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번째 줄: |
1번째 줄: |
| ||<tablealign=right><tablewidth=400><-2><tablebgcolor=#0047a0><bgcolor=#cd2e3a>{{{#!wiki style="margin: -10px -10px"
| | 고속도로이다. |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cd2e3a><rowbgcolor=#cd2e3a><)>[[파일:Expressway_kor_12.svg|width=50]]||{{{#ffffff {{{+1 '''무안광주고속도로'''}}}[br]務安光州高速道路[br]Muan Gwangju Expressway}}}||}}}||
| |
| ||<-2><bgcolor=#fff,#191919> [[파일:무안광주,광주대구.jpg|width=100%]] ||
| |
| ||<-2> '''{{{#fff 노선 번호}}}''' ||
| |
| ||<-2><bgcolor=#fff,#191919> '''12번''' ||
| |
| ||<-2> '''{{{#fff 기점}}}''' ||
| |
| ||<-2><bgcolor=#fff,#191919> [[전라남도]] [[무안군]] [[망운면]] [[무안공항IC]] ||
| |
| ||<-2> '''{{{#fff 종점}}}''' ||
| |
| ||<-2><bgcolor=#fff,#191919> [[광주광역시]] [[광산구]] [[운수동]] [[운수IC]] ||
| |
| ||<-2> '''{{{#fff 연장}}}''' ||
| |
| ||<-2><bgcolor=#fff,#191919> 41.35km ||
| |
| ||<-2> '''{{{#fff 개통}}}''' ||
| |
| ||<rowbgcolor=#fff,#191919> 2007. 11. 8. || [[무안공항IC|무안공항]] - [[나주IC|나주]] ||
| |
| ||<rowbgcolor=#fff,#191919> 2008. 5. 28. || [[나주IC|나주]] - [[운수IC|운수]][* 단 [[서광산IC]] 제외] ||
| |
| ||<rowbgcolor=#fff,#191919> 2009. 9. 29. || [[서광산IC|서광산]] ||
| |
| ||<-2> '''{{{#fff 관리}}}''' ||
| |
| ||<-2><bgcolor=#fff,#191919> [[한국도로공사|[[파일:한국도로공사 CI.svg|width=200]]]] ||
| |
| ||<-2> '''{{{#fff 왕복 차로 수}}}''' ||
| |
| ||<rowbgcolor=#fff,#191919> 4차로 || 전구간 ||
| |
| ||<-2> '''{{{#fff 구조}}}''' ||
| |
| ||<-2><bgcolor=#fff,#191919> [[나들목]] 7개소[* 무안공항IC, 북무안IC, 동함평IC, 문평IC, 나주IC, 서광산IC, 운수IC], [[분기점]] 1개소[* 함평분기점([[서해안고속도로]])][br][[터널]] 9개소[* 보평터널, 함평나비터널, 문평1~5터널, 노안터널, 어등산호남대터널][* 최장터널: '''어등산호남대터널'''(양방향 1,486m)][* 터널을 워낙 신나게 뚫어대서 터널 구경하다가 고속도로가 끝이 날 정도.], [[휴게소]] 2개소[* 상행선 1개소, 하행선 1개소(함평나비휴게소)] ||
| |
| ||<-2> '''{{{#fff 주요 경유지}}}''' ||
| |
| ||<-2><bgcolor=#fff,#191919> [[무안군|무안]] ↔ [[나주시|나주]] ↔ [[광주광역시|광주]] ||
| |
|
| |
|
| [목차][clearfix]
| | {1} |
| == 개요 ==
| |
| [[전라남도]] [[무안군]] [[무안국제공항]]과 [[광주광역시]]를 잇는 [[고속도로]]. 노선번호는 12번.
| |
|
| |
|
| == 역사 ==
| | 1 마인분기점 |
| * [[2002년]] [[12월 5일]] : [[88올림픽고속도로]] 연장 지정
| |
| * [[2002년]] [[12월]] : 1~4공구 착공
| |
| * [[2005년]] : 5공구 구간 노선 변경 및 착공
| |
| * [[2007년]] [[11월 9일]] : [[무안공항IC]] ~ [[나주IC]] 구간 개통[[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07&no=611908|#]]
| |
| * [[2008년]] [[1월 3일]] : 전 구간 [[88올림픽고속도로]]에서 분할 및 무안광주고속도로로 지정
| |
| * [[2008년]] [[5월 28일]] : [[서광산IC]]를 제외한 잔여구간 [[나주IC]] ~ [[운수IC]] 구간 개통[[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3&aid=0002110614|#]]
| |
| * [[2009년]] [[9월 29일]] : [[서광산IC]] 개통
| |
|
| |
|
| [[88올림픽고속도로]] 시절의 [[광주대구고속도로]]와 달리 전 구간 왕복 4차로이다. 최근에 지어진 고속도로답게 도로 선형도 상당히 좋다. 노선번호는 12번으로 [[광주대구고속도로]]와 같지만 직접 연결되는 것은 아니고, 광주 시내의 [[고속화도로]]를 중간에 경유하여야 한다. 하지만 처음 [[고속도로]] 노선명이 정해질 당시 [[광주대구고속도로|구 88올림픽고속도로]]의 일부분으로 지정되었던 과거가 있다. 이 부분은 2008년 1월 대통령령에 의해 노선명이 분리되었다.
| | 천산특별시 (6) |
|
| |
|
| == 역할 ==
| | 중천구 |
| 교통량이 많은 [[광주광역시]] - [[목포시]] 구간 [[1번 국도]]의 교통량을 분산시키고, [[무안국제공항]]의 연결성을 증대하기 위해 건설되었다. 하지만 개항 초기부터 [[2018년]] 초까지 [[무안국제공항]]은 [[안습]] 그 자체였지만, 앞으로의 기대를 기다려보자... 물론 아직은 운항스케줄이 띄엄띄엄 있기 때문에 [[무안공항IC|무안공항 나들목]] - [[북무안IC|북무안 나들목]]까지는 [[아우토반]] 그 자체다.
| | 양운구 갑 |
| | 양운구 을 |
| | 서평구 갑 |
| | 서평구 을 |
| | 당성구 갑 |
| | 당성구 을 |
|
| |
|
| 사실 이 고속도로 개통으로 가장 이익을 얻은 지역은 [[무안국제공항]]보다 [[목포시]]와 [[무안군]], [[함평군]]이다. [[전라남도|전남]] 서부지역을 지나는 [[서해안고속도로]]는 개통 초기만 해도 호남 내에서 서로 연결되는 고속도로가 없어 존재감이 적었다. 그런데 [[고창담양고속도로]] 개통으로 접근성이 점점 좋아지더니 이 고속도로 개통으로 [[전라남도|전남]] 서남부권[* [[목포시]], [[무안군]], [[함평군]], [[해남군]] 일부지역(산이, 화원, 문내), [[영암군]](삼호), [[진도군]]] - [[광주광역시]] 간 접근성이 크게 상승하는데 큰 공로를 했다. 덕분에 [[시외버스 광주-목포|광주 ↔️ 목포]] [[시외버스]]는 [[무진대로]] - 무안광주고속도로 - [[서해안고속도로]] 경로로 날아다닌다. 참고로 [[함평JC|함평 분기점]]에서 [[서해안고속도로]]와 연결된다. 덕분에 교통량은 [[함평JC|함평 분기점]] - [[운수IC|운수 나들목]]에 사실상 몰빵 되어 있는 상태고, [[북무안IC|북무안 나들목]]까지는 매우 소수의 차들만 지나다니며 이후 공항까지는 광활한 아우토반이 된다(...)
| | 주천도 (28) |
|
| |
|
| == 특징 ==
| | 북주시 갑 |
| === [[광주공항]]과 [[무안국제공항]] 연결 떡밥? ===
| | 북주시 을 |
| [[파일:attachment/1297673798_12_MK_002.jpg]]
| | 동마시 갑 |
| | 동마시 을 |
| | 마인시 진송구 갑 |
| | 마인시 진송구 을 |
| | 마인시 남마구.서마구 |
| | 진양시 준절구 |
| | 진양시 한산구.진동구 갑 |
| | 진양시 한산구.진동구 을 |
| | 강평시 서구 갑 |
| | 강평시 서구 을 |
| | 강평시 진평구 |
| | 남부시 북구 |
| | 남부시 수동구 갑 |
| | 남부시 수동구 을 |
| | 남부시 준연구 |
| | 진산시 주산구 |
| | 진산시 남부강구 |
| | 진산시 진탄구.신양구 |
| | 산정시 북구 |
| | 산정시 중구 |
| | 산정시 서구 |
| | 황주시 갑 |
| | 황주시 을 |
| | 유례시 북례구 갑 |
| | 유례시 북례구 을 |
| | 유례시 남암구 |
|
| |
|
| 이처럼 고속도로 계획 당시 ~~공항더비~~ [[광주공항]]과 [[무안국제공항]]을 잇는 시도도 있었던 모양이나..[[http://www.korea.kr/policy/mainView.do?newsId=148652160&pWise=www2|기사]]
| | 도공광역시 (6) |
| | 주동구 갑 |
| | 주동구 을 |
| | 공만구 갑 |
| | 공만구 을 |
| | 중구 갑 |
| | 중구 을 |
|
| |
|
| [[파일:attachment/1297673798_12_MK_001.jpg]]
| | 신산북도 (11) |
|
| |
|
| [[나주IC|나주 나들목]]을 지난 후에 선형이 급격히 틀어져 [[광주공항]]으로 직결되지 않는다. 여길 직선으로 만들어서 [[광주송정역]]이나 [[광주공항]] 근처에 고속도로 종점 및 [[나들목]]을 설치했다가는 [[헬게이트]]를 소환할 여지가 다분하기 때문에 어쩔 수 없는 조치인 듯. (애써 소환하려고 노력할 필요도 없이, 이 동네는 평동산단 진입도로 완전 개통 전까지만 해도 호남에서 손꼽히는 상습정체구역이었다. 지금은 그나마 많이 나아진 상태일 것 같지만 [[무진대로]] 교통량이 폭증하면서 [[헬게이트]]는 여전하다.)
| | 적령시 유당구 갑 |
| | 적령시 유당구 을 |
| | 적령시 서월구 |
| | 적령시 구외구 |
| | 영종시 갑 |
| | 영종시 을 |
| | 벽천군.양리군 |
| | 인암군.운산군.인충군 |
| | 양한군.사병군.인적군 |
| | 이창군.망산군 |
| | 양탄시 |
|
| |
|
| [[광주공항]]과 [[무안국제공항]]이 서로 으르렁거리는 지금을 생각해보면, 얘네들 직통 연결하지 않은 게 다행일지도.
| | 신산남도 (10) |
|
| |
|
| 상술했듯이 이 고속도로로 가장 이득을 많이 본 사람들은 바로 [[목포시]], [[무안군]], [[함평군]] 사람들이다. 보다시피 목포가 기점인[* 현재 정확히는 [[무안군]]이 기점인 상태다.] [[서해안고속도로]]는 광주를 지나지 않아서 의외로 도내에서 찐따 취급받는데, 무안광주고속도로가 개통되면서 2개의 고속도로를 이용해 목포에서 광주로 가는 직행 루트가 뚫렸다. [[금호고속]] [[시외버스]]를 타도 50분 내외로 (심지어 40분 만에 터미널까지 찍는 경우도 있다.) 짧은 시간 안에 도달 가능하며, 자가용으로는 많이 밟으면 30분도 안 걸려 목포 - 광주에 발도장을 찍을 수 있다. [[무안국제공항]] 방면으로 [[함평JC|함평 분기점]]에서 거의 모든 차들이 목포 방면으로 --우르르-- 빠진다. 이후 구간은 [[아우토반]]이나 다름없다. 몇 안 되는 차량도 [[북무안IC|북무안 나들목]]에서 나가면 정말로 무서울 정도... 함평은 기존 40분에서 15~20분이면 [[광주여자대학교|광주여대]] 부근까지 올 수 있을 정도. 무안은 함평에서 5~10분 정도 더 걸린다.
| | 유량군.삼형군 |
| | 평동군.유청군 |
| | 사평시 갑 |
| | 사평시 을 |
| | 약천군.우형군.정시군 |
| | 주실군.명의군 |
| | 토원군.양악군 |
| | 제림군.정천시 |
| | 덕완시 갑 |
| | 덕완시 을 |
|
| |
|
| === [[광주대구고속도로]] 미연결 ===
| | 서안광역시 (8) |
| 같은 노선번호를 공유하는 [[광주대구고속도로]]와 이어지지 못하고 끊겨 있다. 나중에 [[광주외곽순환고속도로]]가 개통된다면 [[광주대구고속도로]]와 연결되는데, [[광주외곽순환고속도로]]의 3구간인 진원~대덕 구간은 [[고창담양고속도로]]와 중첩될 예정이다. 그리고 해당 구간 내에 [[광주대구고속도로]]와 분기하는 [[담양JC|담양 분기점]]이 있으므로 연결된다고 볼 수 있다.
| |
|
| |
|
| 두 고속도로를 오가는 방법은 서→동 기준으로 [[운수IC|운수 나들목]]에서 직결되는 [[무진대로]]로 진행한 다음 [[유덕IC|유덕 나들목]]에서 [[광주제2순환도로]]로 진입, [[산월IC|산월 나들목]]에서 [[호남고속도로]] [[서순천IC|순천]] 방향으로 진입하는 방법이 있다. 또는 [[무진대로]]를 계속 이용하여 버들교 하부 계수교차로에서 [[빛고을대로]] 진입 후 [[동림IC|동림 나들목]]에서 [[호남고속도로]] 순천방향으로 진입하여 쭉 진행하다가 [[고서JC|고서 분기점]]에서 진출하면 된다.
| | 안천구 갑 |
| | 안천구 을 |
| | 북구 갑 |
| | 북구 을 |
| | 동.남구 갑 |
| | 동.남구 을 |
| | 상흥구 갑 |
| | 상흥구 을 |
|
| |
|
| === 어등산터널? 호남대터널? ===
| | 당포광역시 (16) |
| [[동광산TG|동광산요금소]]와 [[운수IC|운수 나들목]] 사이에 있는 터널에 대하여 개통이래 몇 년간 이름 없는 터널로 있었던 때가 있었다. [[광산구]]가 주장한대로 원래대로 하면 산 이름이나 그 주위의 지명을 따서 붙여서 어등산터널로 지정하는 것이 맞는데, [[호남대학교]]가 자기 땅을 지나간다는 이유로 호남대터널로 명칭을 지정할 것을 요구하였다.[* 이 고속도로 때문에 [[호남대학교]] 캠퍼스가 반토막났다. 지도를 보면 알 수 있다.] 학교명을 터널 이름으로 지정한 사례가 없었기 때문에 더욱 논란이 많았는데[* 광주에서 바로 예를 찾을 수 있다. [[광주제2순환도로]] 지산터널이 바로 그것인데, 이 터널이 [[조선대]] 일부를 거치는데 조선대터널이라고 하지 않는다], 수많은 논란 끝에 결국 2011년 8월 어등산-호남대 터널(Eodeungsan(Mt.)-Honam Univ. Tunnel)이라는 명칭으로 확정되었다. --요즘은 이름 나란히 붙이기가 유행인가보다--
| |
|
| |
|
| == 구간 ==
| | 양현포구 갑 |
| '''[[무안군]]''' - [[함평군]] - [[나주시]] - '''[[광주광역시]]'''를 연결한다.
| | 양현포구 을 |
| ||<-2><tablewidth=600px><rowbgcolor=#ff7f00><rowcolor=#ffffff> '''소재지''' ||<colbgcolor=#ffffff,#191919><bgcolor=#ff7f00> '''번호''' ||<colbgcolor=#ffffff,#191919><bgcolor=#ff7f00> '''이름''' ||<width=16%> '''접속[br]노선''' || '''비고''' ||
| | 직천포구 갑 |
| ||<|8> [[전라남도|전남]] ||<|3> [[무안군]] || 1 || [[무안공항IC]] || [include(틀:노선번호/국도, n=77)] || ||
| | 직천포구 을 |
| || 2 || [[북무안IC]] || [include(틀:노선번호/지방도, n=60)] || ||
| | 양달구 갑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8000 5%, #F0FFF0 0%, #F0FFF0 100%)"
| | 양달구 을 |
| TG}}} ||<bgcolor=#f0fff0,#003300> [[무안공항TG]] ||<bgcolor=#f0fff0,#003300> ||<bgcolor=#f0fff0,#003300> ||
| | 기천군 |
| ||<|3> [[함평군]] || 3 || [[함평JC]] || [[서해안고속도로|[[파일:Expressway_kor_15.svg|height=25]]]] || ||
| | 강서구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8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20deg, #FFFFAC 80%, #E60012 0%, #E60012 89%, #111E90 0%, #111E90 100%)"
| | 강척구 갑 |
| SA}}} ||<bgcolor=#ffffac,#525200> [[함평나비 휴게소|함평나비]] ||<bgcolor=#ffffac,#525200> ||<bgcolor=#ffffac,#525200> 양방향 ||
| | 강척구 을 |
| || 4 || [[동함평IC]] || [include(틀:노선번호/국도, n=24)] || ||
| | 해산포구 갑 |
| ||<|2> [[나주시]] || 5 || [[문평IC]] || [include(틀:노선번호/지방도, n=825)] || ||
| | 해산포구 을 |
| || 6 || [[나주IC]] || [include(틀:노선번호/지방도, n=831)] || ||
| | 중구 갑 |
| ||<|3> [[광주광역시]] ||<|3> [[광산구]] || 7 || [[서광산IC]] || [include(틀:노선번호/지방도, n=49)] || ||
| | 중구 을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8000 5%, #F0FFF0 0%, #F0FFF0 100%)"
| | 북구 갑 |
| TG}}} ||<bgcolor=#f0fff0,#003300> [[동광산TG]] ||<bgcolor=#f0fff0,#003300> ||<bgcolor=#f0fff0,#003300> ||
| | 북구 을 |
| || 8 || [[운수IC]] || [[무진대로|[[파일:Cityroad_kor_15m.svg|height=20]]]] || ||
| |
|
| |
|
| == 교통량 ==
| | 적천남도 (10) |
| [[운수IC|운수 나들목]] - [[함평JC|함평 분기점]] 구간을 주행해보면 [[광주광역시|광주]] - [[목포시|목포]]간 교통량이 상당하다는 것을 깨달을 수 있을 것이다.
| |
|
| |
|
| 주로 출퇴근 시간대와 주말 교통량이 많다. 특히 금요일 저녁 등 퇴근 시간에는 [[전라남도|전남]] 서부권에서 광주로 들어오는 차량들로 인해, 광주 방향으로 지ㆍ정체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주로 [[동광산TG|동광산 요금소]] - [[운수IC|운수 나들목]] 구간[* 여기는 [[무진대로]]와 직결되는 특성으로 인해 무진대로 정체의 영향을 매우 크게 받는다.]이 상습 지정체 구간이며, 정체 구간이 길면 [[서광산IC|서광산 나들목]]까지 이어진다.
| | 천운시 갑 |
| | 천운시 을 |
| | 당현군 갑 |
| | 당현군 을 |
| | 조령군.성한군 |
| | 초정군.강초군 |
| | 천호군.북서군 |
| | 평서군.익림군.청파군 |
| | 서도군.양전군.전창군 |
| | 인서군.화울군 |
|
| |
|
| 토요일과 공휴일에는 나들이 차량까지 겹쳐 오전부터 이른 오후까지 무안공항 방향은 [[운수IC|운수 나들목]]부터 [[동광산TG|동광산 요금소]]까지 상습 정체가 발생되고 있다. 역시 반대로 오후부터 저녁때는 광주 방향으로 정체가 발생한다. 전반적으로 일요일보다 토요일 교통량이 더 많은 편이며, 본선 일부 구간에서도 갑자기 속도 저하가 발생하는 구간이 꽤 있어 주의해야 한다. 일요일에는 주말을 마치고 광주를 빠져나가는 차량들로 인해 공항 방면 교통량이 많은 편이다.
| | 적천북도 (8) |
| 그러다가 명절과 함평나비축제 기간이 된다? 평소 주말보다 정체 구간이 훨씬 길어지게 된다. ~~[[헬게이트]]~~
| |
|
| |
|
| 여담으로 엄청난 광주 방향 교통량으로 인해 [[서해안고속도로]]에서 정체가 발생할 정도다. [[함평JC|함평 분기점]] ~ [[무안IC|무안 나들목]] 구간에서 정체가 꽤 잦은데, 이 역시 [[함평JC|함평 분기점]] 광주 방향 진입 차량들로 인한 정체…
| | 울원시 상원구 갑 |
| ||<-2> '''주말 교통상황''' ||
| | 울원시 상원구 을 |
| ||<width=50%>[[파일:주말 서광산.jpg|width=100%]]||[[파일:주말 문평.jpg|width=100%]]||
| | 울원시 강민구 |
| || [[서광산IC|서광산]] 구간 || [[문평IC|문평]] 구간 ||
| | 울원시 구평구 |
| | 오경군.영건군.서람군 |
| | 양대군.망도군.해평군.신달군 |
| | 창현시 |
| | 인향시 |
|
| |
|
| == 우회도로 ==
| | 중앙광역시 (7) |
| [[그런거 없다]]. 원래부터 본 목적이 [[무안국제공항]]과 [[광주광역시]]를 잇는 '''최단 경로'''고, 개통 후에는 [[서해안고속도로]] 경유해서 [[목포시]]와 [[광주광역시]]를 빠르게 연결해주는 역할로 더 절찬리에 쓰이고 있다. 원래 [[목포시|목포]], [[함평군|함평]], [[무안군|무안]]을 가려면 [[1번 국도]]를 이용했다. 고속도로를 이용하지 않으면 [[1번 국도]]로 나주, 함평, 무안을 거쳐 목포까지 이어진다. 이 구간 국도는 곳곳에 신호등이 있으니 참고하기 바란다. 참고로 [[광주광역시|광주]]에서 [[나주시|나주]]가는데 보통 [[1번 국도]]나 [[13번 국도]]를 이용하지 고속도로 이용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 다만 [[광주광역시|광주]]와 [[전라남도|전남]] 남부권을 오가는 [[금호고속]] 직통 노선들은 진월동을 경유하지 않고, [[운수IC|운수 나들목]] - [[서광산IC|서광산 나들목]]까지 고속도로를 이용한다.]
| | |
| | 삼편구 갑 |
| | 삼편구 을 |
| | 중구 갑 |
| | 중구 을 |
| | 동구 갑 |
| | 동구 을 |
| | 북찬구 갑 |
| | 북찬구 을 |
| | |
| | 동천북도 (10) |
| | |
| | 구천시 갑 |
| | 구천시 을 |
| | 구천시 병 |
| | 정양군.형덕군 |
| | 울사군.치현군 |
| | 연항시 남구 갑 |
| | 연항시 남구 을 |
| | 연항시 북구 |
| | 영연군.하진군 |
| | 해포군.봉동군.공선군 |
고속도로이다.
{1}
1 마인분기점
천산특별시 (6)
중천구
양운구 갑
양운구 을
서평구 갑
서평구 을
당성구 갑
당성구 을
주천도 (28)
북주시 갑
북주시 을
동마시 갑
동마시 을
마인시 진송구 갑
마인시 진송구 을
마인시 남마구.서마구
진양시 준절구
진양시 한산구.진동구 갑
진양시 한산구.진동구 을
강평시 서구 갑
강평시 서구 을
강평시 진평구
남부시 북구
남부시 수동구 갑
남부시 수동구 을
남부시 준연구
진산시 주산구
진산시 남부강구
진산시 진탄구.신양구
산정시 북구
산정시 중구
산정시 서구
황주시 갑
황주시 을
유례시 북례구 갑
유례시 북례구 을
유례시 남암구
도공광역시 (6)
주동구 갑
주동구 을
공만구 갑
공만구 을
중구 갑
중구 을
신산북도 (11)
적령시 유당구 갑
적령시 유당구 을
적령시 서월구
적령시 구외구
영종시 갑
영종시 을
벽천군.양리군
인암군.운산군.인충군
양한군.사병군.인적군
이창군.망산군
양탄시
신산남도 (10)
유량군.삼형군
평동군.유청군
사평시 갑
사평시 을
약천군.우형군.정시군
주실군.명의군
토원군.양악군
제림군.정천시
덕완시 갑
덕완시 을
서안광역시 (8)
안천구 갑
안천구 을
북구 갑
북구 을
동.남구 갑
동.남구 을
상흥구 갑
상흥구 을
당포광역시 (16)
양현포구 갑
양현포구 을
직천포구 갑
직천포구 을
양달구 갑
양달구 을
기천군
강서구
강척구 갑
강척구 을
해산포구 갑
해산포구 을
중구 갑
중구 을
북구 갑
북구 을
적천남도 (10)
천운시 갑
천운시 을
당현군 갑
당현군 을
조령군.성한군
초정군.강초군
천호군.북서군
평서군.익림군.청파군
서도군.양전군.전창군
인서군.화울군
적천북도 (8)
울원시 상원구 갑
울원시 상원구 을
울원시 강민구
울원시 구평구
오경군.영건군.서람군
양대군.망도군.해평군.신달군
창현시
인향시
중앙광역시 (7)
삼편구 갑
삼편구 을
중구 갑
중구 을
동구 갑
동구 을
북찬구 갑
북찬구 을
동천북도 (10)
구천시 갑
구천시 을
구천시 병
정양군.형덕군
울사군.치현군
연항시 남구 갑
연항시 남구 을
연항시 북구
영연군.하진군
해포군.봉동군.공선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