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
(→운영 현황)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table align=right><tablebordercolor=#003764><-2><bgcolor=#FFFFFF><:> N/A || | ||<table align=right><tablebordercolor=#003764><-2><bgcolor=#FFFFFF><:> N/A || | ||
||<-2><bgcolor=#003764><:>{{{#FFFFFF '''철도청 | ||<-2><bgcolor=#003764><:>{{{#FFFFFF '''미합중국 철도청'''}}}[br]{{{#FFFFFF '''United States of National Railroad'''}}}[br]{{{#FFFFFF '''鐵道廳'''}}} || | ||
||<:>'''한자 명칭'''||<bgcolor=#FFFFFF><(>鐵道廳|| | ||<:>'''한자 명칭'''||<bgcolor=#FFFFFF><(>鐵道廳|| | ||
||<:>'''영문 명칭'''||<bgcolor=#FFFFFF><(>U.S.A National Railroad (UNR)|| | ||<:>'''영문 명칭'''||<bgcolor=#FFFFFF><(>U.S.A National Railroad (UNR)|| | ||
10번째 줄: | 10번째 줄: | ||
||<:>'''주소'''||<bgcolor=#FFFFFF><(>정부중앙청사 1동[br]{{{-2 BS 오리특별시 정부청사로 8-14 (중앙동)}}}|| | ||<:>'''주소'''||<bgcolor=#FFFFFF><(>정부중앙청사 1동[br]{{{-2 BS 오리특별시 정부청사로 8-14 (중앙동)}}}|| | ||
||<:>'''상급 기관'''||<bgcolor=#FFFFFF><(>국토교통부|| | ||<:>'''상급 기관'''||<bgcolor=#FFFFFF><(>국토교통부|| | ||
||<:>'''하위 기관'''||<bgcolor=#FFFFFF><(>소속 3개[* 철도공무원교육원, 고속열차교육센터, 철도인재개발원], 지방청 7개[* 수도권지방철도청, 북부지방철도청, 중부지방철도청, 남부지방철도청, 서부지방철도청, 하와이지방철도청, | ||<:>'''하위 기관'''||<bgcolor=#FFFFFF><(>소속 3개[* 철도공무원교육원, 고속열차교육센터, 철도인재개발원], 지방청 7개[* 수도권지방철도청, 북부지방철도청, 중부지방철도청, 남부지방철도청, 서부지방철도청, 하와이지방철도청,알래스카지방철도청][br]책임운영 1개[* 철도상담센터]|| | ||
||<:>'''정원'''||<bgcolor=#FFFFFF><(>120,042명|| | ||<:>'''정원'''||<bgcolor=#FFFFFF><(>120,042명|| | ||
16번째 줄: | 16번째 줄: | ||
= 개요 = | = 개요 = | ||
[[미합중국 공화국|미국]]의 철도 운영기관. | |||
미국 전역 본토에 관리를 하는 모든 주를 대상으로 영업하는 여객철도 및 화물철도도 관리를 한다. | |||
2010년 후반대 이전까지만 해도 공사화였지만, 쿠로바 W. 김 대통령의 정책으로 국영으로 전환되었다. | |||
또한 미국 외 해외로 철도운영을 하고있다.[* 미국은 표준궤로 적용받는 국가이며, 표준궤로 호환되는 국가만 해외로 운영한다.] | |||
이전에는 공사화 되기전에 수립 하기전에 정부청사 사옥에 있었으나, 공사화 된 이후로 공기업이 된 오레일은 정부청사에 입주할 근거가 없어서 철도사옥을 이전했으나, 2010년대 후반부터 다시 정부기관으로 승격하여, 정부청사 사옥으로 이전을 했다. | |||
= 운영 현황 = | = 운영 현황 = | ||
운영하는 노선과 관리하는 역에 대해서는 각각 [[철도 노선 정보/미합중국]], [[미국의 역 관련 정보]]를 참조할 것. 국내에 여객 사철이 없는 관계로, 두 항목에 기재되어있는 대부분의 노선 및 역을 철도청에서 관리한다. | |||
{{{+3 '''초고속 등급열차'''}}} : 리니어 신칸센(예정) | |||
{{{+2 '''고속 등급열차'''}}} : UTX, 신칸센 | |||
{{{+2 '''준고속 등급열차'''}}} : UTX-이음, 신칸센-이음 | |||
{{{+2 '''특급열차'''}}} : ITX-오리 | |||
{{{+1 '''급행'''}}} : ITX-덕잉, 테이탄호, 오리호[* 2022년 2월 11일 명덕잉호로 명칭 변경예정], 키드호, 특급 광역전철, 급행 광역전철 | |||
보통 : 통근열차, 일반 광역전철 | |||
폐지 : 없음. | |||
= 상징 = | = 상징 = | ||
== 상징 로고 == | == 상징 로고 == | ||
= 역대 청장 = | = 역사 = | ||
== 역대 청장 == | |||
= 보유 차량 = | = 보유 차량 = | ||
= 노동조합 현황 = | = 노동조합 현황 = |
2022년 1월 3일 (월) 03:55 기준 최신판
N/A | |
미합중국 철도청 United States of National Railroad 鐵道廳 | |
한자 명칭 | 鐵道廳 |
영문 명칭 | U.S.A National Railroad (UNR) |
약칭 | UR |
설립일 | 2018년 3월 3일 |
전신 | 오레일(Duck Rail) |
청장 | 쿠리하시 미나미 |
차장 | 존 릭 |
주소 | 정부중앙청사 1동 BS 오리특별시 정부청사로 8-14 (중앙동) |
상급 기관 | 국토교통부 |
하위 기관 | 소속 3개 철도공무원교육원, 고속열차교육센터, 철도인재개발원, 지방청 7개 수도권지방철도청, 북부지방철도청, 중부지방철도청, 남부지방철도청, 서부지방철도청, 하와이지방철도청,알래스카지방철도청 책임운영 1개 철도상담센터 |
정원 | 120,042명 |
개요
미국의 철도 운영기관.
미국 전역 본토에 관리를 하는 모든 주를 대상으로 영업하는 여객철도 및 화물철도도 관리를 한다.
2010년 후반대 이전까지만 해도 공사화였지만, 쿠로바 W. 김 대통령의 정책으로 국영으로 전환되었다.
또한 미국 외 해외로 철도운영을 하고있다. 미국은 표준궤로 적용받는 국가이며, 표준궤로 호환되는 국가만 해외로 운영한다.
이전에는 공사화 되기전에 수립 하기전에 정부청사 사옥에 있었으나, 공사화 된 이후로 공기업이 된 오레일은 정부청사에 입주할 근거가 없어서 철도사옥을 이전했으나, 2010년대 후반부터 다시 정부기관으로 승격하여, 정부청사 사옥으로 이전을 했다.
운영 현황
운영하는 노선과 관리하는 역에 대해서는 각각 철도 노선 정보/미합중국, 미국의 역 관련 정보를 참조할 것. 국내에 여객 사철이 없는 관계로, 두 항목에 기재되어있는 대부분의 노선 및 역을 철도청에서 관리한다.
초고속 등급열차 : 리니어 신칸센(예정) 고속 등급열차 : UTX, 신칸센 준고속 등급열차 : UTX-이음, 신칸센-이음 특급열차 : ITX-오리 급행 : ITX-덕잉, 테이탄호, 오리호 2022년 2월 11일 명덕잉호로 명칭 변경예정, 키드호, 특급 광역전철, 급행 광역전철 보통 : 통근열차, 일반 광역전철 폐지 :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