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F SHIPPING"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39번째 줄: 39번째 줄:
  
 
현재 가장 큰 선박인 25,000TEU급 선박을 운용 중이다. 해운침체 시절부터 크기 경쟁을 시작한 해운사 중에 한 곳이며 이때문에 전체적인 선박이 큰 선박으로 구성되어있다. 작은 선박들이 상대적으로 부족하다.<ref>상대적인 것이지 실질적으로 부족한 것은 아니다.</ref> 또한 환경규제 때문에 대부분의 선박을 메탄올 추진선으로 바꾸는 추세이다. 암모니아 추진선과 수소 선박에도 관심은 있지만 메탄올을 주력으로 밀고 갈 생각인 것으로 보인다. 현재는 LNG 추진선이 주력이라 현재까지의 환경규제에서는 자유롭다.
 
현재 가장 큰 선박인 25,000TEU급 선박을 운용 중이다. 해운침체 시절부터 크기 경쟁을 시작한 해운사 중에 한 곳이며 이때문에 전체적인 선박이 큰 선박으로 구성되어있다. 작은 선박들이 상대적으로 부족하다.<ref>상대적인 것이지 실질적으로 부족한 것은 아니다.</ref> 또한 환경규제 때문에 대부분의 선박을 메탄올 추진선으로 바꾸는 추세이다. 암모니아 추진선과 수소 선박에도 관심은 있지만 메탄올을 주력으로 밀고 갈 생각인 것으로 보인다. 현재는 LNG 추진선이 주력이라 현재까지의 환경규제에서는 자유롭다.
 +
 +
==주요 서비스==
 +
 +
==보유 선박==
 +
 +
==취항 항만==
 +
 +
==정기 취항 노선==
 +
===유럽-아시아===
 +
||<-3><bgcolor=#f0d158> '''1노선(컨테이너)''' ||
 +
||<rowbgcolor=#f0d158> 취항 도시 || 취항 항만 || 비고 ||
 +
||<rowbgcolor=white> 핀란드 헬싱키 || 헬싱키 항만 || 종착지 ||
 +
||<rowbgcolor=white> [[파일:Kongeriket-Norge .png|20px]]노르웨이 오슬로 || 오슬로 항만 || - ||
 +
||<rowbgcolor=white> [[파일:네덜란드 국기.png|20px]]네덜란드 로테르담 || 유로포트 || 터미널: APM Terminals Maasvlakte II ||
 +
||<rowbgcolor=white> [[파일:스페인 국기.png|20px]]스페인 알헤시라스 || 알헤시라스 항만 || - ||
 +
||<rowbgcolor=white> 이집트 포트사이드 || 포트사이드 컨테이너 항만 || - ||
 +
||<rowbgcolor=white> [[파일:인도 공화국 국기.png|20px]]인도 뭄바이 || 뭄바이 나바셰바 항만 || - ||
 +
||<rowbgcolor=white> [[파일:싱가포르국기.jpeg|20px]][[말레이시아 연방(4관)|말레이시아]] 싱가포르 || 싱가포르 투아즈 항만 || - ||
 +
||<rowbgcolor=white> [[파일:홍콩 국기.png|20px]] 홍콩 || 홍콩 콰이청 항만 || - ||
 +
||<rowbgcolor=white> [[파일:Flag of the Republic of China.svg|20px]] 가오슝 || 가오슝 항만 || - ||
 +
||<rowbgcolor=white> [[파일:중국 국기.png|20px]]중국 상하이 || 상하이 항만 || - ||
 +
||<rowbgcolor=white> [[파일:태극기.png|20px]][[대한국]] 부산 || 부산 신항만 || 터미널: PFBT (자체운영) ||
 +
||<rowbgcolor=white> [[파일:나루 인민 공화국 국기.png|20px]][[나루공화국]] 광명 || 광명 항만 || 종착지 ||

2022년 4월 11일 (월) 19:12 판

PF해운
PF SHIPPING
PF SHIPPING.png
정식명칭 PF SHIPPING Co., Ltd.
원어명칭 PF SHIPPING
국가 유럽기.png 유럽연합
설립일 1975. 09. 02
기업규모 대기업
창업주 MINJONG
업종 외항화물운송업, 내항화물운송업
본사위치 영국 국기.svg영국[1] 런던
대표자 MINJONG
시가총액
기업 정보
[ 펼치기 · 접기 ]
자본금
-
매출액
-
영업이익
-
순이익
-
자산총액
-
부채총액
-
직원수
-

개요

세계급 대형 해운사. PF의 중심

PF SHIPPING은 PF 그자체라고 해도 될 정도로 큰 회사이다. PF GROUP의 계열사 중 가장 큰 회사이다. 또한 세계 5대 해운사 안에 포함되며 이중에 가장 역사가 짧다. 컨테이너선의 역사보다 PF의 역사가 짧지만 각종 운송 사업에서 굵직한 행보가 있어서 상당한 인지도와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 PF해운이 PF에서 비중이 가장 큰 만큼 PF해운에 타격이 생기면 그룹 전체 실적이 나락이다. 반대로 호재가 있으면 그룹 전체 실적이 엄청나게 오른다.

로고의 육각별은 6대륙을 모두 다니겠다는 의미를 내포한다고 하는데 진짜 6대륙을 모두 기항하는 해운사이다. 오히려 안가는 항만을 찾는것이 어려울 정도이다. 굵직한 해운망을 많이 보유한 관계상 진정한 대마불사라고 불리기도 한다.[2] 자회사 PFHD를 통해 많은 항만터미널 운영권이나 지분을 보유 중이다. 이는 항만 적체때 엄청난 이득으로 반사작용 되었다. PFHD는 이후 PF해운과 PF WATERWAYS로 분할흡수되었다.

현재 가장 큰 선박인 25,000TEU급 선박을 운용 중이다. 해운침체 시절부터 크기 경쟁을 시작한 해운사 중에 한 곳이며 이때문에 전체적인 선박이 큰 선박으로 구성되어있다. 작은 선박들이 상대적으로 부족하다.[3] 또한 환경규제 때문에 대부분의 선박을 메탄올 추진선으로 바꾸는 추세이다. 암모니아 추진선과 수소 선박에도 관심은 있지만 메탄올을 주력으로 밀고 갈 생각인 것으로 보인다. 현재는 LNG 추진선이 주력이라 현재까지의 환경규제에서는 자유롭다.

주요 서비스

보유 선박

취항 항만

정기 취항 노선

유럽-아시아

1노선(컨테이너)
취항 도시취항 항만비고
핀란드 헬싱키헬싱키 항만종착지
Kongeriket-Norge .png노르웨이 오슬로오슬로 항만-
네덜란드 국기.png네덜란드 로테르담유로포트터미널: APM Terminals Maasvlakte II
스페인 국기.png스페인 알헤시라스알헤시라스 항만-
이집트 포트사이드포트사이드 컨테이너 항만-
인도 공화국 국기.png인도 뭄바이뭄바이 나바셰바 항만-
싱가포르국기.jpeg말레이시아 싱가포르싱가포르 투아즈 항만-
홍콩 국기.png 홍콩홍콩 콰이청 항만-
Flag of the Republic of China.svg 가오슝가오슝 항만-
중국 국기.png중국 상하이상하이 항만-
태극기.png대한국 부산부산 신항만터미널: PFBT (자체운영)
나루 인민 공화국 국기.png나루공화국 광명광명 항만종착지
  1. 일단 서류상 본사. 실제로는 유럽내 모든 지사들이 본사처럼 움직인다.
  2. 망하면 전세계에 수많은 항구도시가 대부분 타격을 입는다.
  3. 상대적인 것이지 실질적으로 부족한 것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