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
(→라마1세)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3번째 줄: | 3번째 줄: | ||
| 틀 중간색 = #2d2a4a | | 틀 중간색 = #2d2a4a | ||
| 테두리색 = #1f2023 | | 테두리색 = #1f2023 | ||
| 범례색 = # | | 범례색 = #a51931 | ||
| 범례 글씨색 = # | | 범례 글씨색 = #2d2a4a | ||
| 글씨색 = # | | 글씨색 = #1f2023> | ||
| 국가이름 = 타이왕국 | | 국가이름 = 타이왕국 | ||
| 원어이름 = ราชอาณาจักรไทย | | 원어이름 = ราชอาณาจักรไทย | ||
| 국기 = 타이 왕국 국기.png | | 국기 = 타이 왕국 국기.png | ||
| 국장 = | | 국장 = 타이 왕국 국장.png | ||
| 표어 = | | 표어 = ชาติ ศาสนา พระมหากษัตริย์ | ||
| 원어표어 = | | 원어표어 = 국가, 종교, 국왕 | ||
| 표어 글씨색 = #2d2a4a | | 표어 글씨색 = #2d2a4a | ||
| 원어표어 글씨색= #1f2023 | | 원어표어 글씨색= #1f2023 | ||
| 국가 = | | 국가 = 태국 국가 | ||
| 국화 = | | 국화 = 라차프륵 | ||
| 국조 = | | 국조 = | ||
| 역사 = | | 역사 = | ||
[[수코타이 왕국|수코타이 왕조]]''' '''성립''' [[1238년]][br]'''[[아유타야 왕국|아유타야 왕조]]''' '''성립''' [[1351년]][br]'''[[태국/역사#s-3.1|톤부리 왕조]]''' '''성립''' [[1768년]][br]'''[[짜끄리 왕조]]''' '''성립''' [[1782년]] [[4월 6일]][br]'''[[태국/역사#s-4.1|시암 혁명]]''' [[1932년]] [[6월 24일]] | |||
| 면적 = 3,287,263 km² | | 면적 = 3,287,263 km² | ||
| 수도 = [[ | | 수도 = [[방콕 (중앙관) |방콕 (중앙관)]] | ||
| 최대도시 = | | 최대도시 = [[방콕 (중앙관) |방콕 (중앙관)]] | ||
| 전체인구 = | | 전체인구 = 70,070,600명 | ||
| 민족구성 = | | 민족구성 = ||타이족 75% (콘타이족 34.1%, [[이산#s-5|이산족]] 24.9%[br]콘무앙족 9.9%, 남부인 7.5%)[br][[화교#s-4.2|중국계]] 14%[br]기타 12% ([[카렌#s-2|카렌족]], [[말레이족]], [[몽|몽족]], [[크메르인|크메르족]] 등) || | ||
| 인구밀도 = | | 인구밀도 = 132.1명/km² | ||
| 출산율 = 2.20명 | | 출산율 = 2.20명 | ||
| 종교 = 힌두교 | | 종교 = 힌두교 | ||
| 종교 분포 = | | 종교 분포 = ||<-4>'''국교 없음'''([[정교분리]])[* 허나 국왕을 포함한 대부분의 타이인들은 불교를 믿는다][br][[상좌부 불교]] 94%[br][[이슬람교]] 5% [br][[기독교]] 0.9% [br][[힌두교]] 0.1% || | ||
| 공용어 = | | 공용어 = 태국어 | ||
| 지역어 = | | 지역어 = | ||
| 군대 = [[ | | 군대 = [[태국군|태국군]] | ||
| 행정구역 명칭1 = 1급 행정구역 | | 행정구역 명칭1 = 1급 행정구역 | ||
| 행정구역1 = | | 행정구역1 = 77개주,878구역 | ||
| 행정구역 명칭2 = 2급 행정구역 | | 행정구역 명칭2 = 2급 행정구역 | ||
| 행정구역2 = 75시, 82군, 69자치구 | | 행정구역2 = 75시, 82군, 69자치구 | ||
| 행정구역 명칭3 = 3급 행정구역 | | 행정구역 명칭3 = 3급 행정구역 | ||
| 행정구역3 = 620구, 620현 | | 행정구역3 = 620구, 620현 | ||
| 정치체제 = | | 정치체제 = 입헌군주제,의원내각제,다당제,양원제,군사독재 | ||
| 국가원수 = [[ | | 국가원수 = [[마하 와치랄롱꼰]] 국왕 | ||
| 정부수반 = [[ | | 정부수반 = [[쁘라윳 짠오차]] 총리 | ||
| 행정각료 명칭1 = 부통령 | | 행정각료 명칭1 = 부통령 | ||
| 행정각료1 = [[무파바라푸 벤카이아 나이두]] | | 행정각료1 = [[무파바라푸 벤카이아 나이두]] | ||
50번째 줄: | 48번째 줄: | ||
| 행정각료 명칭4 = 외무부장관 | | 행정각료 명칭4 = 외무부장관 | ||
| 행정각료4 = [[수브라마얌 자이샨카르]] | | 행정각료4 = [[수브라마얌 자이샨카르]] | ||
| 여당 = {{ | | 여당 = {{공민역량당}} | ||
| 경제체제 = | | 경제체제 = 자본주의적시장경제 | ||
| GDP = $ | | GDP = $5476억7180만9600 | ||
| 1인당 GDP = | | 1인당 GDP = $7816 | ||
| 수출액 = 2758억 | | 수출액 = 2758억 | ||
| 수입액 = 3843억 | | 수입액 = 3843억 | ||
| 외환보유액 = 3,958억 4,200만$ | | 외환보유액 = 3,958억 4,200만$ | ||
| 신용 등급 = | | 신용 등급 = Moody's Baa1 | ||
| 화폐 = | S&P BBB+ | ||
| 화폐번호 = | Fitch BBB+ | ||
| 법정연호 = | | 화폐 = 태국 바트 | ||
| 시간대 = UTC+ | | 화폐번호 = THB | ||
| 법정연호 = 불기 | |||
| 시간대 = UTC+7 | |||
| 도량형 = SI 단위 | | 도량형 = SI 단위 | ||
| UN 가입여부 = 가입국 | | UN 가입여부 = 가입국 | ||
| UN 가입일 = | | UN 가입일 = | ||
| ccTLD = . | | ccTLD = .th, .ไทย | ||
| 국가코드 = | | 국가코드 = 764, THA, TH | ||
| 국제전화코드 = + | | 국제전화코드 = +66 | ||
}} | }} | ||
'''타이왕국'''(<small>[[영어]]:</small>Kingdom of Thailand | |||
)은 [[동남아시아]] 위치해있는 나라이다. 수도는 [[태국 중앙관|방콕]]이며, 국가는 [[태국국가]], 공용어는 [[태국어]]이다. | |||
== 상징 == | |||
=== 국호 === | |||
=== 국기 === | |||
{{본문|태국(중앙관)국기}} | |||
=== 국가 === | |||
{{본문|태국 국가}} | |||
=== 국화 === | |||
{{본문|연꽃}} | |||
=== 국장 === | |||
{{본문|태국(중앙관)국장}} | |||
== 역사 == | |||
== 차크리 왕조 == | |||
짜끄리장군이 국왕대신 왕이되어 시암의 국왕이되었고 그가 세운 왕조가 현재 태국의 왕조이다. 지금왕조는 방콕 왕조 등으로 불린다. | |||
| |||
== 라마1세 == | |||
| |||
라마1세는 딱신과 전쟁 진행 하면서 수도를 방콕으로 천도하였다. 부모가 중국계라 개차반 취급을 받던 라마1세는 국왕반역+쿠태타ㄱ을염두에두었고 자신이 왕이되려고 탁신왕 죽이고 태국의 왕이 되었다. | |||
이양반시절에 시암의 영토가 더욱 확장되고 캄보디아와 라오스는 완벽한 속국이 되었고 치앙마이를 중심으로 한 란나도 복속되어 자체적으로 영토회복이 가능했으며 버마와의 전쟁에서 비록 테나세림의 탈환은 실패하였으나 이후 보도파야의 14만명규모의 5개 방향 침공도 성공적으로 막아낼 수 있었다. | |||
라마1세때 태국의 영토는 나레수안 시기의 영토 확장을 능가했다. 시암을 명실상부한 동남아의 패자위치를 재구축 할 수 있었다. 라마 1세의 유일한 실패는 바로 대 배트남 전선으로 당시 멸망당한 배트남 안남국의 살아남은 후계자 요청으로 군대를파견했는대 대패하여 살아남은 배트남의 후계자와 같이 함께 철수 할 수 밖에 없었다고 한다. | |||
== 자연환경 == | |||
=== 영토 === | |||
=== 지형 === | |||
=== 생태 === | |||
=== 자원 === | |||
== 인문환경 == | |||
=== 인구 === | |||
=== 언어 === | |||
=== 종교 === | |||
=== 교통 === | |||
{{본문|테국(중앙관)/교통}} | |||
== 행정구역 == | |||
{{본문|테국(중앙관)/행정구역}} | |||
== 정치 == | |||
{{본문|테국(중앙관)/정치}} | |||
=== 정당 === | |||
=== 행정 === | |||
=== 국제관계 === | |||
== 경제 == | |||
{{본문|태국(중앙관)경제}} | |||
== 사회 == | |||
{{본문|태국(중앙관)사회}} | |||
=== 교육 === | |||
== 문화 == | |||
== 군사 == | |||
{{본문|태국군}} | |||
== 단위 == | |||
=== 법정 연호 === | |||
=== 시간대 === | |||
== 관련 문서 == | |||
[[분류:인도 기업]] | |||
== 같이 보기 == | |||
== 각주 == | |||
== 둘러보기 == | |||
[[분류:태국(중앙관)]] | |||
[[분류:아세안세계관]] | |||
[[분류:UN세계관국가]] |
2022년 1월 27일 (목) 10:57 기준 최신판
타이왕국 ราชอาณาจักรไทย | |||||||||||||||||||||||||||||
---|---|---|---|---|---|---|---|---|---|---|---|---|---|---|---|---|---|---|---|---|---|---|---|---|---|---|---|---|---|
![]() |
![]() | ||||||||||||||||||||||||||||
국기 | 국장 | ||||||||||||||||||||||||||||
국가, 종교, 국왕 ชาติ ศาสนา พระมหากษัตริย์ | |||||||||||||||||||||||||||||
상징 | |||||||||||||||||||||||||||||
국가 | 태국 국가 | ||||||||||||||||||||||||||||
국화 | 라차프륵 | ||||||||||||||||||||||||||||
위치 | |||||||||||||||||||||||||||||
역사 | |||||||||||||||||||||||||||||
| |||||||||||||||||||||||||||||
지리 | |||||||||||||||||||||||||||||
| |||||||||||||||||||||||||||||
인문환경 | |||||||||||||||||||||||||||||
| |||||||||||||||||||||||||||||
행정구역 | |||||||||||||||||||||||||||||
| |||||||||||||||||||||||||||||
정치 | |||||||||||||||||||||||||||||
| |||||||||||||||||||||||||||||
경제 | |||||||||||||||||||||||||||||
| |||||||||||||||||||||||||||||
단위 | |||||||||||||||||||||||||||||
| |||||||||||||||||||||||||||||
외교 | |||||||||||||||||||||||||||||
| |||||||||||||||||||||||||||||
ccTLD | |||||||||||||||||||||||||||||
.th, .ไทย | |||||||||||||||||||||||||||||
국가코드 | |||||||||||||||||||||||||||||
764, THA, TH | |||||||||||||||||||||||||||||
국제전화코드 | |||||||||||||||||||||||||||||
+66 |
타이왕국(영어:Kingdom of Thailand )은 동남아시아 위치해있는 나라이다. 수도는 방콕이며, 국가는 태국국가, 공용어는 태국어이다.
상징
국호
국기

국가

국화

국장

역사
차크리 왕조
짜끄리장군이 국왕대신 왕이되어 시암의 국왕이되었고 그가 세운 왕조가 현재 태국의 왕조이다. 지금왕조는 방콕 왕조 등으로 불린다.
라마1세
라마1세는 딱신과 전쟁 진행 하면서 수도를 방콕으로 천도하였다. 부모가 중국계라 개차반 취급을 받던 라마1세는 국왕반역+쿠태타ㄱ을염두에두었고 자신이 왕이되려고 탁신왕 죽이고 태국의 왕이 되었다. 이양반시절에 시암의 영토가 더욱 확장되고 캄보디아와 라오스는 완벽한 속국이 되었고 치앙마이를 중심으로 한 란나도 복속되어 자체적으로 영토회복이 가능했으며 버마와의 전쟁에서 비록 테나세림의 탈환은 실패하였으나 이후 보도파야의 14만명규모의 5개 방향 침공도 성공적으로 막아낼 수 있었다. 라마1세때 태국의 영토는 나레수안 시기의 영토 확장을 능가했다. 시암을 명실상부한 동남아의 패자위치를 재구축 할 수 있었다. 라마 1세의 유일한 실패는 바로 대 배트남 전선으로 당시 멸망당한 배트남 안남국의 살아남은 후계자 요청으로 군대를파견했는대 대패하여 살아남은 배트남의 후계자와 같이 함께 철수 할 수 밖에 없었다고 한다.
자연환경
영토
지형
생태
자원
인문환경
인구
언어
종교
교통

행정구역

정치

정당
행정
국제관계
경제

사회

교육
문화
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