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논 대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1번째 줄: 1번째 줄:
{| class="wikitable" style="border: 2px solid #79B9E5; width: 100%; font-size: 1.0em; text-align: center"
+
{| class="wikitable" style="border: 2px solid #002147; width: 100%; font-size: 1.0em; text-align: center"
| colspan="6" |
+
| colspan="3" style="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000C19, #002147 20%, #002147 80%, #000C19)"; color: #fff" | '''{{글씨 색|#fff||샤논 대처 관련 틀}}'''
{| class="wikitable"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1px 11px; text-align: center; width: calc(100% + 20px); border: 8px solid #79B9E5"
 
|-
 
| width="50%" style="border-width: 0px 1px 1px 1px; background: #79B9E5; color: #000;" align=right | <div style="margin: 0px 5px">[[파일:Thatchersilhouette.png|50px]]</div>
 
| style="border-width: 0px 1px 1px 1px; background: #79B9E5; color: #fff; font-size: 9pt" align=left | <div style="margin: 0px 5px"><span style="font-size: 12pt">'''샤논 대처'''</span><br><span style="font-size: 11pt">'''관련 틀'''</span></div>
 
|}
 
 
|-
 
|-
 
| style="font-size:11pt" |
 
| style="font-size:11pt" |

2022년 7월 17일 (일) 11:22 판

샤논 대처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Aukpmwhite.png
오스트레일리아 왕국 총리
[ 펼치기 · 접기 ]
헨리 1세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조셉 라이언즈 로버트 멘지스 아서 페든 존 커틴
헨리 2세
제4대 제5대 제2대2 제6대 제7대
존 커틴 벤 치플리 로버트 멘지스 헤럴드 홀트 존 고튼
제8대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고프 휘틀럼 맬컴 프레이저 밥 호크 폴 키팅 존 하워드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제17대
킴 비즐리 마크 라담 케빈 러드 줄리아 길라드 토니 애벗
제18대 제19대
줄리 비숍 빌 쇼튼
앤드류 1세
제19대 제20대
빌 쇼튼 샤논 대처
* 호주는 임기가 단절되었다가 재집권해도 처음 집권 당시 대수를 유지한다.
Australiaarmsblue.png
오스트레일리아 왕국 부총리
[ 펼치기 · 접기 ]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존 매큐언 더그 앤서니 랜스 버나드 짐 케언즈 프랭크 크린
 제2대2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더그 앤서니 라이오넬 보웬 폴 키팅 브라이언 하우 킴 비즐리
 제10대   제11대   제12대   제13대   제14대 
팀 피셔 존 앤더슨 마크 베일 줄리아 길라드 웨인 스완
 제15대   제16대   제17대   제18대   제17대2 
앤서니 알바니즈 워렌 트러스 마이클 맥코맥 샤논 대처 마이클 맥코맥
* 호주는 임기가 단절되었다가 재집권해도 처음 집권 당시 대수를 유지한다.
호주 자유당 로고16.png
호주 자유당 총재
[ 펼치기 · 접기 ]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로버트 멘지스 헤럴드 홀트 존 고튼 윌리엄 맥마흔 빌리 스네덴
제6대 제7대 제8대 제7대2 제9대
맬컴 프레이저 엔드류 피콕 존 하워드 엔드류 피콕 존 휴슨
제10대 제8대2 제11대 제12대 제13대
알렉산더 다우너 존 하워드 브렌단 넬슨 맬컴 턴불 토니 애벗
제14대 제15대 제16대
줄리 비숍 스콧 모리슨 샤논 대처
* 호주는 임기가 단절되었다가 재집권해도 처음 집권 당시 대수를 유지한다.

제22대 오스트레일리아 왕국 총리
샤논 대처
The Hon. Shannon Thatcher

Member of Parliament
Thatcher133.png
본명
샤논 힐다 대처
Shannon Hilda Thatcher
출생
1967년 7월 3일
호주 뉴사우스웨일스 시드니
재임
제22대 호주 총리
2022년 9월 4일 ~
서명
Thatchersign.png
[ 펼치기 · 접기 ]
학력
퀸즐랜드 대학교 (법학과 / B.S.)
찰스 스터트 대학교 로스쿨 (졸업)
배우자
데니스 대처 (1993년 결혼)
신장
167cm
종교
호주 성공회
정당
자유당
지역구
와이드 베이
의원 선수
7
의원 대수
43, 44, 45, 46, 47, 48, 49
약력
호주 하원의원 (1998~)
교육, 청소년부 장관 (2015~2016)
재무부 장관 (2016~2018)
내무부 장관 (2018~2020)
부총리 (2020~2021)
자유당 총재 (2021~)
호주 총리 (2021~)
100%
공식 초상화

개요

호주의 정치인. 호주의 여성 총리이며, 역대로 치면 2번째이다.[1] 자유당 최초의 여성 총재이기도 하다. 2021년부터 현재까지 총선을 3차례나 승리로 이끌었고, 호주의 보수주의와 시장경제 진영을 대표하는 인물로 자리잡고 있다.

밥 호크 총리 이후로 호주 정치계에 지대한 영향력을 끼치고 있는 인물로 꼽힌다. 그녀의 리더십과 냉철한 이미지에 빗대어 철의 여인, 독선적이고 비타협적인 태도에 신자유주의의 마녀라고 불리울 정도로 평가가 극단적으로 갈리지만 호주 사회에 강렬한 이미지를 심어준 점은 분명하기에 학계와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화젯거리로 떠오르고 있다.

생애

대내정책

강성노조 분쇄

대처 정부는 거대권력화된 광산 노동조합에 비타협적인 태도를 고수해오고 있다. 집권 초기 발생했던 파업사태를 거치면서 대처의 정책노선은 더욱 확고해져 양측 간 분위기는 날로 갈수록 험악해지고 있다. 하지만 내각 인사를 교체시킬 정도의 막강한 정치적 파워을 행사하고 정치인들과 공생관계를 이루며 온갖 부정행태를 일삼는 노조의 모습이 국민들의 눈에는 곱게 보일리가 없었다. 일례로 2012년에는 전국적으로 광부들의 총파업이 벌어져 경제성장률이 2008년 이후 사상 최악의 수치인 0.2%로 소폭 하락, 1인당 소득은 마이너스를 기록하는 등 호주인들에게 최악의 굴욕을 선사하였다. 엎친데 덮친 격으로 국가 세수에 비상이 걸려 각종 의료혜택이 폐지되고 최저임금 상한제와 탄소세까지 거론되자 이는 전국민적 분노를 사기에 충분했다. 위 현상을 직접 목격했던 대처는 2021년, 내각이 출범하자마자 사회적 합의는 고사하고 바로 대대적인 구조조정을 단행하기 시작한다. 반발하며 파업에 돌입한 노조를 강경하게 진압함과 동시에 책임자들을 모두 구속기소한다.

하지만 파업 과정에서 노동자 한명이 기마경찰의 말에 치여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2] 경찰은 사건의 엄정수사를 약속하였지만, 관련자 징계 절차는 전무했을뿐더러 사죄 및 보상에 관해선 입을 굳게 다물었다. 대처 또한 기자회견에서 "내 사전에 감성정치란 없다." 라는 초강경 발언을 하여 여론의 비난을 받았다.

대처는 이에 그치지 않고 2024년에 공정근로법(Fair Work Act)을 개정하려는 움직임을 보였고, 끝내 상원에서 법안 심의가 최종 통과되었다. 공정근로법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조합원 파업관련 비밀투표 의무화
  • 기업연금제 축소
  • 노조비로 정치 후원금 제한
  • 노조운영비 투명하게 정부 신고
  • 노동기준 보장체제(Award System) 적용범위 축소
  • 클로즈드숍, 유니온숍 제한 및 오픈숍 제도 확장
  • 피케팅 시 경찰에 의무적 신고
  • 파업 시 대체인력 고용 가능
  • 노사관계의 사법화(연방재판소에 규율권한 부여)[3]
  • 상부조직 설립 의무화 및 재편[4]

개정 내용 대부분이 근로자에 극히 불리한 입장이었기에 초기에는 야당과 여론의 질타를 받았다. 이후 노동당과 연대관계에 있던 많은 노조들의 자금줄이 끊기게 되었고 1년새 30여개 이상의 노조가 재정문제로 줄줄이 해체되었다.

대외정책

국내에서의 인기

여담

  1. 최초의 여성 총리는 노동당의 줄리아 길라드.
  2. 사인은 과다출혈로 인한 저체액성 쇼크사.
  3. 본래는 노사관계위원회에서 중재를 맡았으나 그 권한을 모두 중앙정부로 이관한다는 것이다.
  4. 호주는 노조 간 입장이 천차만별이라 단합력이 부족하여 별다른 연맹체가 존재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