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20번째 줄: | 20번째 줄: | ||
|- | |- | ||
! rowspan="1" colspan="1" style="background: #F5F5F5; color: #C9252B; text-align: center" | 주소 | ! rowspan="1" colspan="1" style="background: #F5F5F5; color: #C9252B; text-align: center" | 주소 | ||
| colspan="1"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회대로74길 12<br>3층, 5층, 6층 (여의도동, | | colspan="1"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회대로74길 12<br>3층, 5층, 6층 (여의도동, 여중빌딩) | ||
|- | |- | ||
! colspan="1" style="background: #F5F5F5; color: #C9252B; text-align: center" | 비상대책위원장 | ! colspan="1" style="background: #F5F5F5; color: #C9252B; text-align: center" | 비상대책위원장 | ||
| colspan="1" | [[이준석 (한정모)|이준석]]<small> / 3선 ( | | colspan="1" | [[이준석 (한정모)|이준석]]<small> / 3선 (26·27·28대)</small> | ||
|- | |- | ||
! rowspan="1" colspan="1" style="background: #F5F5F5; color: #C9252B; text-align: center" | 원내대표 | ! rowspan="1" colspan="1" style="background: #F5F5F5; color: #C9252B; text-align: center" | 원내대표 | ||
88번째 줄: | 88번째 줄: | ||
'''새누리당'''은 [[대한국|대한국의 보수정당]]이다. | '''새누리당'''은 [[대한국|대한국의 보수정당]]이다. | ||
[[대한국]]의 제1야당이자, 현 [[대한국 국민원| | [[대한국]]의 제1야당이자, 현 [[대한국 국민원|제28대 국민원]]의 원내 제1당인 정당이다. 2028년 2월 14일 [[이준석 (한정모)|이준석]] 비대위가 주도하는 당 쇄신정책의 일환으로 [[자유민주당|신설 합당]]하여 [[자유민주당|보수 빅텐트]] 정당인 '''새누리당'''을 창당하였다. [[자유민주당|한국 보수진영]]의 계보를 잇는 적통이라고 할 수 있으며, 1997년 [[대한국|신한국당]]과 [[대한국|통합민주당]]의 신설 합당을 통해 창당된 [[대한국|한나라당]]을 당의 공식적인 기원으로 규정하고 있다.[[http://www.peoplepowerparty.kr/renewal/about/history.do|#]] | ||
== 상세 == | == 상세 == | ||
새누리당의 실질적 기원은 1990년 노태우의 민주정의당, 김영삼의 통일민주당, 그리고 김종필의 신민주공화당이 보수 대연합을 표방하며 3당 합당으로 창당된 민주자유당에 있다.<ref>'보수주의 정당의 복지국가 전략: 영국과 한국의 보수주의 복지정치' 논문 '1990년 창당한 민주자유당을 모태로 하고 있는 새누리당이 국가복지에 대한 인식전환과 정당의 정체성과 관련한 복지담론'을 “자생적 복지체제”라고 구체적으로 명시한 것은 '2004년 신강령 제정'을 통해서였다.[[https://s-space.snu.ac.kr/bitstream/10371/96928/1/06.pdf|#]]</ref> | |||
민주자유당에서 당명을 변경한 신한국당이 1997년 통합민주당<ref>김대중의 평화민주당의 법적 후신이기 때문에 서류상으로 1987년 당시의 4당은 다 지금 새누리당으로 모인 셈이다. 이렇게 된 이유는 김대중이 1995년 정계복귀를 선언하면서 민주당을 탈당해 새정치국민회의를 새로 만들었으며, 국민회의 합류를 거부한 반DJ계가 민주당을 유지하다가 나중에 한나라당 창당에 참여했기 때문.</ref>과 합당해서 한나라당이 창당되었다. 새누리당에서는 이 한나라당을 당의 공식적인 기원으로 보고 있다. 법적으로는 새누리당의 출범일인 2028년 2월 14일에 창당되었다.<ref>따라서 정당법인으로는 민주자유당→신한국당 / 한나라당→새자유당→자유한국당→자유민주당 / 새누리당이 각각 동일 법인이다.</ref> [[선거|지방 선거]]의 저조한 성적으로 인해 [[자유민주당]]은 [[이준석 (한정모)|이준석]]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전환하여, 당내 개혁을 시도하고, 2028년 2월 14일 '''새누리당'''을 신설 합당하였다. | |||
[[이준석 (한정모)|이준석]] 비상대책위원장은 '''새누리당'''의 역점 사업으로, 중도와 보수를 아우르는 진정한 [[정치|빅 텐트]] 정당을 지향하며 당을 변화시키고 쇄신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기존의 조국 근대화 정신 뿐만 아니라 민주화 운동 정신 또한 계승하며, 5.18에 대한 사죄, 호남과의 동행, 사회적 약자와의 동행, 이명박·박근혜 전 대통령의 과오와 구속에 대한 대국민 사과, 태극기 집회 및 극우 세력과의 결별 등을 당의 기본 노선으로 하였다. | |||
== 정책 == | == 정책 == | ||
* ~~해병대식 정치~~ | |||
* ~~KBS해체 정신~~ | |||
* ~~새누리당단독과반50년체제~~ | |||
* ~~형수를보수로만들어버리는정치제도~~ | |||
* ~~친NHK~~ | |||
* ~~유사보수정당타파~~ | |||
== 당명 == | == 당명 == | ||
* 한국어: 새누리당 | |||
* 영어: Saenuri Party | |||
* 중국어 | |||
* 정체자(번체자): 新國家黨 | |||
* 간화자(간체자): 新国家党 | |||
* 표준중국어 발음 | |||
* 한어병음: Xīn Guójiā Dǎng | |||
* 중국어의 외래어 표기법: 신궈자당 | |||
* 한국어 한자음: 신국가당 | |||
* 일본어 | |||
* 신자체 한자 사용: セヌリ党 | |||
* 발음 표기 | |||
* 현대 가나 표기법: セヌリとう | |||
* 헵번식 로마자 표기법: Senuri-tō | |||
* 일본어의 외래어 표기법: 세누리토 | |||
새누리에서 '새'는 '새로운'을 의미하는 말이고 '누리'는 '세상'의 순우리말이다. | |||
당명과 로고를 만든 [[이준석 (한정모)|이준석]] 비상대책위원장은 당색으로 빨간색을 쓴 데는 '붉은 악마와 같은 젊은 세대 선호와 기호를 반영했다'고 밝혔다. 또한 [[자유민주당]]의 당 색 계열을 유지하여 자유민주당의 후임 정당임을 알리기 위해 사용했다고 한다. | |||
== 로고 == | == 로고 == | ||
{| class="wikitable" style="float: center; border:2px solid #C9252B; text-align: left; text-align: center; width: 100%;" | |||
|- | |||
! colspan="1" style="font-size: 13pt; color: #FFFFFF; background: #C9252B;" | 로고 | |||
|- |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color: #FFFFFF; background: #FFFFFF;" | [[파일:한정모 새누리당 로고.png|x200px]] | |||
|- |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color: #C9252B; background: #FFFFFF;" | 새누리당 로고 | |||
|- | |||
|} | |||
== 중앙당사 == | == 중앙당사 == | ||
{| class="wikitable" style="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border:2px solid #C9252B; text-align: left; text-align: center;" |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color: #FFFFFF; background: #FFFFFF; height: 250px;" | <div style="margin: -5px -9px">[[파일:한정모 새누리당 당사.jpg|800px]]</div> | |||
|- |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color: #C9252B; background: #FFFFFF;"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에 소재한 중앙당사 (여중빌딩) | |||
|- | |||
|} | |||
새누리당은 지난 [[자유민주당]]이 사용 했던 영등포구에 소재한 여중빌딩을 그대로 계승하여 사용 중이다. 당사 회의실 내부에는 이승만, 박정희, 김영삼 전 대통령의 초상화가 걸려있다. | |||
== 역사 == | == 역사 == | ||
당 역사 기록의 편의를 위해 '''현실력'''으로 작성합니다. (2028. 09. ~) | |||
=== 2022년 === | === 2022년 === | ||
《'''자유민주당 시절'''》 | |||
* '''2022년 9월 7일''' | |||
* 자유민주당이 주도한 「의료사고 피해구조 및 의료분쟁 조정 등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이 가결되었다. | |||
* '''2022년 9월 10일''' | |||
* 관동-제주 지방 선거에서 강원도지사 내정자로 [[이명재 (한정모)|이명재]]가 내정되었다. | |||
* 관동-제주 지방 선거에서 제주특별도지사 내정자로 원희룡이 내정되었다. | |||
* '''2022년 9월 11일''' | |||
* 제4차 총무회 의결에서 연이은 지방선거 부진, 지지율의 반영구적 침체를 비상상황으로 규정하여 비상대책위원회로의 전환을 선포하였다. | |||
* 비상대책위원장으로 이준석 부대표를 임명하였다.[[https://cafe.naver.com/coreanempire/14229|#]] | |||
* 이준석 비상대책위원장 체제에서 당 명 개정 추진을 위한 총무회를 소집하였다.[[https://cafe.naver.com/coreanempire/14237|#]] | |||
* 제5차 총무회에서 당명 후보 중 하나인 '''새누리당'''이 만장일치로 결정되었다.[[https://cafe.naver.com/coreanempire/14273/14239|#]] | |||
《'''새누리당 시절'''》 | |||
* '''2022년 9월 11일''' | |||
* [[자유민주당]]에서 '''새누리당'''으로 신설 합당하여 '''새누리당'''이 출범하였다. | |||
== 소속 의원 == | == 소속 의원 == | ||
== 계파 == | == 계파 == |
2022년 9월 12일 (월) 02:50 판
| ||
[ 펼치기 · 접기 ]
|
|
개요
새누리당은 대한국의 보수정당이다.
대한국의 제1야당이자, 현 제28대 국민원의 원내 제1당인 정당이다. 2028년 2월 14일 이준석 비대위가 주도하는 당 쇄신정책의 일환으로 신설 합당하여 보수 빅텐트 정당인 새누리당을 창당하였다. 한국 보수진영의 계보를 잇는 적통이라고 할 수 있으며, 1997년 신한국당과 통합민주당의 신설 합당을 통해 창당된 한나라당을 당의 공식적인 기원으로 규정하고 있다.#
상세
새누리당의 실질적 기원은 1990년 노태우의 민주정의당, 김영삼의 통일민주당, 그리고 김종필의 신민주공화당이 보수 대연합을 표방하며 3당 합당으로 창당된 민주자유당에 있다.[4]
민주자유당에서 당명을 변경한 신한국당이 1997년 통합민주당[5]과 합당해서 한나라당이 창당되었다. 새누리당에서는 이 한나라당을 당의 공식적인 기원으로 보고 있다. 법적으로는 새누리당의 출범일인 2028년 2월 14일에 창당되었다.[6] 지방 선거의 저조한 성적으로 인해 자유민주당은 이준석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전환하여, 당내 개혁을 시도하고, 2028년 2월 14일 새누리당을 신설 합당하였다.
이준석 비상대책위원장은 새누리당의 역점 사업으로, 중도와 보수를 아우르는 진정한 빅 텐트 정당을 지향하며 당을 변화시키고 쇄신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기존의 조국 근대화 정신 뿐만 아니라 민주화 운동 정신 또한 계승하며, 5.18에 대한 사죄, 호남과의 동행, 사회적 약자와의 동행, 이명박·박근혜 전 대통령의 과오와 구속에 대한 대국민 사과, 태극기 집회 및 극우 세력과의 결별 등을 당의 기본 노선으로 하였다.
정책
-
해병대식 정치 -
KBS해체 정신 -
새누리당단독과반50년체제 -
형수를보수로만들어버리는정치제도 -
친NHK -
유사보수정당타파
당명
- 한국어: 새누리당
- 영어: Saenuri Party
- 중국어
- 정체자(번체자): 新國家黨
- 간화자(간체자): 新国家党
- 표준중국어 발음
- 한어병음: Xīn Guójiā Dǎng
- 중국어의 외래어 표기법: 신궈자당
- 한국어 한자음: 신국가당
- 일본어
- 신자체 한자 사용: セヌリ党
- 발음 표기
- 현대 가나 표기법: セヌリとう
- 헵번식 로마자 표기법: Senuri-tō
- 일본어의 외래어 표기법: 세누리토
새누리에서 '새'는 '새로운'을 의미하는 말이고 '누리'는 '세상'의 순우리말이다.
당명과 로고를 만든 이준석 비상대책위원장은 당색으로 빨간색을 쓴 데는 '붉은 악마와 같은 젊은 세대 선호와 기호를 반영했다'고 밝혔다. 또한 자유민주당의 당 색 계열을 유지하여 자유민주당의 후임 정당임을 알리기 위해 사용했다고 한다.
로고
로고 |
---|
![]() |
새누리당 로고 |
중앙당사
서울특별시 영등포구에 소재한 중앙당사 (여중빌딩) |
---|
새누리당은 지난 자유민주당이 사용 했던 영등포구에 소재한 여중빌딩을 그대로 계승하여 사용 중이다. 당사 회의실 내부에는 이승만, 박정희, 김영삼 전 대통령의 초상화가 걸려있다.
역사
당 역사 기록의 편의를 위해 현실력으로 작성합니다. (2028. 09. ~)
2022년
《자유민주당 시절》
- 2022년 9월 7일
- 자유민주당이 주도한 「의료사고 피해구조 및 의료분쟁 조정 등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이 가결되었다.
- 2022년 9월 10일
- 관동-제주 지방 선거에서 강원도지사 내정자로 이명재가 내정되었다.
- 관동-제주 지방 선거에서 제주특별도지사 내정자로 원희룡이 내정되었다.
- 2022년 9월 11일
《새누리당 시절》
- 2022년 9월 11일
- 자유민주당에서 새누리당으로 신설 합당하여 새누리당이 출범하였다.
소속 의원
계파
시도당 지도부
중앙당 지도부
역대 대표
둘러보기
- ↑ 납세자번호. 사업자등록번호와 동일한 기능을 한다.
- ↑ 경기도지사, 충청북도지사, 강원도지사, 부산광역시장, 울산광역시장, 대구광역시장, 경상남도지사, 경상북도지사, 제주특별자치도지사, 의주광역시장, 평안남도지사, 함흥광역시장
- ↑ 2029년
- ↑ '보수주의 정당의 복지국가 전략: 영국과 한국의 보수주의 복지정치' 논문 '1990년 창당한 민주자유당을 모태로 하고 있는 새누리당이 국가복지에 대한 인식전환과 정당의 정체성과 관련한 복지담론'을 “자생적 복지체제”라고 구체적으로 명시한 것은 '2004년 신강령 제정'을 통해서였다.#
- ↑ 김대중의 평화민주당의 법적 후신이기 때문에 서류상으로 1987년 당시의 4당은 다 지금 새누리당으로 모인 셈이다. 이렇게 된 이유는 김대중이 1995년 정계복귀를 선언하면서 민주당을 탈당해 새정치국민회의를 새로 만들었으며, 국민회의 합류를 거부한 반DJ계가 민주당을 유지하다가 나중에 한나라당 창당에 참여했기 때문.
- ↑ 따라서 정당법인으로는 민주자유당→신한국당 / 한나라당→새자유당→자유한국당→자유민주당 / 새누리당이 각각 동일 법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