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40번째 줄: | 40번째 줄: | ||
==육군== | ==육군== | ||
||<table width=500><tablebordercolor=#CE1124> <center><div style="margin: - | ||<table width=500><tablebordercolor=#CE1124> <center><div style="margin: -4px -9px">[[파일:Britisharmyflag.png|100%]] | ||
</div><div style="margin: - | </div><div style="margin: -3px -9px"></center> || | ||
||<bgcolor=#CE1124> '''{{{#white 육군기}}}''' || | ||<bgcolor=#CE1124> '''{{{#white 육군기}}}''' || | ||
영국의 영토방위를 책임지고 9만명의 상비군과 2만 7천명의 예비군을 두고있다. 테러와의 전쟁, 해외영토 이권 수호 등의 임무를 수행 중이다. 나폴레옹 전쟁과 제1, 2차 세계대전에서 활약한 바 있다. 현재 강습헬기 추가도입을 검토 중에 있다. | 영국의 영토방위를 책임지고 9만명의 상비군과 2만 7천명의 예비군을 두고있다. 테러와의 전쟁, 해외영토 이권 수호 등의 임무를 수행 중이다. 나폴레옹 전쟁과 제1, 2차 세계대전에서 활약한 바 있다. 현재 강습헬기 추가도입을 검토 중에 있다. |
2021년 2월 14일 (일) 23:40 판
영국군 British Armed Forces | ||
![]() | ||
창립 | ||
1707년 | ||
지휘체계 | ||
명목상 통수권자 | 엘리자베스 2세 여왕 | |
실질적 통수권자 | 테레사 메이 총리 | |
국방장관 | 마이클 팔론 하원의원 | |
편제 | ||
![]() | ||
![]() | ||
![]() | ||
![]() | ||
병력 | ||
충원방식 | 모병제 | |
징집 연령 | 15세 ~ 49세 | |
상비군 | 205,850명 | |
예비군 | 181,720명 | |
전력 | ||
전차 | 227대 | |
장갑차 | 2,318대 | |
자주포 | 89문 | |
MLRS | 35문 | |
수송 차량 | 12,611대 | |
헬리콥터 | 312기 | |
전투기 | 164기 (+118기) | |
항공모함 | 2척 | |
구축함 | 6척 | |
호위함 | 13척 (+18척) | |
초계함 | 25척 (+4척) | |
잠수함 | 10척 (+8척) |
개요
여왕 폐하의 군대(Her Majesty's Armed Forces) 또는 영국군(British Armed Forces)은 영국 본토와 해외영토의 방어를 담당하는 군대이다. 나폴레옹 전쟁과 7년 전쟁, 크림 전쟁, 제1, 2차 세계대전 등 여럿 참전한 경력이 있다. 포클랜드 제도, 지브롤터에 영국군이 주둔하고 있기도 하다.
육군
육군기 |
영국의 영토방위를 책임지고 9만명의 상비군과 2만 7천명의 예비군을 두고있다. 테러와의 전쟁, 해외영토 이권 수호 등의 임무를 수행 중이다. 나폴레옹 전쟁과 제1, 2차 세계대전에서 활약한 바 있다. 현재 강습헬기 추가도입을 검토 중에 있다.
편제
사단급 전투부대
- 제1사단 (본토대응군)
- 제3사단 (신속대응군)
예비사단
- 국왕사단 (유사시 본토방위)
- 여왕사단 (유사시 본토방위)
- 근위사단 (유사시 런던방위)
- 스코틀랜드 사단 (유사시 스코틀랜드 방위)
- 웨일스 왕자사단 (유사시 스코틀랜드 방위)
여단급 전투부대
- 제1기갑보병여단 (기계화)
- 제12기갑보병여단 (기계화)
- 제20기갑보병여단 (기계화)
- 제4보병여단 (보병여단, 차량화)
- 제7보병여단 (보병여단, 차량화)
- 제11보병여단 (보병여단)
- 제38보병여단 (보병여단, 북아일랜드 주둔)
- 제42보병여단 (보병여단, 차량화)
- 제51보병여단 (보병여단, 스코틀랜드 주둔)
- 제160보병여단 (보병여단)
- 제16공중강습보병여단 (강습보병여단, 공수보병, 육군항공대)
여단급 전투부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