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2><tablealign=right><table bordercolor=#C0C0C0><tablewidth=360><bgcolor=#margin: | ||<-2><tablealign=right><table bordercolor=#C0C0C0><tablewidth=360><bgcolor=#margin:-5px -10px;padding:7px 10px;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002664, #002664, #CC0000, #CC0000, #3399FF, #3399FF);color:black> '''{{{+1 {{{#ffffff 오스트레일리아 왕국군 }}}}}} [br] {{{#ffffff Australian Armed Forces}}}''' || | ||
||<-2><height=120> <center><div style="margin: -5px -9px">[[파일:Australianarmyflag.png|100%]]</div><div style="margin: -5px -9px"></center> || | ||<-2><height=120> <center><div style="margin: -5px -9px">[[파일:Australianarmyflag.png|100%]]</div><div style="margin: -5px -9px"></center> || | ||
||<bgcolor=#BE9447><-3><:>{{{#FFFFFF '''개요'''}}}|| | ||<bgcolor=#BE9447><-3><:>{{{#FFFFFF '''개요'''}}}|| |
2021년 8월 26일 (목) 20:35 판
오스트레일리아 왕국군 Australian Armed Forces | ||
개요 | ||
창립 | 1942년 10월 19일 | |
충원방식 | 모병제 | |
징집 연령 | 18세 이상 | |
상비군 | 53,149명 | |
예비군 | 32,160명 | |
수뇌부 | ||
명목상 통수권자 | 데이비드 1세 국왕 | |
실질적 통수권자 | 샤논 대처 총리 | |
국방장관 | 린다 레이놀즈 | |
국방참모총장 | 앵거스 J. 캠벨 | |
주요 전력 | ||
전차 | 86대 | |
장갑차 | 1,320대 | |
곡사포 | 376문 | |
대공차량 | 2대 | |
수송 차량 | 18,600대 | |
헬리콥터 | 100기 | |
전투기 | 140기 | |
강습상륙함 | 2척 | |
구축함 | 4척 | |
호위함 | 12척 | |
초계함 | 14척 | |
잠수함 | 8척 |
개요
오스트레일리아 왕국군(Australian Armed Forces)은 호주의 방어를 담당하는 군대로, 상비군은 53,149명이며 예비군은 32,160명이다. 주변에 특별히 적대하는 국가가 없기 때문에 규모가 작은 편이나 고립된 대륙인 만큼 해군, 공군전력은 준수하다.
육군
왕립 오스트레일리아 육군(Royal Australian Army)
호주의 육상을 보호하는 군대로, 호주 대륙 지형 특성상 대해군, 대공군 전력에 몰두하다보니 규모가 거대하지 못하다. 이전에 배치되었던 레오파르트 AS1 전차 86대를 에이브람스 M1A1 전차로 전량 교체했다. 현재는 방위산업부에서 자주포, 장갑차 도입 계획을 수립하여 육군 전력증강에 시동을 걸고있다.
전력
![]() 호주 왕립육군 전력 | ||
3세대 전차 | 86대 | 105mm M1A1 AIM 에이브람스 |
장갑차 | 1,320대 | 12.7mm M113 (776대) |
25mm ASLAV (255대) | ||
7.62mm Bushmaster (289대) | ||
자주곡사포 | 89문 | 105mm Hamel (340문) |
155mm M198 곡사포 (36문) | ||
대공차량 | 2대 | AIM-120 AMRAAM |
수송차량 | 18,600대 |
편제
- 육군사령부
- 제1사단
- 전투훈련소
- 왕립호주연대 제2대대
- 제1통신연대
- 제2/30훈련단
- 제39작전지원대대
- 전략사령부
- 제2사단
- 제1여단
- 제3여단
- 제7여단
- 제16항공여단
- 제6전투지원여단
- 제17전투병과지원여단
- 호주왕립군사학교
- 제병합동훈련소
- 육군군수훈련소
- 육군항공훈련소
- 국방사령부지원훈련소
- 육군지식반
- 제1사단
- 특수전사령부
- 호주육군간부후보생
육군 행진곡
파일:Auarmy.mp4 |
육군 행진곡 < Waltzing Matilda > |
해군
왕립 오스트레일리아 해군(Royal Australian Navy)
호주의 영해를 방어하는 군대이다. 해군은 규모가 작으나 고성능의 함정들을 보유하고 있다. 캔버라급 강습상륙함과 호바트급 구축함, 헌터급 호위함 등이 있다.
전력
편제
- 해군사령부
- 제1함대
- 다윈 전단
- 퍼스 전단
- 제2함대
- 시드니 전단
- 케언스 전단
- 호위함대
- 잠수함대
- 항공함대
- 노우라 전단
- 정보사령부
- 왕립해군학교
- 제1함대
해군 행진곡
파일:Aunavy.mp4 |
해군 행진곡 < Royal Australian Navy March > |
공군
왕립 오스트레일리아 공군(Royal Australian Air Force)
오스트레일리아 영공을 방어하는 군대이다. 해군 다음으로 강력한 전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공중급유기와 대형 수송기 대수를 늘리고있다. 전투기는 F-35A 36대, F/A-18 71대 등이 있다.
전력
![]() 호주 왕립공군 전력 | ||
전투기 | 140기 | F-35A (36기) 60기 추가도입 예정. |
F/A-18 (71기) | ||
Hawk 127 (33기) | ||
해상초계기 | 19기 | AP-3C Orion |
조기경보통제기 | 6기 | Boeing 737 Wedgetail |
수송기 | 48기 | C130 Hercules (24기) |
C130 Hercules (4기) | ||
DHC-4 Caribou (14기) | ||
Boeing 707 (2기) | ||
Boeing 737 BBJ (2기) | ||
CL604 Challenger (2기) | ||
공중급유기 | 7기 | Airbus A330 MRTT (5기) |
KC/30A (2기) | ||
헬기 | 100기 | Blackhawk (38기) |
Chinook (7기) | ||
ARH Tiger (9기) | ||
S-70B-2 Seahawk (16기) | ||
Sea King (6기) | ||
AS350BA Squirrel (13기) | ||
SH-2G(A) Super Seasprite (11기) |
편제
- 항공사령부
- 전투비행단
- 제78전대
- 제81전대
- 제82전대
- 공중기동비행단
- 제84전대
- 제86전대
- 항공기동훈련개발대
- 정찰대응비행단
- 제41전대
- 제42전대
- 제44전대
- 제92전대
- 전투지원비행단
- 제95전대
- 제96전대
- 의무전대
- 훈련비행단
- 비행교육전대
- 지상교육전대
- 왕립공군학교
- 공중전센터
- 시험평가부서
- 정보전부서
- 공군시험장부서
- 전술훈련부서
- 전투비행단
공군 행진곡
파일:Auairforce.mp4 |
공군 행진곡 < Royal Air Force March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