국민에게
자연환경면적(영토)2,486,330km²
인문환경인구21,244,036명
인구밀도25km²
공용 언어공용 언어
정치국체입헌군주제
정부형태공화제,연방제,이원집정부제,양원제
대통령제임스 소프타르
총리마티엘 존슨 민주당
경제GDP$1,144,383,000,000
1인당 GDP$53,868
총 PPP$1,179,352,000,000
1인당 PPP$55,514
공식 화폐시라

개요

라카니오 전경.jpg.jpg
시라비시카의 대표도시 라카니오의 전경

시라비시카는 3관 북유럽에 있는 스칸디나비아의 강국이며 약칭은 영문 약칭은 FRS 영문 전체는 Federal Republic of Syrabifika로 표기한다.

시라비시카의 역사

(블로그에 작성되어있으나 추후 삽입예정)

시라비시카의 정치

시라비시카 의회 .jpg

시라비시카는 상원 300석 하원 800석으로 구성된 연방의회를 입법부로 칭하면서 대표적인 양원제 국가이다. 하원은 주로 예산심사,정부 감시,인사청문회,인사추천권,법률안 제의권을 가지며 시라비시카 총리는 하원에서 단독 불신임을 할수 있지만 대통령의 경우 상원의 최종 결정을 무조건적으로 따르고 상원은 인사동의권과 대법관 지명권 탄핵권을 가지며 법률안의 경우 하원이 이를 번복하고 2/3이상의 동의를 받으면 처리되지만 대법관 지명권 그리고 인사동의권 탄핵권의 경우 하원이 상원의 의사를 번복할수 없도록 되어있습니다.

상원은 지역별로 다르나 대부분 인구가 많은 지역은 소선거구제 인구가 적은지역은 중선거구제로 선출하고 일부는 불구속 명부제에 입각한 지역별 비례대표로 뽑는지역도 있습니다.

시라비시카의 현재 의회구성과 원내정당

민주연합당(여당) 하원:430/상원 120
보수당하원:210/상원 60
민중의 소리하원:46/상원 13
민주당하원:22/상원 3
녹색당하원:13/상원 4

시라비시카 주요정당 설정

시라비시카의 대통령과 총리

시라비시카는 2026년전까지만 했어도 총리의 권한이 컸으나 2026년 개헌이후부터 다시 대통령의 권한이 강해졌으며 2026년 이후부터는 사실상 대통령중심제로 굴러가고 있습니다.

(추가설명 예정)

시라비시카의 문화

이 문서는 시라비시카 종교를 서술하는 문서입니다.

시라비시카의 교육

시라비시카는 2010년대까지는 사립유치원까지 허용되는 사립교육의 성지였으나 2008년 라카니오 사립유치원 연대 대량 비리논란으로 사립학원에 대한 문제가 수면위로 올라오면서 시민들이 사립유치원의 회계시스템을 원하는 여러 평화시위를 진행하였고 이후 들어온 존 그리즐리 정권에 의해 유치원 회계시스템 도입 의무화가 진행되었지만 유치원 교사들의 복수성 폭행등 문제가 붉어지자 결국 강제 공영화를 진행하였고 5년만에 국.공영화 되었고 이에 탄력받아 초,중,고가 2015년 공영화를 시작하였고 2019년 7월 공영화 선언을 시작하면서 시라비시카 교육체계는 대부분 주나 나라가 관리하게되었습니다.

시라비시카의 군사력

스칸디나비아 3국 (핀란드-노르웨이-스웨덴 3국) OTL이며 지리적 특성상 주요 육군 병력은 러시아 지역에 주둔하며 북해를 총괄하는 관문적 역할을 하여 해군력도 IMC내에서 최전방적인 역할을 하고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