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당: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1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5><tablealign=center><tablewidth=400><bgcolor=#005ba6> '''[[대한국|{{{#fff 대한국}}}]]{{{#fff 의}}} {{{#fff 민주당계 정당}}}''' ||
||<-5><tablealign=center><tablewidth=500><bgcolor=#568A35> [[파일:대한민국 정부 상징.svg|width=30]] '''[[대한국|{{{#fff 대한국}}}]]{{{#fff 의}}} [[민주당|{{{#fff 민주당계 정당}}}]]''' ||
||<|2><width=30%> ''[[미래민주당|{{{#005ba6 미래민주당}}}]]'' ||<bgcolor=#fff,#1f2023> {{{+1 →}}} ||<width=30%><bgcolor=#fff> [[미래민주당|{{{#005ba6 미래민주당}}}]] ||<bgcolor=#ffffff,#1f2023> {{{+1 →}}} ||<|2><width=30%> ''[[민중민주당|{{{#003ca6 민중민주당}}}]]'' ||
||<width=28%> ''미래민주당 '' ||<|1> {{{+1 →}}} ||<|2><width=28%><bgcolor=#81C462> '''{{{#fff 국민당[br],,(2021.10.~),,}}}''' ||<|2> {{{+1 →}}} ||<|1><width=28%> ''없음'' ||
||<bgcolor=#fff,#1f2023> {{{+1 →}}} ||<width=30%><bgcolor=#568A35> [[국민당|{{{#fff 국민당}}}]] ||<bgcolor=#ffffff,#1f2023> {{{+1 →}}} ||


{{정당 정보 양식
{{정당 정보 양식
| 테두리색 = #e1090a
| 테두리색 = #568A35
| 로고 = 자유민주당_로고.png
| 로고 = 한국국민당_로고.png
| 로고크기 = 180px
| 로고크기 = 180px
| 배경색 = #fff
| 배경색 = #fff
12번째 줄: 12번째 줄:
| 범례색 = #f5f5f5
| 범례색 = #f5f5f5
| 글씨색 = #fff
| 글씨색 = #fff
| 글씨 색 = #e1090a
| 글씨 색 = #568A35
| 정당명 = 자유민주당
| 정당명 = 국민당
| 원어명 = Liberal Democratic Party of Korea
| 원어명 = Korean Nationalist Party
| 국가 = [[파일:태극기.png|20px|link=대한국]] [[대한국]]
| 국가 = [[파일:태극기.png|20px|link=대한국]] [[대한국]]
| 약칭 = LDPK, LDP
| 약칭 = KNP
| 표어 = '''정치는 모두의 것, 우리는 모두를 위해 일한다'''
| 표어 = '''국민과 함께, 국민당이 나아갑니다'''
| 창당일 = 2021년 9월 20일
| 창당일 = 2021년 10월 31일
| 당명 변경 =  
| 당명 변경 =  
| 통합한 정당 =  
| 통합한 정당 =  
| 전신 = 새보수당, 자유민주당
| 전신 = 사회민주당
| 후신 =
| 후신 = [[민중민주당]]
| 해산일 =
| 해산일 = 2021년 12월 6일
| 중앙당사 = [[대한국|대한국 서울특별시]]
| 중앙당사 = [[대한국|대한국 서울특별시]]
| 이념 = 질서자유주의<br>자유주의<br>자유보수주의<br>사회보수주의<br>신보수주의
| 이념 = 질서자유주의<br>자유주의<br>자유보수주의<br>사회자유주의<br>국민자유주의
| 스펙트럼 = 우파 빅텐트(중도 ~ 우파)
| 스펙트럼 = 우파 빅텐트(중도 ~ 우파)
| 리더명칭 = 대표
| 리더명칭 = 대표
| 리더 = [[변종구]]
| 리더 = [[김준우]]
| 공직자1 명칭 = 부대표
| 공직자1 명칭 = 부대표
| 공직자1 = 원희룡
| 공직자1 = 유도현
| 공직자2 명칭 = 원내대표
| 공직자2 명칭 = 원내대표
| 공직자2 = 오세훈
| 공직자2 = 김민준
| 공직자3 명칭 = 사무총장
| 공직자3 명칭 = 사무총장
| 공직자3 = 나경원
| 공직자3 = 서하준
| 공직자4 명칭 = 정책위의장
| 공직자4 명칭 = 정책위의장
| 공직자4 = 이영자
| 공직자4 = 이민우
| 공직자5 명칭 = 당대회 의장
| 공직자5 명칭 = 당대회 의장
| 공직자5 = 이은재
| 공직자5 = 지성준
| 공직자6 명칭 = 승상
| 공직자6 명칭 =  
| 공직자6 = 홍준표
| 공직자6 =  
| 공직자7 명칭 =
| 공직자7 명칭 =
| 공직자7 =
| 공직자7 =
| 의석1 명칭 = 국회의원  
| 의석1 명칭 = 국회의원  
| 의석1 수 = 172
| 의석1 수 = 3
| 의석1 최대 = 300
| 의석1 최대 = 300
| 의석1 비율 = 57.3
| 의석1 비율 = 1
| 의석2 명칭 =
| 의석2 명칭 = 지방자치단체장
| 의석2 수 =
| 의석2 수 = 0
| 의석2 최대 =
| 의석2 최대 = 30
| 의석2 비율 =
| 의석2 비율 = 0
| 의석3 명칭 =
| 의석3 명칭 =
| 의석3 수 =
| 의석3 수 =
67번째 줄: 67번째 줄:
| 의석6 최대 =
| 의석6 최대 =
| 의석6 비율 =
| 의석6 비율 =
| 당색 = {{정당박스 | '''빨강 (#e1090a)''' | #e1090a | #fff }}
| 당색 = {{정당박스 | '''초록 (#568A35)''' | #568A35 | #fff }}
| 당가 =  
| 당가 = 국민을 위하여송
| 국제조직 =  
| 국제조직 =  
| 자매정당 =
| 자매정당 = 중국 국민당
| 정책 연구소 =
| 정책 연구소 = 국민연구원
| 후원회 =
| 후원회 = 국민페이
| 학생조직 =
| 학생조직 =
| 청년조직 =
| 청년조직 = 전국청년당
| 여성조직 =
| 여성조직 =
| 재외국민조직 =
| 재외국민조직 = 국민통신
| 준군사조직 =
| 준군사조직 =
| 재산총액 =
| 재산총액 =
87번째 줄: 87번째 줄:


== 개요 ==
== 개요 ==
[[대한국]]의 정당이자 야당
'''국민당'''은 [[대한국]]의 진보 정당으로서, [[대한국]] 진보 정당이자 야당이었다.


== 정당원 목록 ==
총 의석 3석을 보유하던 소규모 정당으로서, 당대 진보 정당이었던 [[미래민주당]]과 체급차이가 심했다.


마르코 그로스만
== 상세 ==
== 강령과 정책 ==
=== 강령 ===
=== 정책 ===
== 중앙당사 ==
== 당명과 로고 ==
== 당가 ==
== 역사 ==
=== 2021년 10월 ===
=== 2021년 11월 ===
== 비판과 논란 ==
== 소속 의원 ==
== 계파 ==
== 지지 기반 ==
== 다른 정당과의 관계 ==
== 역대 전당대회 ==
== 역대 지도부 ==
== 인재영입 ==
== 역대 선거 ==
== 지지도 ==
== 둘러보기 ==

2022년 2월 1일 (화) 10:03 기준 최신판

대한국 민주당계 정당
미래민주당미래민주당민중민주당
국민당
한국국민당 로고.png
국민당
Korean Nationalist Party
국가 태극기.png 대한국
약칭
KNP
표어
국민과 함께, 국민당이 나아갑니다
창당
2021년 10월 31일
전신
사회민주당
후신
민중민주당
해산
2021년 12월 6일
중앙당사
대한국 서울특별시
이념
질서자유주의
자유주의
자유보수주의
사회자유주의
국민자유주의
스펙트럼
우파 빅텐트(중도 ~ 우파)
대표
김준우
부대표
유도현
원내대표
김민준
사무총장
서하준
정책위의장
이민우
당대회 의장
지성준
국회의원
3석 / 300석 (1%)
지방자치단체장
0석 / 30석 (0%)
당가
국민을 위하여송
당색
초록 (#568A35)
정책 연구소
국민연구원
후원회
국민페이
자매정당
중국 국민당
청년조직
전국청년당
재외국민조직
국민통신

개요

국민당대한국의 진보 정당으로서, 대한국 진보 정당이자 야당이었다.

총 의석 3석을 보유하던 소규모 정당으로서, 당대 진보 정당이었던 미래민주당과 체급차이가 심했다.

상세

강령과 정책

강령

정책

중앙당사

당명과 로고

당가

역사

2021년 10월

2021년 11월

비판과 논란

소속 의원

계파

지지 기반

다른 정당과의 관계

역대 전당대회

역대 지도부

인재영입

역대 선거

지지도

둘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