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제국(아틀란틱)"의 두 판 사이의 차이

27번째 줄: 27번째 줄:
 
===국호===
 
===국호===
 
현 대한제국의 공식 국호는 '대한제국(大韓帝國)'이며, 영문으로는 'Empire of Korea'라고 하지만 'Korean Empire'라고 쓰는 경우도 적지 않다. 공식 국호는 아니지만 '한국'또는 '대한'이라 쓰는 경우도 있다.
 
현 대한제국의 공식 국호는 '대한제국(大韓帝國)'이며, 영문으로는 'Empire of Korea'라고 하지만 'Korean Empire'라고 쓰는 경우도 적지 않다. 공식 국호는 아니지만 '한국'또는 '대한'이라 쓰는 경우도 있다.
*대한
+
*[[대한]]
 +
대한제국의 약칭. 한반도와 한반도민들을 이를 때 쓰는 말이다.옛 사료에서 [[진한]]을 [[대한]]이라고 부른 부분이 있었고 이후 [[구 대한제국(아틀란틱)]] 때 국명을 줄여서 "대한", "대한국"이라고 불렀다.
 +
 
 +
다만 오늘날 일상적으로 쓰이는 대한제국의 약칭은 주로 '한국'이고, '대한'은 큰 대(大)자가 붙어서 그런지 미칭(美稱)의 느낌이 필요한 곳에 제한적으로 쓰이는 편이다. 기관이나 단체, 회사의 명칭에 쓰이기도 한다. 대한의사협회, 대한법률구조공단, 대한항공 등이 대표적인 예다. 대한제국 국민의 인명으로도 종종 쓰인다.
 +
 
 +
대한제국은 나라도 작은데 왜 스스로 대한이라고 칭하냐는 일부 혐한들의 시빗거리가 되기도 한다. 하지만 위 고종황제의 의견을 고찰해 보면 '삼한이 하나를 이루었으므로 '큰 한'이다'라는 의미에서 [[대한]]으로 한 것이다. 육당 최남선이 「조선상식문답」에서 제시한 설명 또한 같다. 고로 대한의 대는 딱히 수식적인 접사가 아니라 그냥 완전한 국호의 일부인 것이다.
 +
 
 +
한자문화권인 외국에서는 [[대한제국(아틀란틱)]]을 주로 '한국'으로 약칭하는 편이나, 베트남에서는 의외로 '대한'이라는 뜻의 Đại Hàn(따이한)으로 부르는 경우도 드물지 않게 있다. 한월동맹이 강력하던 월남전 시기 대한제국의 국호가 베트남에 Đại Hàn으로 소개되었기 때문이다.
 +
 
 +
===국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태극기)]

2021년 6월 4일 (금) 09:39 판

대한제국
大韓帝國
width=100%width=40%
국기국장
대한제국 지도.png
대한제국의 지도 
표어光明天地(온 세상을 밝게 하리다)
국가애국가
위치동아시아
수도서울특별시
인구110,974,210명
정치체제입헌군주제
의원내각제
단일국가
단원제
국가원수제 5대 국왕 이혈
내각수반제 25대 대한제국 내각총리대신 문재인
민족한민족[1]
크기면적: 257,907km²
통화(₩)
경제전체 GDP: 2,759,566,667,510$
1인당 GDP: 28,791$

개요

대한제국(大韓帝國)은 동아시아의 한반도와 사할린섬 남부에 위치한 군주국이다.
대한제국(아틀란틱)은 정치적으로 의원내각제단원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정부의 수반은 국회의원 가운데서 선출되는 내각총리대신이 맡는다.
경제적으로 선진국이며 군사적으로도 아시아는 물론 세계에서도 높은 수준이다.(자세한건 경제, 군사 문항 참조)

상징

국호

현 대한제국의 공식 국호는 '대한제국(大韓帝國)'이며, 영문으로는 'Empire of Korea'라고 하지만 'Korean Empire'라고 쓰는 경우도 적지 않다. 공식 국호는 아니지만 '한국'또는 '대한'이라 쓰는 경우도 있다.

대한제국의 약칭. 한반도와 한반도민들을 이를 때 쓰는 말이다.옛 사료에서 진한대한이라고 부른 부분이 있었고 이후 구 대한제국(아틀란틱) 때 국명을 줄여서 "대한", "대한국"이라고 불렀다.

다만 오늘날 일상적으로 쓰이는 대한제국의 약칭은 주로 '한국'이고, '대한'은 큰 대(大)자가 붙어서 그런지 미칭(美稱)의 느낌이 필요한 곳에 제한적으로 쓰이는 편이다. 기관이나 단체, 회사의 명칭에 쓰이기도 한다. 대한의사협회, 대한법률구조공단, 대한항공 등이 대표적인 예다. 대한제국 국민의 인명으로도 종종 쓰인다.

대한제국은 나라도 작은데 왜 스스로 대한이라고 칭하냐는 일부 혐한들의 시빗거리가 되기도 한다. 하지만 위 고종황제의 의견을 고찰해 보면 '삼한이 하나를 이루었으므로 '큰 한'이다'라는 의미에서 대한으로 한 것이다. 육당 최남선이 「조선상식문답」에서 제시한 설명 또한 같다. 고로 대한의 대는 딱히 수식적인 접사가 아니라 그냥 완전한 국호의 일부인 것이다.

한자문화권인 외국에서는 대한제국(아틀란틱)을 주로 '한국'으로 약칭하는 편이나, 베트남에서는 의외로 '대한'이라는 뜻의 Đại Hàn(따이한)으로 부르는 경우도 드물지 않게 있다. 한월동맹이 강력하던 월남전 시기 대한제국의 국호가 베트남에 Đại Hàn으로 소개되었기 때문이다.

국기

위키스 상세 내용 로고.svg 자세한 내용은 [[]]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 일본인, 중국인, 몽골인, 러시아인 등의 소수민족들도 있긴 했지만 사실상 한민족의 단일민족국가에 가까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