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번째 줄: | 14번째 줄: | ||
-일국 | -일국 | ||
-국수주의 적인 청년들 | -국수주의 적인 청년들 | ||
-공산당의 5인방 | -공산당의 5인방 }}} | ||
* '''정부''' | * '''정부''' |
2021년 9월 30일 (목) 17:04 판
{{틀:상위 문서| top1=서풍 세계관/국가}}
동아시아
1.중화인민공화국
- 집권이념:현대사회주의(중국 공산당-시진핑파)
- 전략동맹기구 의 지도자
- 플레이 요소
-국가주석의 권력을 사수하세요 -어떠한 방법으로든 국가체제 를 유지시키세요 -경제를 발전시켜서 영원한 번영을 누리세요
- 국가정신
-중화사상 -일국 -국수주의 적인 청년들 -공산당의 5인방
- 정부
-중국 공산당 65% -중국 공산당-친시파 11% -중국 공산당-상하이방 17% -증국 공산당-공청단 7%
국가주석인 시진핑이 다스리는 전략동맹기구의 수장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전세계 가 휘청하고 미국의 패권이 기울기 시작할때. 중국은 큰피해를 입지않고 세계 패권에 도전하였다. 그 결과 아시아 에서 제일 성장한 국가가 되었고 전세계 2인자가 되었다.
그러나 권력기반이 약한 시진핑이 주석인 만큼 내부상황은 좋지않다.
- 중국 공산당 지지도
- 친시파/공청단/상하이방
- 인민들
- 지식인층
- 인민해방군
- 공안
- 국영기업
- 자영기업
공청단 과 상하이방은 시진핑을 주석 자리에서 끌어 내리기 위해 별로 경력도 없던 친시파 를 공격 할것이다. 친시파 는 시진핑의 완벽한 종신집권을 위해 인민,지식인,군대,공안,기업들 에게 지지를 얻어야 한다. 그러나 아직 까지 세력이 약한 친시파 인 만킁 이 과정이 쉽지는 않을 것이다. 다른 파벌들은 시진핑의 정책 마다 공격할 것 이고 외부 에선 계속 해서 무역전쟁 중인 미국이 문제 가 된다. 또한 중국 내의 소수민족 문제는 해결되지 못하여 이것들 전부 해결해야 할것이다.그 방법은 유화책 이 될수도 강경책 이 될수도 있다.
2.북조선 군정청
- 집권이념:전제주의(인민해방군)
- 중국의 군사정권
정식명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2019년 북한의 지도자 였던 김정은이 심근경색 으로 사망하면서 북한은 혼란에 빠졌다. 중국은 이 기회를 놓치지 않았고 친중파 를 사주하여 쿠데타를 시도 했으나 실패한후 중국 인민해방군은 북한을 대대적으로 침공하기 시작한다. 한국 정부 도 북한으로 진격하였고 결국 중국군 과 충돌하게 되었는데 한국 과 중국은 적절히 합의하에 중국은 39도선 위로 한국은 그 밑을 점령 하였다. 그후 북한은 중국의 군인들이 통치 하는 괴뢰국 이 되었다.
3.대한민국
- 집권이념:권위민주주의(자유당-온건파)
- 플레이 요소
- 국가정신
- 정부
-자유당-온건파(권위민주주의) 45% -자유당-강경파(전제주의) 12% -자유당-군부회(파시즘) 5% -국민의 힘(보수민주주의) 10% -더불어 민주당(자유민주주의) 10% -정의당(사회민주주의) 8% -국가혁명당(자유 지상적 사회주의) 4% -자유 새벽당(국가사회주의) 6%
2017년 기무사의 친위쿠데타 가 성공하였으나 새누리당은 또 다시 흔들리기 시작하였고 기 사이 친위쿠데타 에 가담한 군인들이 새누리당 정권을 뒤엎고 한국을 장악 하게 된다. 그후 새누리당은 분당 되고 국군은 자유당은 창당하여 정계에 뛰어 들었다. 그렇게 합의정부 시대가 시작 되었다.
합의정부 의 1대 대통령인 이석구는 급진적이고 전제적인 정치에 의해 퇴진하였고 2022년 새로운 대통령이자 자유당은 온건파 인 조현천 이 새 대통령이 된다. 그러나 아직 국민들 의 불만은 떨어지지 않았고 각종 정부기관 들 또한 군사정권을 좋게 보지 않는다.
또한 계엄령 이 계속 선포 되어있어 경제도 점차 안좋아지는 중 이다.
- 10.11 사태
군사정부 에선 확고한 권력을 위해 10월 11일 에 군사쿠데타 를 일으키는데 이에 반발한 국회 와 시민들이 대규모 집회가 열리고 군부 에서도 파벌이 나뉘기 시작한다.
반군사정부 성향의 군대 가 역쿠데타 로 정권을 바꾼다면 전 군사정부 와 충돌이 발생하는데 이때 양측 간의 유혈사태 까지 발발 하여 전국 이 전쟁터 가 될 위기에 처하게 된다. 북한 점령지 에선 혼란스러워진 틈 을 타 북한잔당 들 이 반란을 일으킬 것 이며 주한미군은 주둔지 에 갇혀 움직이지 못하게 된다.
10.11 사태
- 대한민국 군사정부
집권이념:전제주의(자유당)
- 대한민국 국민 정부
집권이념:권위민주주의(국가민주전선)
- 해군 사령부
집권이념:전제주의(대한민국 해군)
* 평양 UN 군사사령부
집권이념:권위민주주의(주한UN군)
- 동조선 정부
집권이념:전제주의
- 자유 조선 정부
집권이념:권위민주주의(자유조선)
- 조선 인민 평의회
집권이념:권위사회주의(조선인민평의회)
- 자유인민전선
집권이념:전제주의(특수작전사령부)
4.일본
- 집권이념:보수주의(자유민주당)
서브 프라임 모기지 사태,동일본 대지진,경재 정책 실패 등 으로 자민당 의 호소다파 등이 몰락하였고 좌파정당들이 주류를 차지하고 있다. 아베 총리 사임 과 스가 총리 사임 이후 새 총리는 반아베파 인 이시바 시게루
이시바 총리는 현실 과는 좀 다르게 중립주의적 외교노선을 지향 했고 독자적 이고 평하적 이지만 강한 일본 을 주장 하였으나 지지기반이 부족한 이시바 인 만큼 빠르게 사퇴하고 좌파정당 이 들어서 자민당의 장기 집권이 끝날 수도 있다.
5.대만
동북아시아
1.베트남
2. 태국
3. 라오스
- 집단안보조약기구의 의존회원국
4. 캄보디아
- 집단안보조약기구 의존희원국
5. 밀레이시아
6. 싱가포르
7. 인도네시아
8. 필리핀
9. 미얀마 군사정부
반군
남아시아
1.인도
- 집권이념:보수민주주의
2. 방글라데시
3. 네팔
4.부탄
5. 스리랑카
6. 몰디브
사아시아
1.이란
- 집권이념:권위민주주의
- 집단안보조약 기구의 주요회원국
2.이스라엘
- 집권이념:보수민주주의
3.팔레스타인
- 집권이념:사회민주주의
4.요르단
- 집권이념:보수민주주의
5,쿠르디스탄
- 집권이념:보수민주주의
6.백기단
- 집권이념:국가사회주의
7.바트주의 이라크
- 집권이념:파시즘(바트당)
8.성전 과 개혁 전선
- 집권이념:국가사회주의
9.이슬람 레반트 전선
- 집권이념:국수주의(ISIL)
10.시리아
- 집권이념:권위민주주의
11.로자바
12.알-누스라
13.레반트 자유 군단
- 집권이념:전제주의(TLC)
정부군에 의해 자유 시리아군이 해체된후 살아남은 자유 시리아군 과 시리아 정부에 저항하는 시민군 , 해외에서 지원한 지원자들 등등 이 합쳐서 만든 단체로 이란,시리아 정부군에 저항중 이다.
14.국제 자유 대대
- 집권이념:자유 지상적 사회주의(IF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