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1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8번째 줄: | 8번째 줄: | ||
| 국가이름 = 이란 제국 | | 국가이름 = 이란 제국 | ||
| 원어이름 = كشور شاهنشاهی ایران | | 원어이름 = كشور شاهنشاهی ایران | ||
| 국기 = | | 국기 = 팔라비 제국 깃발.png | ||
| 국장 = Imperial Coat of Arms of Iran.svg | | 국장 = Imperial Coat of Arms of Iran.svg | ||
| 표어 = 그가 나를 심판할 제, 나에게 정의를 행하라 하시니라. | | 표어 = 그가 나를 심판할 제, 나에게 정의를 행하라 하시니라. | ||
19번째 줄: | 19번째 줄: | ||
| 국목 = 참나무 | | 국목 = 참나무 | ||
| 지도 = | | 지도 = | ||
| 역사 = | | 역사 = 이란 숭고국 건국 1781년 | ||
| 면적 = | 이란 제국 건국 1925년 | ||
| 수도 = | | 면적 = 1,648,195km² | ||
| 최대도시 = | | 수도 = 테헤란 | ||
| 전체인구 = | | 최대도시 = 테헤란 | ||
| 민족구성 = | | 접경국 = 튀르키예, 이라크,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 ||
| 인구밀도 = | | 전체인구 = 88,980,286명 | ||
| 출산율 = | | 민족구성 = 페르시아인 51% 아제르바이잔인 24% 길란-마잔다란족 8% 쿠르드인 7% 아랍인 3% 루르인 2% 발루치인 2% 튀르크멘인 2% 기타 1% | ||
| 종교 = | | 인구밀도 = 48명/km² | ||
| 종교 분포 = | | 출산율 = 1.93명 | ||
| 공용어 = | | 종교 = 이슬람 | ||
| 지역어 = | | 종교 분포 = 이슬람 99%, 기타 1% | ||
| 군대 = | | 공용어 = 페르시아어 | ||
| 행정구역 명칭1 = | | 지역어 = 페르시아어, 아랍어, 그외의 소수민족의 언어 | ||
| 행정구역1 = | | 군대 = 이란 제국군 | ||
| 행정구역 명칭2 = | | 행정구역 명칭1 = 테헤란 구 | ||
| 행정구역2 = | | 행정구역1 = 테헤란과 인근 지역 | ||
| 행정구역 명칭3 = | | 행정구역 명칭2 = 튀르크 구 | ||
| 행정구역3 = | | 행정구역2 = 튀르키예와의 국경 접경 지역 | ||
| 정치체제 = | | 행정구역 명칭3 = 남부 구 | ||
| 국가원수 = | | 행정구역3 = 남부 대부분의 지역 | ||
| 정부수반 = | | 정치체제 = 전제군주제 | ||
| 행정각료 명칭1 = | | 국가원수 = 샤한샤 | ||
| 행정각료1 = | | 정부수반 = 팔라비 4세 | ||
| 행정각료 명칭2 = | | 행정각료 명칭1 = 샤한샤 | ||
| 행정각료2 = | | 행정각료1 = 팔라비 4세 | ||
| 행정각료 명칭3 = | | 행정각료 명칭2 = 제국 총리 | ||
| 행정각료3 = | | 행정각료2 = 에브라힘 모하마드 | ||
| 행정각료 명칭3 = 제국 이슬람청장 | |||
| 행정각료3 = 알리 아흐메드 | |||
| 행정각료 명칭4 = | | 행정각료 명칭4 = | ||
| 행정각료4 = | | 행정각료4 = | ||
| 여당 = | | 여당 = 팔라비 왕조 충성당 | ||
| 경제체제 = | | 경제체제 = 자본주의 | ||
| GDP = | | GDP = $1조 973억 | ||
| 1인당 GDP = | | 1인당 GDP = $12,725 | ||
| 수출액 = | | 수출액 = | ||
| 수입액 = | | 수입액 = | ||
| 외환보유액 = | | 외환보유액 = | ||
| 신용 등급 = | | 신용 등급 = 매우 높음 | ||
| 화폐 = | | 화폐 = 이란 리알 | ||
| 화폐번호 = | | 화폐번호 = | ||
| 법정연호 = | | 법정연호 = 페르시아력 | ||
| 시간대 = | | 시간대 = UTC +3:30 (IRST, 이란 표준시) | ||
| 도량형 = | | 도량형 = SI 단위 | ||
| UN 가입여부 = | | UN 가입여부 = 가입 | ||
| UN 가입일 = | | UN 가입일 = 1957년 4월 5일 | ||
| ccTLD = | | ccTLD = .ir | ||
| 국가코드 = | | 국가코드 = 364, IRN, IR | ||
| 국제전화코드 = | | 국제전화코드 = +98 | ||
| 문양 = | | 문양 = Imperial Coat of Arms of Iran.svg | ||
}} | |||
}} | [목차] | ||
== 개요 == | |||
'''이란 제국''' 약칭 이란은 서아시아에 위치한 테헤란을 수도/최대도시로 하는 전제군주제 국가이다. | |||
== 국가 상징 == | |||
=== 국기 === | |||
||<table align=left><bgcolor=#ffffff> [[파일:팔라비 제국 깃발.png|width=350]] || | |||
||<table width=350><table bordercolor=#239f40><#239f40> '''{{{#ffffff 이란 제국의 국기}}}''' || | |||
=== 국장 === | |||
||<table align=left><bgcolor=#ffffff> [[파일:Imperial Coat of Arms of Iran.svg|width=350]] || | |||
||<table width=350><table bordercolor=#239f40><#239f40> '''{{{#ffffff 이란 제국의 국장}}}''' || | |||
=== 국가 === | |||
[include(틀:상세 내용, [[이란의 샤한샤를 찬양하라(Rtyuitygr)|이란의 샤한샤를 찬양하라]])] | |||
== 역사 == | |||
[include(틀:상세 내용, [[이란 제국 역사(Rtyuitygr)|이란 제국 역사]])] | |||
== 정치 == | |||
[include(틀:상세 내용, [[이란 제국 정치(Rtyuitygr)|이란 제국 정치]])] | |||
=== 황실 === | |||
{{틀:팔라비 왕조 샤한샤}} | |||
[include(틀:상세 내용, [[팔라비 왕조 샤한샤(Rtyuitygr)|팔라비 왕조 샤한샤]])] | |||
== 인문환경 == | |||
=== [[테헤란(Rtyuitygr)|테헤란]] === | |||
[include(틀:상세 내용, [[테헤란(Rtyuitygr)|테헤란]])] | |||
=== 종교 === | |||
종교는 이슬람이 주를 이룬다. 국민 대부분이 이슬람교를 믿으나 [[이란 제국 헌법(Rtyuitygr)|이란 제국 헌법]]상으로는 국교가 정해져 있지 않다. | |||
하지만 표어가 팔라비 4세 즉위 직전에는 샤하다의 한 구절인 [알라 외의 신은 없으며, 무함마드는 그의 사도이다]였다. | |||
== 외교 == | |||
[include(틀:상세 내용, [[이란 제국 외교(Rtyuitygr)|이란 제국 외교]])] |
2023년 3월 23일 (목) 20:41 기준 최신판
개요
이란 제국 약칭 이란은 서아시아에 위치한 테헤란을 수도/최대도시로 하는 전제군주제 국가이다.
국가 상징
국기
![]() |
이란 제국의 국기 |
국장
이란 제국의 국장 |
국가
{{틀:상세 내용| 이란의 샤한샤를 찬양하라}}
역사
{{틀:상세 내용| 이란 제국 역사}}
정치
{{틀:상세 내용| 이란 제국 정치}}
황실
팔라비 왕조 샤한샤 | ||||
[ 펼치기 · 접기 ] |
{{틀:상세 내용| 팔라비 왕조 샤한샤}}
인문환경
테헤란
{{틀:상세 내용| 테헤란}}
종교
종교는 이슬람이 주를 이룬다. 국민 대부분이 이슬람교를 믿으나 이란 제국 헌법상으로는 국교가 정해져 있지 않다.
하지만 표어가 팔라비 4세 즉위 직전에는 샤하다의 한 구절인 [알라 외의 신은 없으며, 무함마드는 그의 사도이다]였다.
외교
{{틀:상세 내용| 이란 제국 외교}}